View : 784 Download: 0

커뮤니티 매핑의 교육적 활용과 효과

Title
커뮤니티 매핑의 교육적 활용과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and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Community Mapping
Authors
김형숙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종원
Abstract
This research analysed what the effects of community mapping are and how it applies to education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effect of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education were studied. To see how community mapping is used in education institutions, 32 schools were investigated. Community mapping education was dealt with various topics such as safe/hazard facilities, town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disabled, or anti-smoking at school. Through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education, students could experience 7 learning activities : learning mapping tools, setting up the main theme, planning, gathering data, bringing up questions, solving questions, and making final products. These activities were planned including all 7 learning activities above even in the early stages like learning mapping tools or gathering data.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education of 32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eacher-led type’ (50%, 16 schools), ‘collaboration type’ (15.6%, 5 schools), and ‘observation type’ (34.3%, 11 schools). Also,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education was used in academic activities (38%), club activities (44%), volunteer activities (12%) and other activities (6%). Academic activities consisted of assignment and in-class activity. It appear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mprove map reading skills, and make students have more interests in local/social issues according to teachers who conducted assessment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community mapping. Although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gave students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it seems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opics or the activity stages. Teachers indicated that there are hardships(or limitations) of making themes, creating detailed legends, and planning community mapping activity. Also, errors in themes and legends, bringing up students’ interests, and assessment of mapping results are in need of improvement. Application and insufficient cases of usage of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are troublesome as well. The surve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education on a total of 153 students: 129 students with assignment activity and 24 students with club activity. In result, learning ability of learners(ability to solve problems, communicate, and collaborate), citizenship, sense of space, ability of spatial thinking improved. Analyzing how different types of participation affect communication mapping application education before and after activities, the group of students with club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ense of space and ability of spatial thin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It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bility of learners(ability to solve problems, communicate, and collaborate), citizenship, sense of spac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proved that learning ability directly influences citizenship and course satisfaction. Moreover, sense of place seems to be influenced directly by citizenship and indirectly by learning ability.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level of preliminary learning controls the connection of citizenship and sense of place, and the connection of course satisfaction and sense of place. Furthermore, it indicated that the level of learning particip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connection of learning ability and citizenship and the connection of course satisfaction and citizenship.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이 시대의 생활은 공간정보 수집을 하고, 공동체 문제를 해결하는 커뮤니티 매핑(Community Mapping)가 사례가 증가하였다. 커뮤니티 매핑은 지역사회에 대하여 배우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도구 중 하나로 작용 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매핑 활용은 학생들의 학습역량, 공간적 사고능력, 실천적 시민역량을 경험을 제공한다. 하지만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은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고, 이를 실제 학교교육에서 적용한 사례들이 많지 않아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어떤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 이해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커뮤니티 매핑이 어떻게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커뮤니티 매핑의 학습효과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매핑의 활용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제 학교현장에서 커뮤니티 매핑 활용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활동주제, 학습단계, 학교 교육과정, 교사의 역할, 활동규모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커뮤니티 매핑을 학교현장에서 활용한 교사들은 커뮤니티 매핑을 교육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지 조사하였다.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의 학습효과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역량(문제해결력, 의사소통력, 협업능력), 공간적 사고능력, 시민성 및 장소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참여방식이 학습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커뮤니티 매핑 학습효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입증하였다. 주요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에서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은 안전·유해시설, 마을정보, 장애인 접근성, 흡연예방 등 다양한 주제로 활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는 안전·유해시설, 흡연예방, 장애인 접근성과 같은 지역사회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매핑 툴(tool) 익히기 – 데이터 수집 – 주제 정하기 – 계획 세우기 – 데이터 수집 – 문제발견 – 문제해결 - 산출물 제작’과 같은 7가지 학습 활동을 경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학습 활동은 단순히 ‘매핑 툴 익히기 – 데이터 수집’단계부터 7단계 모두 포함하는 활동으로 나타났다. 대상이 된 32개 사례학교의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은 ‘교사 주도형 50%(16개교)’, ‘협력형 15.6%(5개교)’, ‘관찰형 34.3%(11개교)’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 활동(38%), 동아리 활동(44%), 봉사 활동(12%), 기타 활동(6%) 등으로 분류되었다. 교과 활동은 수행평가와 수업 활동으로 구성되어 활용되었다.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은 다양한 규모로 진행되었으며, 공통적으로 4-5명이 하나의 그룹이 되어서 학생들이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의 장점을 학생들의 공간정보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도 읽기 능력을 향상 시키며, 지역 및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여 주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커뮤니티 매핑 활동에서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데이터 수집과 문제해결에 참여를 하지만 활동이 지속될수록 학생들의 흥미가 반감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학생들의 만족감과 성취감을 주지만, 이는 실제 매핑 주제나 학습활동 단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제시한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커뮤니티 매핑 주제정하기, 범례 구체화하기, 커뮤니티 매핑 활동 계획 세우기, 커뮤니티 매핑 활동 단계 시 매핑 주제와 범례 오류, 학생들의 흥미 유도, 매핑결과에 대한 평가 등에서 대한 문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 시 공간정보기술에 활용에 대한 문제와 구체적 활용사례가 부족하다고 제시하였다. 셋째,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의 학습효과를 사전·사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역량(문제해결력·의사소통능력·협업능력), 시민성, 장소감, 공간적 사고능력 등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참여방식에 대한 학습효과를 사전·사후 분석한 결과 동아리활동 집단이 수행평가 집단보다 장소감과 공간적 사고능력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아리활동 집단이 수행평가활동 집단보다 학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참여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는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의 학습효과 변인 중 학습역량(문제해결력·의사소통능력·협업능력), 시민성, 장소감, 학습만족도 사이에 구조적 관계가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역량이 시민성과 학습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주며, 학습만족도는 시민성과 장소감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성은 장소감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학습역량은 장소감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사전 학습역량 수준이 시민성에서 장소감으로 이어진 경로와 학습만족도에서 장소감으로 이어진 경로에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수준에 따라 학습역량에서 시민성으로 이어지는 경로와 학습만족도에서 시민성에 이어지는 경로에 조절 효과를 주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한 다양한 교사와 학생들을 조사하여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시민성 역량에는 다양한 요소가 주어지는데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공동체의식, 참여의식으로만 구성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조모형 입증을 위한 더 많은 학생들을 조사하지 못한 것과 동아리활동 집단의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학교 현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커뮤니티 매핑 활동의 학습 모듈을 개발하고 추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 시 외부강사에 의존하는 교사의 경우 실제 공간정보기술에 활용에 대한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교사들이 공간정보기술을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사연수나 공간정보기술 활용 방법 매뉴얼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커뮤니티 매핑 활용과 효과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본 연구에서 보고된 일부 사례들은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 준비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