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천식 환자의 질병관리 경험

Title
천식 환자의 질병관리 경험
Other Titles
The Disease Management Experience of Patients with Asthma
Authors
김보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최근 급격한 환경의 변화와 대기오염의 증가로 호흡기 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천식은 흔한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다. 천식은 천명, 숨 가쁨, 가슴 압박감, 기침이 주요 증상으로, 만성적인 증상의 발현은 환자의 삶 속에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여러 측면과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천식 환자가 질병을 어떻게 인식하고 관리하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천식 환자의 질병관리 경험 과정을 확인하고 이를 설명하는 실체 이론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천식을 진단 받은 만 19세 이상의 천식 환자 20명으로 이론적 표본추출 방법에 의해 선정되었다. 2018년 6월부터 10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 (1998)의 근거이론 연구 분석 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단계를 거쳐서 분석되었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동시에 순환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천식 환자의 질병관리 경험을 설명하는 69개의 개념, 30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천식 환자는 천식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제약’, ‘사회적 관계의 위축’, ‘취업 및 직장 생활의 고충’, ‘가족에 대한 자책감’과 같은 다양한 변화와 위기 상황에 직면하였다. 특히 천식 환자의 질병관리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중심현상은 ‘언제 올지 모르는 천식 증상 악화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천식 환자는 언제 갑자기 천식 증상이 급격히 나빠질지 모른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지니고 살아가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질병관리 전략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에는 ‘치유에 대한 회의감’과 ‘질병관리에 대한 의지’가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식 환자의 질병관리 경험 과정 단계에서 ‘건강문제 인식기’에 해당하였다. 위와 같은 ‘건강문제 인식기’를 거친 천식 환자는 스스로 질병을 관리하기 위한 의지를 갖고 ‘건강문제 조정기’ 단계로 접어들어 ‘증상 발현 예방을 위한 환경 조절’과 ‘자가 건강관리 방법 실천’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여 질병을 관리하였다. 이러한 전략의 활용에는 ‘경제적 부담’과 ‘지지체계의 도움’이 중재적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건강문제 조정기’의 과정을 거친 환자는 ‘질병관리 유지기’ 단계로 접어들어 앞으로도 효율적으로 자가 관리를 잘 할 수 있다는 믿음과 자신감을 갖게 되는 ‘천식 증상 관리에 대한 조절력 획득’이라는 결과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천식 환자 중 일부는 이러한 전략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개인의 판단에 따른 건강위험행위 지속’의 결과를 나타내는 ‘질병관리 정체기’에 머무르기도 한다. 천식 환자의 질병관리 경험을 나타내는 핵심범주는 ‘언제 올지 모르는 천식 악화에 대비하며 질병을 다스림’으로 도출되었다. 천식 환자의 질병관리 유형은 ‘주도형’, ‘부분적 주도형’, ‘회피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천식 환자가 갑작스럽게 천식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대처하며 질병을 다스려나가는 질병관리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천식 환자의 효율적인 질병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천식 환자 대상 국가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rapid climate change and severe air pollution caused an increase in respiratory diseases, receiving a vast attention of people. One of the common respiratory diseases, Asthma, is a disease becoming more prevailing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Having symptoms of wheeze, shortness of breath, chest tightness and cough, the manifestation of chronic symptoms of asthma has various effects on the lives of patients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pproach how patients with asthma accept and manage the disease in their lives from the collective and comprehensive point of view. Apply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disease management experience of patients with asthma, this research tried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to explain the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eople above 19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as an asthma patient, and 20 people were selected in accordance to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acqui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aken from June to October, 2018, and the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by following the step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1998). As a result, 69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rawn to explain the disease management experience of patients with asthma. Patients suffering from asthma encountered various changes and risks in their lives, such as ‘limitation on everyday lives’, ‘weakening of primary social relationship’, ‘difficulties in employment and work life’, and ‘remorse for the family’. In particular, the central phenomenon that overwhelms the patients in the middle of disease management experience was ‘fear of unpredictable encountering with the aggravation of the symptoms’. Patients with asthma always have the fear and anxiety against unpredictable prognosis since they could not predict when the symptoms would appear. On the central phenomenon, ‘being skeptical of treatment’ and ‘willingness for disease management’ were shown to work as a contextual condition. The patients with asthma who underwent the ‘cognition phase of health problem’ grew their will to self-manage their disease, leading to ‘adjustment phase of health problem’ which utilized strategies of ‘environmental control for asthma to prevent symptoms’ and ‘interventions for self health management care plan’. In utilizing these strategies, ‘economic burden of disease’ and ‘aid from supporting system’ worked as an interventing condition. The patients who have gone thorough theses process then moved to ‘maintenance phase of disease management’ and experienced a sense of ‘acquiring control of asthma symptom management’, considering asthma more positive and gaining confidence on efficient self-management. However, some of patients failed to use these strategies and stayed at ‘stagnation phase of disease management’, which represented the result of ‘continual pursuit of health risk behavior by one’s own decision’. The core category showing the disease management experience of patients with asthma was deduced to ‘life-long management of the disease to prevent an aggravation of symptoms anytime during lifetime’, and the types of the disease management experience of patients with asthma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self-managing’, ‘partially self-managing’ and ‘avoidant’ patient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found out patients with asthma led their disease management process to prevent symptoms as well as not to aggravate their symptoms. Through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covered th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asthma in a holistic perspective, and it is thought to be significant as it set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efficient disease management and establishing policies for patients with asthm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