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일상 반복적 행위의 ‘차이와 반복’ 표현을 위한 퍼포먼스 시각 연구

Title
일상 반복적 행위의 ‘차이와 반복’ 표현을 위한 퍼포먼스 시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erformance visuals to express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of daily repetitive behaviors : With a Focus on media installations
Authors
김경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인성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의 행동 양상 중 하나인 반복적인 일상의 행위에서 오는 무상(無常)성에 대한 단편적인 통상적 사고를 확장시켜, 일상의 반복적 행위를 사유적 접근 방식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인간 삶의 궁극적인 의미 차원으로써 낙관주의적 가치 표현에 대한 인간의 본연의 삶의 자세에 대한 재고적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인간의 삶의 필연적인 영역 중 하나인 일상은 삶을 영위해 가며 겪는 가장 긴 시간의 영역으로 존재하며, 이것은 끊임없는 윤환적인 일상의 하루하루를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상황과 중첩은 결국 일상의 지루함과 허망함으로 쌓여가게 되며, 결국, 인간은 인생의 허무함과 공허함의 감정을 극대화시켜 삶의 무상함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반복적 인간의 일상에서 오는 반복행동은 타성으로부터 오는 습관적인 형태로 이뤄지며, 일상에서 혼재된 시간의 현존재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의 일상성과 공공성으로써의 존재적인 실존적 방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일상성에 대한 내재적 의미의 연구와 반복적 일상에서 오는 피상적인 감정으로써의 허망함을 인간 삶의 긍정적 가치를 내포한 일상의 반복적 행위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일상 반복의 현상적 표현과 의미를 본 연구를 통해 작품에 투영하여, 사유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일상의 반복적 행위에서 오는 삶의 긍정적 가치를 철학적인 이론을 통하여 인간의 삶의 근본적인 본질의 사유적 속성과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긍정적인 낙관적 삶의 가치를 집중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천적인 측면의 연구 작품 실험 영역으로는 인간의 일상 반복적 행위를 예술가 즉, 본 연구자의 신체를 통하여 작품의 주체이자 표현의 대상으로 직접적인 재현(再現)행위를 함으로서, 예술가의 몸을 통해 작품의 대상과 주체가 혼전하고 예술가 자신의 사적인 주체성을 작품에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대상의 객관화와 물성화된 행위의 재현으로 전환되어, 이를 예술가의 몸으로 실연하여 전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예술가의 몸짓과 행위가 시각 기호적인 표현으로 객관화되고, 사유적인 의미로써의 긍정적 가치 표현의 매개체적 역할로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단순한 반복적 행위에 대한 육체적 혹은 심리적인 반응은 의식적 사고를 넘어서 통제되지 않는 무의식적 사고의 상황에 대한 일상의 반복적 행위를 통한 메커니즘을 예술가의 신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묘사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앞서 거론된 관념적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표현 방식적 차원으로써의 연출 방법은 일상의 반복적 행위의 단순한 행위 구조와 개념적인 접근 방향으로써 긍정적 가치 기반인 해학적 의미와 표현 형식을 내포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해학 즉, 유머(humor)의 표현 형식은 본 연구자가 내세우고자 하였던, 삶의 긍정적 의미로써의 반복 행위에 대한 일의적 표현 행동 양식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일의적 차원의 일상 반복 행위의 표현은 예술가 자신의 신체를 통해 넌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예술가의 몸을 통해 사적인 행위의 이벤트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일상의 다양한 표현과 몸짓을 통해 동적 퍼포먼스의 사유적 의미로써의 영역을 표현의 직관화 및 객관화하여, 이를 심층적 의미 영역에 포함하도록 하여, 연구자 작품의 재료 혹은 행위화된 오브제로 조작하여 확장하였다. 이러한, 넌버벌 퍼포먼스를 통한 행위적 표현의 연출은 동적 이미지로 전달하되, 가시적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써의 기호적 성향을 띄도록 하였으며, 예술가의 몸을 통한 작품의 주체이자, 대상으로 연출하여, 재현으로써의 역할의 매개체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 이러한 연출의 방식 표현으로써 동적 이미지는 단순한 영상 매체로써의 노출이 아닌, 오브제와 인스톨레이션 아트로 확장함으로써 표현의 다층적이며, 다각적인 효과와 수용자(관람객)의 능동적인 참여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는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작업의 표현 방향으로써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서 수용자와 예술가의 선험적 경험 속 체험과 참여를 통해 유대적 관계를 형성하고, 표현의 주체의 해체를 바탕으로 대상체의 주체가 전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예술가의 행위 자체에 부여된 의미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수용자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도록 인터렉션 및 인스톨레이션 아트의 표현적 방법론을 통해 다층적 매체의 활용, 개념을 영속화 시킬 수 있는 물리적 보조 구조로써의 오브제성의 강화, 사운드 효과를 포함하여 풍부한 감정적 매개의 작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를 통해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상징적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이에 본 연구자는 복합적 융합 매체의 활용이 기반이 되는 작업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것은 수용자와 작품과의 상호적 소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스톨레이션 아트를 채택하여, 작품과의 상호 관계성을 이루며,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사유적 의미를 들어내고, 작품의 관념적 개념을 적극적으로 인지하고 가변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방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예술가의 신체의 행위 표현을 통해 표현의 주체이자 물성화된 작품의 재료로 편입시킨 넌버벌 퍼포먼스로써의 전달 방식을 채택하여, 표현의 구체화 및 동적 시각 메시지 전달의 매개체로 전환시켜 표현되었다. 이러한 신체적 행위의 재현을 포함한 동적 이미지의 표현은 일의적 차원의 개념인 삶의 낙관주의적 사고의 의미를 높이기 위해, 유머적 성향의 표현을 가미하고자 하였으며,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사유적 가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이러한 동적 행위 이미지를 인스톨레이션 표현 형식적 방식을 채택하여, 예술가의 퍼포먼스를 통한 표현의 몸성, 매체의 복합성, 형태의 중첩성, 색채에서 오는 표현의 절제성, 공간성에서 오는 수용자와의 계획적 소통 장치성, 이 모두를 구조화하는 일의적 차원의 표현의 확장성을 더욱 정밀하게 탐구하고 이를 작품화 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인간 삶의 반복성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삶의 낙관주의적 방향성을 예술가의 신체를 통한 행위적 차원의 표현방식을 시작으로 하여, 이를 인스톨레이션 아트로 확장하여, 표현하는 실험적 연구 방법을 구체화하고자 하다.;In this thesis, it was aimed to reinterpret daily repetitive behaviors in a reflective manner by expanding the fragmentary, ordinary thoughts about transience of life amidst daily repetitive actions, one of the aspects of human behavior. In so doing, the main focus was on reconsideration of human attitude toward life in expressing optimistic values as the ultimate meaning dimension of human life. Daily life, one of the essential areas of human life, exists as the area of the longest time in life in an endlessly rotating cycle of living one day after another. This repetitive situation and overlapping incrementally piles up as the boredom and futility of daily life, which culminates in the futility of life as people maximize the feelings of triviality and emptiness of life. This repetitive behavior in daily life takes on a habitual form by inertia, and appears as an ontological-existential pattern in a routine and public manifestation of human life based on the ever-present time intermingled with daily lif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intrinsic meaning of dailiness, seeking to interpret the perfunctory feeling of futility coming from daily repetitive life as a mechanically recurring daily behavior that embraces positivity of human life. It was also aimed to project the existential expression and meaning of repeating dailiness onto artwork with a view to unraveling its philosophical valu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re pursued to understand the positive values of life underlying daily repetitive actions through the lens of philosophical theorie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nature and situation of the fundamental essence of human life, and to intensively explore the value of a positive and optimistic life. In addition, in the practical aspect of research work experimentation, daily repetitive actions were directly represented by using the body of the researcher as the theme of artwork and object of expression, in an attempt to convey the intermingled existence of subject and object of artwork by embedding the artist’s private subjectivity in the artwork, which is converted into a representation of objectified subject and substantiated action through the artist’s body. is possible to directly reproduce the daily repetitive actions of humans as the subject of the work and the object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of the artist, that is, through the body of the artist. In this context, the artist’s gestures and actions were objectified as visual and symbolic expressions, and were vested with the role of a medium of expressing positivity in a philosophical sense. Physical or psychological responses to monotonically repeating actions were manifested in the artist’s body through a direct portrayal of the mechanism working through daily repetitive actions for situations of uncontrollable unconscious cognition beyond conscious realm of thoughts. Based on the ideological concepts discussed above, the researcher also tried to include a humorous meaning and expression form inherent to positivity as a simple action structure and conceptual orientation of daily repetitive actions as a dimension of expression modality in the arrangement of the artwork. This humor intended as an expression modality act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singular expression of repetitive behavior as a positive meaning of life meant to be put forward. The expression of daily repetitive actions in a singular dimension was intended to be expressed as a non-verbal performance through the artist’s own body, and started as an event of a private action portrayed through the artist’s body. In this context, by expressing the philosophical realm of a dynamic performance intuitively and objectively through various expressions and gestures of daily life, the philosophical realm was embraced by the deep realm of meaning, manipulated and expanded with the materials or activated objects of the researcher’s artwork. The arrangement of behavioral expression through non-verbal performance was conveyed as a dynamic image, whereby a symbolic tendency came to the fore as a visual communication, and the artist’s body was used as the objectified subject of the artwork, so that it can act as a medium of its role as a representation. However, as an expression of this arrangement, dynamic images were used to maximize the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effects of expression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viewers) by extending it to object and installation art, going beyond exposure as a simple visual medium. By setting this direction of expressing the media installation work, it was attempted to form rapport between audience and artist in appreciating the artwork through experiment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ir respective a priori experiences, and to induce the shift of subjects of expressed object by dismantling the subject of expression. Additionally, in order for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meaning and message attributed to the artist’s action itself through a direct experimentation, particular care was taken to enhance the symbolic value of visual communication using a variety of gadgets that maximize the functionality of abundant emotional media based on the expressive methodology of interaction and installation art, such as multilayered media, a physical auxiliary structure that can perpetuate the concept to reinforce the object quality. Based on the foregoing,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a work study using complex convergence media, and adopted installation art as the art form that can maximize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udience and artwork by achieving a mutual relationship, bringing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message to be conveyed to the fore, enabling active perception of the ideological concept of the work, and extending i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by adopting a delivery mode of a non-verbal performance using the artist’s physical expressions as the subject of expression and incorporated material of substantiated work, the artist’s body was converted into a medium to deliver concretized expression and dynamic visual message. The expression of dynamic images, including the reproduction of these physical actions, was intended to add humorous expressions to increase the meaning of optimistic thoughts about life, which is concept of singular dimension, and to induce the perception of philosophical value of the message. The adoption of the format of installation expression of these dynamic images enabled the artist to study the corporeality of expression, complexity of medium, superposition of forms, discretion of expression derived from color, and planned communication mechanism with the audience derived from the spatiality, to explore the scalability of the expression of singular dimension that structures all these aspects in a more elaborate manner, and to finally implement them in her work. This thesis aimed to deliver a positive message about the repetitiveness of human life, implementing it first by expressing the optimistic direction of life through the expression mode in behavioral dimension using the artist’s body as the medium and then extending it to an installation artwork,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 elaborate experiential research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