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진영-
dc.contributor.author진예은-
dc.creator진예은-
dc.date.accessioned2022-02-07T16:32:43Z-
dc.date.available2022-02-07T16:32:43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OAK-00000018412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412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038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수정하여,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탐구하는 것이다. 새로운 지식이 끝없이 창출되는 시대에 학생들은 지식을 수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창출하고 비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학생의 사고하는 힘을 기르는 탐구학습의 중요성이 사회과에서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에서는 탐구를 강조하면서도 교사들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을 만한 내용 체계나 성취기준에는 관련 내용이 매우 부족하다. 이것은 미국, 캐나다 온타리오 주, 호주 등 해외 주요 국가에서 이미 탐구기능을 반영한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발해 활발히 사용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사회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수정해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을 개발했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단원계획을 중심으로 탐구해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의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실행은 교육과정 읽기, 평가하기, 조정하기의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은 어떠한가? 1-1. 교육과정 실행 전, 세 교사의 탐구기능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1-2.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읽기, 평가하기, 조정하기)은 어떠한가? 2.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대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은 어떠한가? 2-1.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대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읽기, 평가하기, 조정하기)은 어떠한가? 2-2. 교육과정 실행 후, 세 교사의 탐구기능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3.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의 기능 제시 방식에 따라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공립 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초임 교사 3인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세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 전 탐구기능에 대해 서로 뚜렷하게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세 교사와 각각 세 차례의 면담을 통해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교육과정 실행 및 실행 전후로 변화된 관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실행 전 교사들의 탐구기능에 대한 관점은 뚜렷하게 달랐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에서 교사들은 단원에서 가르쳐야 할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고, 기능이 제시된 방식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으며, 자의적으로 단원계획안을 구성했다. 셋째,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실행에서 교사들은 단원에서 가르쳐야 할 기능을 명확히 파악했고, 기능이 제시된 방식에 만족감을 표했으며, 탐구 중심의 단원계획안을 구성할 수 있었다. 넷째, 교육과정 실행 후 교사들은 탐구기능에 대해 비교적 유사한 관점을 보였는데, 세 교사는 기능이 지식만큼이나 목적이 될 수 있다는 관점과 탐구는 사회에서 사고하는 힘을 길러준다는 Dewey의 관점을 드러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는 구체적인 소수의 기능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탐구기능은 성취기준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셋째, 탐구기능에 대한 교육과정 해설을 제시해 교사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 넷째, 탐구기능 성취기준은 기존 성취기준과 분리돼야 한다. 다섯째, 탐구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탐구질문을 제공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dify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develop a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and standards that contain inquiry skills, and to explore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an era where new knowledge is endlessly created, students should be able to play a role in creating and criticizing knowledge, not just accepting it.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nquiry learning that fosters students' thinking skill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social studies. However,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s inquiry only in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but lacks related content in the content framework or standards that teachers can actually use. This is in contrast to the active use of social studies curriculums in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Ontario, and Australia that already contain inquiry skills. Therefore, this study modified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overseas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develop a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and standards that contain the inquiry skill.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derive suggestions fo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by exploring how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ppears.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reading, evaluating, and adapting.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e three teachers fo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1-1. Befor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hat is the perspective of the three teachers on the inquiry skill? 1-2. How is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reading, evaluating, and adapting) of the three teachers fo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2. How is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e three teachers on the content framework and standard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that contain the inquiry skill? 2-1. How is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reading, evaluating, and adapting) of the three teachers on the content framework and standard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that contain the inquiry skill? 2-2. Afte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hat is the perspective of the three teachers on the inquiry skill? 3. How has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three teachers chang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skill in content framework and standard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teachers working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The thre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had distinctly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inquiry skill befor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rough three interviews with the three teachers each,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inquiry skill befor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ere clearly different. Secon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achers did not properly understand the skills to be taught in the unit,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way the skills were presented, and arbitrarily organized the unit plan. Thir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and standards that contain the inquiry skill, teachers clearly identified the skills to be taught in the unit,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 skills were presented, and were able to construct an inquiry-oriented unit plan. Fourth, afte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eachers showed relatively similar views on inquiry skills, and the three teachers expressed the view that skill can be as purposeful as knowledge and Dewey's view that inquiry fosters the power to think in society.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quiry should be presented with specific few skills. Second, the inquiry skill should be embodied as a standard. Third, it is necessary to help teachers understand inquiry skills by presenting curriculum explanations. Fourth, the standard of the inquiry skill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existing standard. Fifth, inquiry question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inquiry skil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탐구와 탐구기능 7 1. 탐구와 탐구학습의 정의 7 2. 탐구기능의 정의 및 유형 10 B. 국내외 사회과 교육과정의 탐구기능 제시 방식 14 1.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탐구기능 제시 방식 14 2. 해외 교육과정의 탐구기능 제시 방식 17 C.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38 1.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과 의미 38 2.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패턴 39 Ⅲ. 연구 방법 46 A. 연구자의 관점 46 B. 연구 참여자 48 C. 연구 도구 50 1.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개발 50 2. 면담 질문지 및 단원계획안 양식 개발 58 D. 자료 수집 60 E. 자료 분석 65 Ⅳ. 연구 결과 69 A.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 69 1. 교육과정 실행 전 탐구기능에 대한 세 교사의 관점 69 2.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77 B.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 99 1.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99 2. 교육과정 실행 후 탐구기능에 대한 세 교사의 관점 129 C. 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133 1. 세 교사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 133 2. 세 교사의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 141 Ⅴ. 논의 및 제언 150 A. 논의 150 B. 제언 156 참고 문헌 160 부록1. 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65 부록2. 면담질문지 175 부록3. 단원계획안 190 ABSTRACT 1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207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탐구기능을 반영하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and Standards that Contain Inquiry Skills-
dc.creator.othernameJin, Ye Eun-
dc.format.pagevii, 1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2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