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6 Download: 0

실의 물성을 조형화한 청색 자수 연구

Title
실의 물성을 조형화한 청색 자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lue embroidery that formatted the property of thread
Authors
조경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본 논문은 색채와 물질을 결합하고 이를 자수를 통해 조형화한 작품을 이론적·방법론적 측면에서 고찰한 연구로서 조형예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색채의 개념을 과학·철학·미술사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물질과의 관계성을 논한다. 다음으로 연구 작품에서 주된 색채로 표현되는 청색의 의미를 고찰하여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조형 요소로서 청색의 개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변화하고 확장하는 현대 자수의 개념과 양상을 고찰하며, 이를 통해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자수의 조형적 특성을 탐구하고 예술적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색채는 물리적 특성을 가진 객관적 실체로 단순하게 정의되거나 이해될 수 없으며, 다양한 관점과 맥락 속에서 이해되는 총체적 존재다. 인간은 빛을 통해서 시각이 형성되어‘본다’라는 행위를 할 수 있고, 이 빛을 통해서 대상의 크기, 움직임, 거리, 형태와 색채를 구분할 수 있다. 아이작 뉴턴은 이러한 빛과 색채의 관계를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여 사물이 색채를 갖게 되는 방식을 체계적으로 밝혔고, 빛과 색채를 분리할 수 없는 실체로 보았다. 괴테는 색채를 현상적 측면에서 보았고, 과학·예술·심리적 관점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연관지어 서술하였다. 그의 이론은 빛과 눈의 존재에 대한 인정을 전제로 시작되었는데 “색채는 인간의 눈에서 내부의 빛과 외부의 빛의 반응으로 유발되고, 시각을 매개로 특유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며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주장하였다. 20세기의 예술가들은 색채를 표현의 주체로 승격시키며, 그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순수함을 찬양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칸딘스키는 색채의 정신적이고 상징적인 의미에 주목하며 자신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슈브뢸은 색채의 물리적인 형상과 더불어 시각적인 효과에 주목하여 색채 간의 관계성을 밝혔다. 이처럼 색채가 고정된 개념이 아닌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한 유기적인 것임을 인지한다면 조형예술에서 더할 나위 없는 감성적 언어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색채는 물질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특히 현대 미술에서 색채와 물질은 개념과 위상이 바뀌어 도구적 의미에서 벗어나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존재가 되었다. 조형예술에서 물질은 색채를 구현함과 동시에 색채의 상징성과 의미를 더욱 풍요롭게 확장시키거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결국, 물질은 예술가의 세계관과 감정을 대변하는 실체로 그 의미가 더욱 중요해졌다. 본 논문은 색채 가운데 청색에 주목하였다. 청색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며, 변화하는 의미와 가치, 그 상징성은 안료의 역사적 맥락 안에서 이해된다. 이른바 피카소의 청색 시대(스페인어: Periodo Azul)에 주로 사용된 파란색은 작가 자신의 우울하고 슬픈 감정과 더불어 소외되고 가난 사람들의 고단한 삶을 나타낸다. 이브 클렌의 파란색은 하늘과 바다에서 비롯된 것이며, 에너지가 가득한 무한의 공간인 하늘을 파란색 모노크롬이라고 생각했다. 추상화가 김환기는 피카소와는 다른 각도에서 파란색을 바라보고, 자연과의 교감과 작가의 정서에서 나오는 맑고 투명한 푸르름으로 인지하였다. 그리고 섬유와 파란색을 결합한 루이스 부르주아와 서도호는 각각 일상의 도피를 은유하는 색채와 한국의 문화적 배경을 설명하는 색채로 파란색을 제시한다. 이처럼 파란색이 지니는 시각적이고 감성적인 힘은 강력하기에 예술가의 감성과 조형적 심미성을 전달할 수 있는 조형 언어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 ‘경계 허물기’로 작동하는 현대 미술은 영역의 구분이 없어지고 매체와 재료가 혼용되면서 그 영역이 확장되었다. 전통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물질과 오브제, 표현기법을 받아들였고, 이러한 흐름 속에 섬유의 물성은 실존적 경험과 촉각적인 부드러움, 그리고 감수성을 표현할 수 있는 독자적인 매체로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더욱 적극적으로 제시되었다. 현대 자수도 이와 같은 흐름에 합류하였고 예술적 순수성과 미적 가치를 강조하며 형식의 변환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주류 미술에 밀려 차별받고 등한시되었던 공예의 다양한 재료와 기법, 제작 과정들이 새로운 예술적 표현 매체로 주목받게 된 배경 속에서 저급한 미술로 취급받던 여성의 수공예 작업, 자수를 포함한 섬유예술의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특히 전통 자수와 퀼트 등과 같은 ‘여성미술’은 부드러운 섬유 재료와 상호작용하며 현대예술에서 새로운 위치를 차지하며 자수의 기능과 의미를 확장시키게 되었다. 본 논문은 색채와 물질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조형적 감성에 집중했으며 물질 중에서도 따스한 감성과 시각적·촉각적 부드러움이 근저를 이루는 실이라는 섬유 소재를 통해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섬유는 인간의 생(生)과 사(死)의 순간을 함께한 물질로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매체다. 특히 조형예술에서 섬유는 가변적이고 우연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형태와 풍부한 다의성을 끌어낼 수 있는 좋은 영감의 원천이 된다. 유연하고 비결정적 구조를 지닌 섬유의 물성은 예술가가 예측할 수 없는 결과물을 창출하게 하며 창작의 영역을 넓혔다. 실의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을 쌓아 더미의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더미는 시간의 개념이 포함된 개념으로, 형식이 전통 파괴적인 행위로 이루어져 있고 가치들을 보전하는 기능적인 형태로 변모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청색의 실을 쌓고, 꼬고, 수를 놓으면서, 생동하는 색채와 실의 고유한 물성을 결합하여 조형화하는 과정을 전개하였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조형적 표현 형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의 물성과 구조적 특성을 활용하여 고유한 결과 색채가 강력하게 대두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이와 더불어 평면과 입체를 아우르는 자수의 개념으로 조형화하며, 구조적 공간에서의 새로운 선적 표현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정립해 나가는 현대 자수 영역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그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work that combined colors and materials and was sculpted through embroidery from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oints of view. It approached and identified the concept of color, important in plastic arts, from the scientific, philosophical, and art history aspects, and also discussed its relationship with materials. Additionally, this study tried to secure the certainty of blue, a subjective and emotional color,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blue expressed as the main color in the target work. Last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mbroidery that appeared in the formative works of the researcher and reveal the artistic value of it by evaluating the concept and patterns of modern embroidery that changed and expanded. Color cannot be simply defined or understood as an objective entity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but rather should be seen as a holistic existence understood in various viewpoints and contexts. Human beings can perform the act of "seeing" as vision is formed through light, and through this light, distinguish the size, movement, distance, shape, and color of an object. Isaac Newton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color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revealed how things had colors, and thus came to view light and color as inseparable substances. Goethe rather examined color from a phenomenal perspective, and he related and described it in a wider range, such as scientific, artist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His theory, which started with the premise of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light and eyes, holds his ground that “color is induced by the reaction between internal light and external light in the human eye, and it evokes unique emotions through vision and influences emotions.” Artists in the 20th century raised the status of color to an expressive subject, gave meaning to color, and praised pure color. Kandinsky also developed his theory, paying attention to the spiritual and symbolic meaning of color in this context. Moreover, Chevreul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color while paying attention to color's visual effect as well as its physical shape. As a result, when we recognize that colors have organic characteristics with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it is not a fixed concept, color can serve as an excellent emotional formative language in plastic arts. In addition, color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materials. The coexisting colors and materials have become a subjective and independent existence, beyond its instrumental meaning, especial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and status of contemporary arts. In plastic arts, materials embody color and maximize the symbolism and meaning of color or give it a new meaning at the same time. Therefore, as the material is the truth that represents the artist's view of the world and emotions, the meaning of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Out of the different color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blue. Blue is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imes and cultures, and its changing meaning, value, and symbolism are understood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igment. In terms of blue color that appeared in the formative arts, blue expresses gloomy and sad emotions in Picasso's Blue Period and it is a color that represents the hard life of alienated and poor people. Yves Klein considered blue as a color derived from the sky and the sea and recognized the infinite space filled with energy embraced by the blue sky as blue monochrome. Kim Whanki, an abstract artist, accepted blue from a different angle than Picasso and perceived it as a clear and transparent blue that came from the communion with nature and an artist's feelings. Moreover, Louise Bourgeois and Suh Do Ho respectively characterized blue as a color that represents an escape from our everyday lives and a color that explains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Since the visual and emotional power of blue is strong, as clearly shown above, it can be explored as a formative language that can convey the artist's emotions and formative aesthetics. It has expanded the boundary of plastic art while removing the division between domains and mixing media and materials in contemporary art, which operates on the principle of breaking down boundaries. The substances, objects, and expressive techniques that have not drawn attention until now are applied on the screen, and in this tre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extiles have been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medium for expressing existential experiences, tactile images, and sensibility and have been presented more actively. Contemporary embroidery also joined this trend and sought ways to transform the form while emphasizing artistic purity and aesthetic value. As a result, various materials, technique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of crafts that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and neglected by mainstream arts have drawn attention as new artistic expression media. In this background, the value of women's handicrafts and textile arts, including embroidery, regarded as inferior arts are being re-evaluated. Particularly, as feminine art such as traditional embroidery and quilting has interacted with soft textile materials to occupy a new position in contemporary art, it has begun to expand the function and meaning of embroidery. This study tried to focus on the formative sensibility that i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color and material, particularly by taking an emotional approach through yarn, a fiber material that exudes a warm sensibility and visual and tactile softness. Fiber is a material that has lived with the human race through life and death and is indispensable and important for human beings. Especially, in plastic art, fiber can be a good source of inspiration to draw new forms and rich equivocality because it has variable and contingent elements. The flexible and non-deterministic properties of textiles have broadened the scope of creation because it helps artists to create unpredictable results. To maximiz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the yarn is stacked and expressed in a dummy manner. The dummy is a concept related to temporality, a form made by behaviors destroying tradition and, on the other hand, transforming into a functional form that preserves values to have a meaning.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sculpting by combining vivid colors and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yarn while stacking blue yarn, twisting, and embroidering with it with the intent to propose a new formative expression form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 researcher utilized the phys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yarn to express the vividly emerging uniqueness of the resulting color. Moreover, it was formed with the concept of embroidery encompassing both flat and three-dimensional shapes and sought a new linear expression in the structural space. It aim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domain in the field of modern embroidery, which is establishing new meanings and values through th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