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개인의 문화자본이 문화권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개인의 문화자본이 문화권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ultural Capital on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at the Individual Level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
Authors
신효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통희

조정래
Abstract
문화권은 1946년 <세계인권선언>에서 명시된 중요한 인권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국내의 <문화기본법>에서 모든 국민이 가진 권리로 명시하고 있는 권리 중의 하나이다. 문화권은 예술을 향유하고 문화적 삶에 참여하며 문화적 혜택을 공유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문화권에 대한 인식은 스스로 문화 활동에 참가하고 자유롭게 문화적 표현을 사용하며 문화시설의 방문을 촉진하고 문화와 관련된 교육을 찾도록 이끈다. 따라서 문화권 인식은 한 개인이 문화를 통해 더 나은 삶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려는 중요한 의식이다. 그리고 문화를 통해 자신의 행복과 삶의 질, 인간다운 삶을 실현해 가는 과정에 필요한 권리에 대한 인식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권 인식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가지고 이 논문에서는 문화권의 개념을 개인 차원에서 재정립하고, 개인의 문화자본이 문화권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시설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문화권에 대한 권리의식(문화권 인식)의 증진 방안을 논의했다. 개인이 문화자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축적된 문화적 경험이 필요하다. 문화자본은 자신의 삶에 대한 자율성을 획득하고, 자신이 가진 문화적 정체성을 확인하며 사회와 자신 간 관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는다. 그러므로 문화자본은 개인의 인권으로서 문화권에 대한 인식을 높여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문화 체험의 장인 문화시설로서 미술관의 공공성은 문화권 인식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미술관의 공공성이 문화자본의 문화권에 대한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문화권 인식을 종속변수로, 문화자본을 독립변수로, 미술관의 공공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했다. 기존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문화권은 문화자유권, 문화평등권, 문화참여권, 문화환경권, 문화교육권으로 구성했다. 문화자본은 상속자본과 획득자본으로 구성했다. 상속자본은 부모의 문화에 대한 영향력을 의미하며, 자녀를 양육한 시기의 부모의 문화자본과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제공한 예술관련 사교육으로 구성했다. 획득자본은 본인 스스로의 노력으로 얻은 문화적 경험, 습관이나 성향을 의미하며 본인의 문화에 대한 태도와 예술교육 경험으로 구성했다. 미술관의 공공성은 공동성, 비전유성, 법제적 권위성, 공민성, 개방성, 공론성, 공익성으로 구성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민이다. 서울 25개 구를 대표하는 공원을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설문에 대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했고, 신뢰도 검사를 통하여 신뢰도를 확인했다. 그리고 문화자본, 미술관의 공공성, 그리고 문화권 인식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속자본은 문화권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획득자본은 문화권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문화자본이나 성장기 과정에서 받은 예술관련 사교육이 많을수록 문화권 인식은 낮았다. 하지만 본인 스스로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거나 스스로 예술교육을 받은 경험이 많을수록 문화권 인식이 높았다. 그리고 미술관의 공공성이 높을수록 문화권 인식도 높았다. 또한 획득자본과 문화권 인식 간의 관계에서 미술관의 공공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자발적인 예술교육 경험은 미술관의 공공성을 매개로 문화권 인식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자의지에 의한 문화 활동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 획득자본이 직접적으로 문화권 인식을 높임은 물론 대표적인 문화시설인 미술관의 공공성을 매개로 문화권 인식을 간접적으로 제고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부는 시민들의 선호, 태도, 또는 자의지에 의한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그리고 문화시설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문화정책을 펴야 한다. 이러한 문화정책은 결국 시민들의 문화권 인식을 제고할 것이며, 제고된 문화권 인식은 문화정책에 대한 수요의 양과 질을 높여 문화정책, 문화 활동, 그리고 문화권 인식 간 선순환의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획득자본이 이러한 선순환을 유발하는 기반으로 작용하는 이유는 스스로 문화를 자신의 삶 안으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어가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미술관의 공공성이 문화권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미술관의 공공성이 내포하는 공동체 의식, 공익, 형평, 정보 공개, 의사소통 등은 사람들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정체성을 가지고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 스스로를 존중하고 자신의 삶이 중요하다는 의식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미술관 외에 다른 문화시설 또한 마찬가지로 유사한 역할을 하므로 문화시설의 공공성은 문화정책의 중요한 가치이며 동시에 문화정책과정에서 쟁점임을 의미한다. 그 쟁점의 핵심은 인권으로서 문화권을 증진하기 위한 문화시설의 공공성을 얼마나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이다.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IMF로부터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을 요구받았고, 문화시설의 민영화는 최대의 쟁점 중 하나였다. 이러한 논란은 현재 잠복해 있으나 언제든지 쟁점으로 부상할 개연성이 있다.;The cultural rights is one of the essential human rights clarified in the 1946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t is also one of the rights stipulated as a right ensured to all citizens in Korea's Framework Act on Culture. It basically refers to a right to enjoy art, participate in cultural life, and share cultural benefits.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ths leads to self-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e unrestricted use of cultural expressions, the promotion of visits to cultural facilities, and the search for education related to culture. Therefore, cultural rights is a significant cognition for an individual to maintain and develop a better life with culture. It is equal to an awareness of rights necessary for realizing one's happiness, quality of life and human life through culture. Nevertheless, the studies on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are very insufficient. In a critical point of view of this, this thesis that redefines the concept of cultural rights at an individual level empirically analyzes both the influence of an individual’s cultural capital on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facilities with it, while discussing ways to promote a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For an individual to make cultural capital, cultural experience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required. Cultural capital helps to acquire self autonomy over an individual’s life, to confirm its cultural identity, an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oneself. Accordingly, cultural capital can probably increase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as an individual's human rights. As a cultural facilit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culture,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plays a role in carrying cultural capital’s influence on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In other words,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would medi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capital on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thesis which sets up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as a dependent variable, cultural capital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as a mediating variable attempts an empirical analysis. First of all, on a critical review of the existing theories, cultural rights a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cultural freedom, cultural equality, cultural participation, cultural environment, and lastly cultural education. Secondly, cultural capital is again subdivided into two types; inherited capital and acquired capital. On the one hand, inherited capital refers to the influence of parents on culture, which consists of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art-related private education provided during the period of raisi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acquired capital refers to cultural experience, habit, or tendency obtained through an individual’s efforts, which is made of one's attitude toward culture and art education experience. Lastly,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is composed of commonness, inappropriability, legislative authority, public citizenship, openness, public discourse, and public interes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eoul citizens. In the representative parks of the 25 districts in Seoul, statistical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by survey.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is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data through reliability test.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the publicness of museum of art, and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i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bove all, it appears that inherited capital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but on the contrary, acquired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Specifically, on one hand, the more parental cultural capital or art-related private education received during an individual’s growing-up process is, the lower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is. On the other hand, the more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culture or the experience of art education is, the higher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is. Moreover, the higher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is, the higher the cognition i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i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quired capital and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culture and the experience of voluntary art education raise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through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The analysis results imply that the acquired capital formed by the experience of voluntary cultural activities not only directly raises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but also indirectly due to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facility. Consequently, the government needs to support cultural activities based on citizens' preference, attitude, or free will and also implement a cultural policy that strengthens the publicness of cultural facilities. This will eventually raise the citizens'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Henc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raised rights cognition will again increas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demand for cultural policy, resulting in a virtuous cycle between cultural policies, cultural activities and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The acquired capital plays a role as a factor for inducing this virtuous cycle is because it makes one’s life happily as culture is positively accepted into one’s own life. Lastly, a cause of why the perceived publicness of museum of ar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on of cultural rights is because a sense of community, public interest, equity, information disclosure, communication, and so forth not only allow an individual to live an independent life with self-identification in relations with others, but also respect oneself as well as elevate a cognition that one’s life is significant. Other cultural facilities in addition to museum of art also take similar roles, so the publicness of cultural facilities is an important value of cultural policy, which means that it would be controversial in cultural policies’process. The main controversy is ways to maintain the publicness to promote cultural rights as human right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Korea was harshly demanded for neoliberal structural reforms from the IMF, and the privatization of cultural facilities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ontroversies. These controversies seems to be dormant for now,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could resurface at any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