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산모의 양육스트레스, 자기자비, 가족관계 및 수면의 질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산모의 양육스트레스, 자기자비, 가족관계 및 수면의 질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Self-Compassion, Family Relationship and Sleep Quality on Postpartum Depression
Authors
오희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self-compassion, family relationship and sleep quality on postpartum depression.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Ewha Womans University, mothers within 6 months of childbirth were recruited until March 5th, 2021. The total sample comprised of 141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their parenting stress, self-compassion, family relationship, sleep quality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evalua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parenting stress, self-compassion, family relationship, sleep quality,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dinburgh Postpartum Depression Scale(K-EPDS: Kim et al., 2008), the Korea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 Lee, Jung, Park, & Kim, 2008),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K-SCS: Kim, Yi, Cho, Chai, & Lee, 2008), the Family Relationship Assessment Scale (FRAS: Kim, Gil, & Kim-Godwin, 2020),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K-PSQI: Shon et al., 2012), respectivel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ostpartum depression scored statistically higher in mothers with past diagnosis of depression, unintended pregnancy, no family support system, and dissatisfying family support. 2. Postpartum depress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and sleep quality, whil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compassion and family relationship. 3.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were satisfaction with family support, parenting stress, self-compassion, family relationship, and sleep quality, which explained 63.5% of the total variance. Given these findings, all the associated factors assessed in this study were in correlation with postpartum depression. The major predictive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were parenting stress, self-compassion, family relationship, sleep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support. Hence, a need for developing future nursing interventions on reinforcing family relationship and self-compassion, while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increasing sleep quality is suggeste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with postpartum depression.;산모는 출산을 통해 엄마가 되는 시기를 겪으며, 신체적 변화와 함께 심리적인 변화가 있으며, 양육, 가족관계의 변화와 같은 상황은 산후우울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산모의 산후우울 증상은 이후 영아학대, 영아살해, 자살과 같은 다양한 문제로 발전될 수 있어 산모의 산후우울을 파악하고 예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모의 양육스트레스, 자기자비, 가족관계, 수면의 질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상남도 소재 산부인과의원, 소아청소년과의원을 내원한 출산 후 6개월 이내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함께 참여하기로 동의한 산모를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생명 윤리 위원회(IRB)승인을 받은 후 2021년 2월 1일부터 2021년 3월 5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만 18세 이상 ~ 만 49세 이하에 해당하는,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동의한 출산 후 6개월 이내의 산모이다. 제외기준은 연구의 내용을 적절히 이해하고 수행할 수 없는 자이다. 양육스트레스는 한국판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축약형(K-PSI-SF;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 2008), 자기자비는 한국판 자기자비척도(K-SCS;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가족관계는 가족관계사정도구(Kim, Gil, & Kim-Godwin, 2020), 수면의 질은 한국판 수면측정도구(PSQI-K; Shon, Kim, Lee, & Cho, 2012), 산후우울은 한국판 출산 후 우울증 척도(K-EPDS; 김용구 등, 2008)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산모의 산후우울은 과거 우울 진단여부, 계획 임신여부, 가족지지 유무, 가족 지지체계, 가족지지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거 우울 진단을 받았을 때(t=-2.785, p=.006), 계획 임신이 아닐 때(t=-2.003, p=.047), 가족 지지체계가 없을 때(t=-4.141, p=.000), 가족지지 만족도가 불만족일 때(F=24.301, p<.000),산모의 산후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산모의 산후우울의 평균은 9.70±5.55점, 양육스트레스는 82.29±22.24점, 자기자비는 85.43±16.90점, 가족관계는 10.47±8.72점, 수면의 질은 8.60±3.53점으로 나타났다. 3. 산모의 양육스트레스, 자기자비, 가족관계, 수면의질, 산후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산후우울(r=.677,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자비와 산후우울(r=-.60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가족관계와 산후우울(r=-.59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수면의 질과 산후우울(r=.558,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산모의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모의 산후우울에는 양육 스트레스(β=.332, p<.001), 자기자비(β=-.193, p=.009), 가족관계(β=-.205, p=.004), 수면의 질(β=.25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산후우울에 대한 59.1%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은 산후우울과 정적 상관관계를, 자기자비와 가족관계는 산후우울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모의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요인은 가족지지 만족도, 양육스트레스, 자기자비, 가족관계, 수면의질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가족지지 만족도가 보통, 불만족일 때,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자기자비가 낮아질 때, 가족관계가 건강하지 않을 때, 수면의 질이 저하될 때 산후우울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