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09 Download: 0

응급실 내원 COVID-19 의심환자에 대한 간호진단-간호중재분류체계-간호결과분류체계 연계체계의 적용

Title
응급실 내원 COVID-19 의심환자에 대한 간호진단-간호중재분류체계-간호결과분류체계 연계체계의 적용
Other Titles
The Application of the Linkage of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and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for Suspected COVID-19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uthors
이혜인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주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에 대응하여 아이오와 대학의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새로운 간호진단-간호중재분류체계-간호결과분류체계 연계체계를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간호과정에 적용해봄으로써 다빈도의 연계체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2021년 9월 1일부터 2021년 10월 2일까지 약 한 달간 평균 8년 이상의 응급실 임상경력을 가진 간호사 10명이 참여하여 총 240개의 간호진단-간호중재분류체계-간호결과분류체계 연계표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내원 COVID-19 의심환자에 적용된 다빈도 간호진단은 비효율적 호흡 양상 60명(25.0%), 가스 교환 장애 48명(20.0%), 방어 능력 저하 20명(8.3%), 호흡 기능 장애 20명(8.3%), 기도 개방 유지 불능 18명(7.5%), 감염 위험성 18명(7.5%) 순으로 보고되었다. 2. 응급실 내원 COVID-19 의심환자에 적용된 다빈도 간호중재분류체계는 활력 증상 감시 148명(61.7%), 산소 요법 108명(45.0%), 호흡 관련 자료감시 80명(33.3%), 산·염기 감시 53명(22.1%), 체위 30명(12.5%), 전해질 관리 28명(11.7%), 감염 방지 27명(11.3%), 산·염기 관리:호흡성 산증 25명(10.4%), 위험 확인 23명(9.6%), 환경 관리:안전 20명(8.3%), 불안 감소 16명(6.7%), 기도 흡인 15명(6.3%), 낙상 방지 13명(5.4%), 기도 관리 12명(5.0%), 환기 보조 12명(5.0%), 정서 지지 11명(4.6%), 인공 기도 관리 10명(4.2%), 기계적 환기 관리:비침습적 10명(4.2%) 순으로 보고되었다. 3. 응급실 내원 COVID-19 의심환자에 적용된 다빈도 간호결과분류체계는 활력 징후 148명(61.7%), 호흡 상태 126명(52.5%), 호흡 상태:가스 교환 93명(38.8%),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36명(15..0%), 급성 호흡기 산증 중증도 34명(14.2%), 호흡 상태:환기 31명(12.9%), 불안 수준 31명(12.9%), 위험 통제:감염 과정 28명(11.7%), 감염 심각성 25명(10.4%), 호흡 상태:기도 개방 23명(9.6%), 인공호흡기 반응:성인 22명(9.2%), 신경계 상태:의식 22명(9.2%), 면역상태 21명(8.8%), 증상 심각성 16명(6.7%), 피로 수준 14명(5.8%), 신경계 상태 13명(5.4%), 영양 상태 12명(5.0%), 불편감 수준 12명(5.0%), 기동력 11명(4.6%), 통증 수준 10명(4.2%), 자가 관리:폐렴 10명(4.2%) 순으로 보고되었다. 4. 응급실 내원 COVID-19 의심환자에 적용된 다빈도 간호진단-간호중재분류체계-간호결과분류체계 연계체계는 ‘비효율적 호흡 양상-활력 증상 감시-호흡 상태’, ‘가스 교환 장애-산소 요법-호흡 상태:가스 교환’, ‘방어 능력 저하-활력 증상 감시-위험 통제:감염 과정’, ‘호흡 기능 장애-활력 증상 감시-활력 징후’, ‘기도 개방 유지 불능-기도 흡인-호흡 상태:기도 개방’, ‘감염 위험성-감염방지-감염 심각성’이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응급실 내원 COVID-19 의심환자에서는 호흡기 증상에 적용한 간호진단-간호중재분류체계-간호결과분류체계 연계체계가 다빈도로 나타났다. 호흡기 증상이 있는 COVID-19 환자에게 특정적인 전문적 간호과정은 호흡기계 상태에 대한 직접적인 중재뿐만 아니라 활력 징후 감시를 중요한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방어 능력과 감염위험 증상에 적용된 연계체계도 유의미한 빈도로 나타났으며, 피로감 및 발열 등 관련 증상이 있는 COVID-19 환자의 경우 동반 질환이나 전반적인 면역상태 등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간호할 필요가 있다. COVID-19 환자에게 유효성과 신뢰성이 보고된 분류체계의 연계체계를 사용하여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COVID-19 환자의 치료 및 회복과정이 촉진될 수 있으며 간호업무가 간호사에게 구체화 및 가시화되어 간호사의 직업 역할 및 직무 성과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발견된 다빈도 연계체계가 COVID-19 의심환자에 적용할 과학적인 간호과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반복 연구로 보완할 것 및 COVID-19 의심환자를 대면하는 간호사들이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requently used NANDA, NIC, and NOC and their linkages by applying NANDA, NIC, and NOC linkages recently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Iowa for use by nurses in practice concerning the COVID-19 outbreak to suspected COVID-19 patient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research survey desig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 2021, and 10 nurses with an average of 8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participated. A total of 240 tables of NANDA, NIC, and NOC linkages was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Frequently used NANDA, NOC, and NIC linkages applied to suspected COVID-19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ere reported in the order of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vital signs monitoring-respiratory status, impaired gas exchange-oxygen therapy-respiratory status: gas exchange, ineffective protection-vital signs monitoring-risk control: infectious process, impaired spontaneous ventilation-vital signs monitoring-vital signs, ineffective airway clearance-airway suctioning-respiratory status: airway patency, and risk for infection-infection protection-infection severity. In conclusion, respiratory symptoms are frequent in suspected COVID-19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can facilitate COVID-19 patients' treatment and recovery processes and visualize nursing practices using effective and reliable NANDA, NOC, and NIC linkages. The findings revealed the need to repeat research and implement an educational program where the frequently applied linkages found in this study can guide the scientific nursing process to be applied to suspected COVID-19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