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4 Download: 0

고려시대 자기제 항(缸) 연구

Title
고려시대 자기제 항(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eramic Hang [缸] of Goryeo Dynasty
Authors
박정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ative origin an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o the production of ceramic Hang[缸] created in the Goryeo Period, and to specify the formative style and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vessels by examining domestic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Hang[缸], the subject of this study, refers to articles with a wide open rim and a flat body, and it was made of materials such as celadon, white porcelain, ceramic, and bronze during the Goryeo Period. It is about 12cm high with a diameter of 20cm, which is relatively consistent. The key feature of Hang[缸] is that it opens wide from the bottom, reaches the maximum diameter at the shoulder part, and then narrows again and opens at the rim. The articles with these formative propertie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Hang[缸]' in academia. However, the same articles are also called Jar, Dongi, and Jabegi in some areas. This has hindered not only the collection of empirical data, which is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but also academic access to artifacts. Therefore, this study named it ‘Hang[缸]’ according to the name shared by academia, in order to minimize the confusion of the study.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ceramic Hang[缸] which had a very large number of remains and artefacts, and predominant features in term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the domestic ceramic Hang[缸] has been confirmed to begin at Bangsan-dong kiln sites for the early celadon, Siheung,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e-Goryoe situation in and outside the country. As a result, the shape of Hang[缸] could be found from China's Five Dynasty period to the early Northern Song Dynasty (Yaozhouyao kiln). The same shape was also created in southern kiln sites including Changshayao kiln and Hengzhouyao kiln, and lacquerware was also found even though there were a few. Hang[缸] created from the Tang Dynasty to the Northern Song Dynasty in China had in common: they were excavated together with tea utensils from burial sites, and it is assumed that they were article used in the grilled tea drinking way(煮茶法) that was popular at the time according to literature and painting material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intention of the ceramic industry to produce tea ware its own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 influx of Chinese tea culture and tea utensils could be the direct driving force behind the production of domestic ceramic Hang[缸]. The ceramic Hang[缸] was found to be produced from the middle of the 10th century to the late 13th century, and it was consum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The Kiln sites of the early Goryeo period started from Bangsan-dong kiln site in Siheung, followed by Seori in Yongin, Jungam-ri in Yeoju, and Yongun-ri in Gangjin. After the middle Goryeo Period, it was found to be produced in Sadang-ri in Gangjin, Yucheon-ri·Jinseo-ri in Buan, Bojeong-ri in Yongin, and Guam-ri in Jincheon. The consumption sites are divided into building sites, temples, and tomb sit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s. In the building sites, remains were excavated from the Goryeo Palace Site in Gaeseong(Goryeo’s capital), Gwancheong-ri· Okrim-ri·Yongjeong-ri in Ganghwa-do island, Yongjangseong in Jindo, and Hangpaduriseong in Jeju island. The temple sites include Godalsa temple site and Wonhyangsa temple site in Yeoju, Beopcheonsa temple site in Wonju, Seongjusa temple site in Boryeong, and Beophwasa temple site in Wando. The remains of tomb sites were found in 16 tombs in 14 site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the Stone Chamber Tomb in Neungnae-ri, Ganghwa-do island, Bulro-dong in Incheon, and Samhwa-dong in Donghae. In addition, celadon Hang[缸] was excavated from Daeseom Island and waters of Mado Island in Taean. A total of 161 remains and artefacts excavated in the Goryeo Period a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of ceramic Hang[缸]. The upper attributes of type classification focused on diameter and height, which are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he formativeness of Hang[缸], and they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ratio of height to diameter. Those with a height-to-diameter ratio of 1:2 or less were Type I, whereas those with a height-to-diameter ratio of 1:2 or higher were Type II. The sub-attributes were subdivided into A-type (leg heel), B-type (inner heel), and C-type (flat-bottom) according to the type of heel. Type I is the most basic form and 133 out of 161 were found, accounting for 83% of the total Hangs[缸], and all A, B, and C types were found here. On the other hand, 28(17%) pieces of Hang[缸] were found as Type II, all of which were type A. In particular, Type II appeared at the kiln sites in Gangjin and Buan only for a limited time. The decorative techniques for the surface, intaglio·inlay technique, applique motifs(貼花), and underglaze iron techniques were used and nearly 40 Hangs[缸] were excavated, with a high portion of non-patterned Hang[缸]. The production of ceramic Hang[缸] in the Goryeo Period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Period I (the mid-10th century ~ the early 12th century) was a time when the production of ceramic Hang[缸] began. The ceramic Hang[缸] created in the Period I was characterized by different types of Hang[缸] depending on kiln sites, and they were produced in small quantities. Period II (the mid-12th century ~ the third quarter of the 13th century) can be defined as a time when the production of ceramic Hang[缸] began in earnest and spread nationwide. Hang[缸] was produced in Sadang-ri in Gangjin, Yucheon-ri and Jinseo-ri in Buan, Bojeong-ri in Yongin, and Guam-ri in Jincheon. Type I Hang[缸] was mainly created, and a new type of celadon Hang[缸], Type II has been expanded with the passage of time. Lastly, Period III (the fourth quarter of the 13th century ~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was a time when the production of Hang[缸] declined. Its production was stopped at the kiln sites in Gangjin and Buan, and it seems that it was produced at kiln sites in some provinces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based on the examples of consumption historic sites such as tombs. After that, the production of Hang[缸] was stopped, which reaffirms that it was a special vessel that was produced and consumed only during the limited period of Goryeo. The production of ceramic Hang[缸] in the Goryeo Period was related to tea culture from China that. This was also the case in the Goryeo Period, and Hang[缸] was found to be kind of tea utensils through the remains excavated from tombs that were buried during the same period, such as Jeongha-dong in Andong, Bulo-dong in Incheon, and Mt. Donghak-san in Hwaseong. The use of Hang[缸] was supposed to be a vessel for containing liquids such as tea water, give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opened rim and thick glaze on the inside and outside. Specifically,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ea sets buried and literature data,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might be used to put or throw away tea water in grilled tea drinking way(煮茶法) or Tea Brewing(散茶法), or it was a container for soup after drinking tea. The consumption use of Hang[缸] as tea utensils was also assumed as the articles used for banquets and events including banquets drinking tea(茶宴) based on the excavated remains because it was excavated from historic sites related to ‘banquet’ and ‘pavilion’. In addition, it was selected as the items for burial and then buried in tombs together with other tea utensils required for tea making(行茶) and tea drinking(飮茶) process. When all the findings were combined, the characteristics of Hang[缸]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at it was divided into high grade and low grade according to kiln sites for its production. In particula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aking process such as decorative technique, pattern, and stand. Second, it showed a clear regional difference in the consumption of Hang[缸]. Except for the relics related to the highest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Hang[缸] in temples and tomb sites. The reason was perhaps because very a few pieces of Hang[缸] were produced at kiln sites in Gangjin and Buan which produced high-quality celadon, and there were problems in cost and transportation due to the medium or larger size of vessels in the Goryeo Period. Lastly,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vessels of the Goryeo Period in that Hang[缸] is articles made of ceramic, porcelain, and bronze. In particular, ceramic and Pottery Hang[缸], which were mainly produced, ha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the first independent study on ceramic Hang[缸] in the Goryeo Period, this study examined the all aspects of articles such as production kiln sites, consumption places, production time, production types and decorative techniques. Besides, this study looked into the articles of Hang[缸] in relation to the overall culture around it, based on the excavated remains. Hang[缸] was closely related to tea cultures as the articles used in the actual tea making(行茶) process of the Goryeo Period, so it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critical empirical data for understanding tea culture of the Goryeo Period, such as tea drinking method and the class to enjoy.;본 연구는 고려시대 제작된 자기제 항(缸)을 대상으로 조형적 연원과 제작배경을 파악하고, 국내 생산 및 소비 양상을 검토하여 조형적 양식과 기명의 용도, 성격 등을 구체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항은 넓게 벌어진 구연과 납작한 몸체를 가진 기물을 말하며, 고려시대에 청자와 백자, 도기, 청동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었다. 높이는 12cm 내외, 구경은 20cm 내외로 비교적 일정한 편이며, 저부에서부터 넓게 벌어지다가 견부에서 최대경을 이룬 후 다시 오므라지며 구연부에서 내만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위와 같은 기물에 대해 학계에서는 보통 ‘항’이라 지칭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동일 기형에 대해 호, 동이, 자배기 등으로 명칭을 혼용하고 있었다. 이는 연구의 기초가 되는 실증적 자료의 수집을 방해하고, 유물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연구의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학계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명칭을 따라 ‘항’이라 명명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범위는 출토 및 전세 수량이 월등히 많고, 생산 및 소비의 측면에서 뚜렷한 성격을 갖는 자기제에 한정하였다. 국내 자기제 항의 시작은 초기청자요장인 시흥 방산동 요장에서부터 확인되는 바, 고려 이전 국내외 상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항의 조형(祖形)은 중국 월주요(越州窯)에서 찾을 수 있었다. 동일한 기형은 장사요(長沙窯), 형주요(衡州窯) 등 남방계 요장에서도 제작되었으며, 칠기제로도 확인되었다. 중국에서 항은 분묘 유적에서 다구와 공반 출토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문헌사료와 회화자료 등을 통해 당대 유행하였던 자다법(煮茶法)에서 찻물을 담는 용기인 숙우(熟盂)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다기의 자체적인 생산이라는 고려 초 자기 요업의 목적과도 일치하며, 국내 자기제 항이 제작되게 된 배경에는 중국 차문화 및 다구의 유입이 직접적인 동인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어서 고려시대 생산 및 소비 유적 출토 사례를 검토한 결과, 자기제 항의 제작은 10세기 중엽부터 13세기 후반까지 파악되며, 소비는 14세기 전반까지도 확인된다. 고려 전기 요장으로는 시흥 방산동 요장을 시작으로 용인 서리, 여주 중암리, 강진 용운리 등이 있으며, 고려 중기 이후에는 강진 사당리와 부안 유천리·진서리, 용인 보정리, 진천 구암리 요장에서 제작이 확인된다. 소비지는 유적의 성격에 따라 건물지, 사찰, 분묘 유적으로 구분되는데, 건물지 유적에서는 개성 고려궁성과 강화도 관청리·옥림리·용정리, 진도 용장성, 제주 항파두리성 등에서 출토되었다. 사찰 유적은 여주 고달사지·원향사지, 원주 법천사지, 보령 성주사지, 완도 법화사지 등이 있다. 분묘 유적은 강화 능내리 석실분, 인천 불로동, 동해 삼화동 등 16기의 분묘에서 확인되었다. 이외에 태안 대섬과 마도해역에서 청자항이 출수되었다. 유적 출토품과 전세품 161점을 대상으로 유형 분류를 시도한 결과 고려시대 자기제 항은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유형분류의 상위속성은 항의 조형성을 결정짓는 요소인 구경과 높이를 중점에 두었으며, 구경 대비 높이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2가지로 나누었다. 이에 높이 대비 구경의 비율이 1:2 이하인 것을 Ⅰ유형으로, 1:2 이상인 것을 Ⅱ유형으로 설정하였다. 하위속성은 굽의 형식에 따라 A형식(다리굽), B형식(안굽), C형식(평저)로 세분화하였다.Ⅰ유형은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전체 분석대상 161점 가운데 133점 확인되어 전체의 83%를 차지하였으며, A, B ,C형식 모두 확인된다. 반면 Ⅱ유형은 17%인 28점으로, 모두 A형식이다. 특히 Ⅱ유형은 강진 및 부안의 요장에서만 한정된 시기에 등장하는 유형임을 파악하였다. 기면을 다채롭게 장식하는 시문기법은 음각, 상감, 첩화, 철화 기법이 확인되었는데, 그 수량은 매우 적으며, 자기제 항의 경우 무문의 비율이 월등히 높은 편이다. 고려시대 자기제 항의 전반적인 흐름은 3시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10세기 중엽~12세기 전반)는 자기제 항의 제작이 시작된 시기이다. 제1기에 제작된 자기제 항의 특징은 요장마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는 점이며, 소량 생산되었다. 제2기(12세기 중엽~13세기 3/4분기)는 자기제 항의 제작이 본격화됨과 동시에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시기라 정의할 수 있다. 강진 사당리를 필두로 부안 유천리와 진서리, 용인 보정리, 진천 구암리 등에서 항이 제작되었다. Ⅰ유형의 항이 주로 제작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유형인 Ⅱ유형의 청자항이 병산되었다. 마지막으로 제3기(13세기 4/4분기~14세기 전반)는 항의 제작이 쇠퇴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강진 및 부안의 요장에서는 제작이 중단되었으며, 분묘 등 소비 유적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일부 지방의 요장에서는 14세기 전반까지도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항의 제작은 중단되는데, 고려라는 한정된 시기에만 제작·소비되었던 특수성을 가진 기명임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시대 자기제 항의 제작이 시작된 배경에는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차문화와 관련이 있었다. 이는 고려시대에도 마찬가지였는데, 안동 정하동, 인천 불로동, 화성 동학산 유적 등 동일시점에 일괄 매납된 분묘 유적 출토 사례를 통해 항이 다구의 일종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항의 쓰임은 내만형의 구연, 내·외면의 시유상태 등 조형적 특징을 근거로 찻물 등 액체를 담기 위한 기명이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공반 매납된 다기의 조합과 문헌자료 등을 근거로 자다법(煮茶法) 혹은 산다법(散茶法)에서 찻물을 담아두거나 버리는 용도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음다 후 마시는 탕(湯)을 담는 용기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구로서 항의 소비 방식 역시 유적출토품을 근거로 추정할 수 있었는데, ‘연회’,‘누각’과 관련된 건물지 유적들에서 출토되어 다연(茶宴)과 같은 연회에 실제 사용되었던 기물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행다 및 음다 과정에 요구되는 다른 다기들과 함께 매납품으로 채택되어 무덤에 부장되기도 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항의 성격은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우선 항은 생산요장에 따라 양질과 조질로 양분화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특히 장식기법, 문양, 번조받침 등 제작 공정의 차이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항의 소비에 있어 지역차가 뚜렷하다는 점이다. 최상위계층과 관련된 유적을 제외하고 사찰과 분묘 유적에서는 지역 인근의 요장에서 수급받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고급 청자를 생산하는 강진·부안의 요장에서 항이 제작되는 수량이 극히 적고, 고려시대 기명 중에서는 중형 이상의 크기이기 때문에 비용·운반의 문제도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항은 자기와 도기, 청동으로도 제작된 기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특히 제작의 주를 이루었던 자기와 도기는 제작과 소비에 있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본 논문은 고려시대 자기제 항에 대한 최초의 단독 연구로서 항의 생산요장과 소비처, 제작시기, 제작 유형 및 장식기법 등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유적 출토 사례를 근거로 항이라는 기물과 이를 둘러싼 문화 전반을 연결 지어 살펴보았다. 항은 고려시대 실제 행다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기물로서 차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음다 방식, 향유계층 등 고려시대 차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실증 자료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고려시대 기명 중 하나인 항에 대해 유적 출토 사례를 근거로 기물의 본질인 용도와 역할에 대해 규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