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7 Download: 0

인도네시아 현대미술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경향 연구

Title
인도네시아 현대미술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경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urrealist Tendency in Indonesian Modern Art
Authors
최민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1980년대에 인도네시아의 도시 족자카르타(Yogyakarta)를 중심으로 초현실주의와 유사한 미술 동향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 특징을 유럽 초현실주의 미학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초현실주의 경향이라고 지칭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여 특정한 미술동향을 연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다른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등장한 작업들이 초현실주의의 양식적 특징만을 차용한 것과 달리,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인도네시아의 초현실주의 경향의 작가들의 경우 정신분석학과 무의식에 대해 언급하는 등 유럽 초현실주의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어느 정도 선행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의 경우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조명할 수 있을 정도로 초현실주의 경향의 작가와 작업의 수가 상당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초현실주의 경향의 등장 배경과 그 의미를 인도네시아의 정치사회적 맥락과 결부시켜 분석하고자 했고, 이로써 작가 개인과 개별 작업의 미학적 특징에만 집중하는 선행 연구와 차별을 두었다. 인도네시아 미술원(Akademi Seni Rupa Indonesia) 출신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전개된 초현실주의 경향은 그동안 족자 초현실주의(Yogya Surrealism), 환상적 사실주의(Fantastic Realism), 마술적 사실주의(Magical Realism), 혹은 새로운 방향(Arus Baru) 등 학자마다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논의되어 왔다. 아울러, 이러한 용어의 차이는 인도네시아 국내외에서 초현실주의 경향을 다루는 전시의 기획 의도와 구성에서의 차이를 야기하기도 했다. 이는 유럽 초현실주의가 초월성과 비현실성을 특징으로 한다고 오독했거나, 인도네시아 초현실주의 경향이 유럽 초현실주의보다 뉴 리얼리즘(New Realism) 미술운동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고 보는 시각에서 기인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하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인도네시아 미술계가 유럽 초현실주의를 접하는 과정에서 이미 1차적으로 변형된 네덜란드의 초현실주의에 대한 시각을 받아들인 것에 있다고 보았다. 인도네시아 미술원(ASRI)에서 이루어진 미술사 수업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특강은 달리(Salvador Dali)를 필두로 ‘꿈의 복사자’라고 불리는 2세대 초현실주의자들의 소개에 그쳤거나, 유럽 초현실주의가 아닌 네덜란드의 메타 리얼리즘(Meta Realism)에 대한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1960년대 수하르토의 신질서시기 문화예술에 대한 검열과 압박이 심해지자 현실참여적인 작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일견 현실과 유리된 듯 보이는 초현실주의의 기법적 특징만을 차용한 작업이 제작되기 시작했다. 한편, 동시대 미술계에서 부상한 뉴리얼리즘 동향에 대한 관심이 1970년대에 인도네시아의 아방가르드 그룹인 신미술운동(Gerakan Seni Rupa Baru)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유입되기 시작한 것을 또 다른 이유로 들 수 있다. 초현실주의의 미학적 유산을 계승하여 등장한 미술운동인 뉴리얼리즘이 인도네시아에 유럽 초현실주의와 동시에 유입되면서 초현실주의 경향을 분류하는 데 혼란이 생긴 것이다. 뉴리얼리즘 미술에 반영되어 있는 일상적 사물에 대한 관심 등의 초현실주의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미학적 특징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초현실주의 경향을 뉴리얼리즘 미술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고 해석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인도네시아의 초현실주의 경향을 유럽 초현실주의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하되, 당대 인도네시아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족자카르타의 지역색이 가미되며 나타난 인도네시아만의 고유한 미술적 실천이라고 보았다. 진정한 인간 해방을 꿈꾸며 시도했던 초현실주의자들의 다양한 조형적 실험은 새로운 미술 형태를 갈망하고 있던 인도네시아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욕구와 맞닿아 족자카르타의 자바 유심론(Java Spiritualism)과 결합되면서 보다 내적이고 개인적인 조형적 탐색을 이어가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초현실주의 경향의 핵심을 이루는 사상과 미학이 일정 부분 초현실주의자들이 추구했던 새로운 세계를 구현하기 위한 의지와 희망을 인도네시아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며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초현실주의 경향의 미술 작업의 경우, 크게 네 개의 모티프로 구분하여 초현실주의적 특성이 나타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에서는 사회적 현실과 초현실이 역설적으로 공존하고 삶과 죽음이 순환하는 실존에 대한 탐구 및 신성과 야만성이 긴장감있게 조화를 이루고 인간적 욕망을 표출하는 등 초현실주의 미학의 핵심적인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정한 양식보다는 초현실주의 정신을 더욱 강조했던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의 철학을 고려할 때, 이들을 유럽 초현실주의가 국제적으로 확산된 결과로 나타난 현상의 일부로 바라보는 데 의의가 있으며, 시기적·지리적으로 차이를 두고 발생한 인도네시아 초현실주의 경향의 미술을 유럽 초현실주의의 1, 2차 사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제 3자의 시각에서 이들의 미술사적 의의를 재고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surrealist tendency and its historical meaning, centering on the Indonesian city of Yogyakarta in the 1980s in conjunction with Indonesia's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through comparison with European surrealist aesthetics. In this dissertation, Indonesian surrealist tendency is identified as an extension of European surrealism, as an indonesia's unique art practice with the addition of Indonesia's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and local feature of Yogyakarta. As discussed in Chapter II, the trend of Indonesian surrealist tendency was partially influenced by Meta-Realism in the Netherlands, which was transformed and accepted under the influence of mysticism in the international spread of surrealism. At the Indonesian Academy of Art(ASRI), where most surrealist artists graduated, education on surrealism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work of second-generation surrealists such as Magritte and Dalí. The experiment of utilizing such a stylistic technique of European surrealism accelerated in the 1980s when the will to participate in reality emerged under the oppression of the military, coupled with Indonesia's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Meanwhile, at a time when various contemporary art trends such as New Realism developed after World War II, a series of young Indonesian artists who had been in line with this in the Indonesian art world began to launch a New Art Movement(GSRB) against the established art world. In the 1970s, those who explored the New Art Movement(GSRB) rebelled against decorative art that was separated from reality, insisted on using various media as well as paintings and sculptures, and began to use Indonesia's rapidly industrialized and routine consumption as a subject of work. In fact, the New Art Movement(GSRB) began with the inheritance of aesthetics of banality such as Dada and Readymade in Surrealism in Western society, but in Indonesia, the influx of surrealism and New Art Movement(GSRB) at the same time did not presuppose an understanding of these art history priorities in art history. As a result, various terms were used to refer to the surrealist tendency, and the method of classifying and arranging them in the exhibition composition also influenced. From the perspective of grasping surrealist tendency as an extension of surrealism through the term ‘Yogyakarta Surrealism’ to a new perspective that defines surrealist tendency as a trend unrelated to European surrealism coined terms such as ‘Magic Realism’, and ‘Fantastic Realism’. Some critics who regard surrealist tendency as new realism used ‘Arus Baru’ which refers to ‘New Direction’. As examined in Chapter IV, the experiments of surrealist tendency artists similarly showed various surrealist techniques, formative attitudes, and philosophical concerns, such as exploring unconsciousness, dynamically harmonizing divinity and barbarism, and exploring the cycle of life and death. Therefore, Indonesia's surrealist tendenc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based on a certain understanding of European surrealism and uses a series of surrealist motifs to focus on individual emotions and thoughts in rapidly changing Indonesian society. The core idea of surrealism, which pursued universal human liberation, was conveyed to Indonesian artists exploring new aesthetics and art styles, combined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Yogyakarta, creating Indonesia's new and unique trend in art. In the works of surrealist tendency artists’, the core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 aesthetics can be discovered, such as paradoxically coexisting daily and non-daily life, and tense harmony and confrontational elements of Eros and Thanatos and expressing human desires. Considering Andre Breton's philosophy, which emphasized the spirit of surrealism more than a specific style, it is meaningful to view them as part of the phenomenon that European surrealism spread internationally, and to analyze Indonesian surrealism's art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sources of European surrealism. To sum up, unlike European surrealists, who conducted aesthetic experiments on surrealism centered on group activities, the fact that writers of surrealism continued to work individually while recognizing the existence and work characteristics of other artists resulted i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surrealism aesthetics. Based on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n that I was able to illuminate it from the perspective of a third party and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similar top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