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조선시대 백자향로(白磁香爐) 연구

Title
조선시대 백자향로(白磁香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白磁香爐) in Joseon Dyasty
Authors
신혜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In Joseon Dynasty, the incense burners were divided into two kinds in terms of materials, such as metal burner and porcelain burner. The metal incense burner was categorized into the royal family’s ritual vessels and thus, was positioned as the required utensil for the Confucianism rites. Accordingly, the now-existing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metal incense burner which played the critical role as royal family’s ritual vessels. On the other hand, th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白磁香爐) which was made of ceramics got less attention. The porcelain incense burner is named from its material called the white ceramic. In term of shape, it adopted the Cover ding(有蓋鼎), which was the ancient bronze ritual vessels in China as shown in the metal incense burner along with the lid and Body(香身) making one set. The research of records showed that th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was used in a way proper to the material called ‘White porcelain(白磁)’ which is opposite to the metals and that the shape also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ocial, systematic and ideological situations. Accordingl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has the independent properties different from metal incense burner, this study will comprehensively find out the manufacture and use of porcelain incense burner and further the properties and meaning of the vessels. The use of incense(香) and the development of incense burner in Korea started after the Buddhism came to Korea during Three Kingdoms Period. At this time, the type of incense burner made of metals which was called Buddhism incense burner started to be manufactured. This trend was passed down to the period of Unified Shilla Dynasty. During Goryeo dynasty, there appeared not only the metal Buddhism incense burner but also various kinds of incense burners made of porcelains called celadon(靑瓷). During Joseon Dynasty, Confucian-style ceremonies were carried out affected by Chinese ancient rituals, and the incense burners were made of metals in imitation of those used in ancient Chinese rites, like in the case of ritual utensils for Joseon royal family. As the rite using burning incense got recognized important in the protocol of rituals for both royal family and general public, the incense burner was recognized as the required vessels for the rites. In the following process, the incense burner played the role of medium between god or ancestor god and the people with the incense being burnt in it. On the other hand, for the promotion of royal family’s ritual Ritual vessels system, the royal kilns were established and many Ritual vessels were produced with the porcelain. The porcelain incense burner which was manufactured was predominantly used as the ritual vessels as recorded in royal and private books and documents. That include the use of incense burner at Heavens-ritual(祭天禮) respecting the simplicity, for process of dressing a corpse for burial(殮襲儀禮) or funeral or as aromatic materials or others. While recognizing the background of manufacture, the manufacture and consumption of th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was researched.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excavation, th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with Covred Ding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有蓋鼎形香爐), which imitates the ancient ritual utensil or Cover ding and which was mainly produced in royal kilns and Coverd high-footed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有蓋高足形香爐) which had high-footed and was produced mainly in local kilns. Starting from Beocheonri kiln no. 21 in 1420~1440, Ding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was spread to Bunwonri kiln which was one of royal kilns in late Joseon Dynasty. Coverd high-footed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was found to have started at Jangheung Wolsongri kiln in 1880~1890, which was found to be the only case of manufacture. However, although that incense burners were manufactur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incense burners acquired from relics was disproportionate to the number of those manufactured, showing that their consumption was limited. In addition, if the fact that only one incense burner was used for the rites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 would be less destruction compared to other ritual vessels. The type of porcelain White incense burner, and the change of it according to time and the form of combination over time have been analyzed by using the burners which were excavated from remains or passed down from old days. First, the type was classified by separating Body from lid. In case of Body, the Cover ding style body was classified into 5 types with 15~20cm high and 10~12cm in diameter while the high-footed style having wide mouth bowl style body and high-footed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with 10~15cm high and 7~10cm in diameter in average. In addition, the lid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based on the shape of handle and the hole design. Based on the data, th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underwent the changes during the time,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3 periods as follows. The first period is the early Joseon dynasty (1392~1550) when it imitated the incense burner which was the metal vessels used in ancestral rites. During this period, as the combination of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only Coverd Ding style white porcelain white porcelain incense burmer which imitated Cover ding and had the shape of [spherical body+ L-shaped double ears + animal legs heel] was produced. The lid had the shape of [lotus flower handle + flower pattern hole]. This period is the time when metal incense burner was accurately imitated and was characterized by the animal legs heel p attached on the lower part of Body. The second period is the mid-Joseon dynasty (1550~1700) when the independent type was established away from the metal type and when the shape became simplified. This is the period when the vessels) was affected by the porcelain ritual vessels) with its shape changed to the simple form 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tal incense burner only left intact. This period is when due to the war, the destroyed ritual vessels) were restored and some were produced as porcelain. During this process, the complex structure of ritual utensils was removed for simplification for mass production. Only Coverd Ding style white porcelain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r was found out and its form underwent the changes of [spherical body + L-shaped double ears) + cylindrica or cropped heel]. The final third period is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new change appeared with the addition of decorative elements and new types. Along with Coverd Ding style white porcelain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Coverd high-footed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type appeared and there was the diversification in the type depending on different manufacturer. Coverd Ding style white porcelain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was mainly produced in royal kiln with the shape of [hemispherical body + Wide L-shaped double ears(Decorate) + High cylindrica or square heel(hole)]. On the other hand, Coverd high-footed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was mainly manufactured in local kiln with good or rough materials and had the shape [mouth turned outwards + bowl style body(Square·Hole) + high-footed].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on the uniqu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e decorative vessels were manufactured a lot and under this trend, the Wihte porcelain incense burners appeared having a lot of decorative elements. The following summary was done based on the utensils excavated from remains, classification of types and changes by period. First, Coverd Ding style white porcelain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was kept as a fixed type with only the passive change detected with the effect of new trend from the porcelain ancestral ritual utensil manufactured in mid- and later Joseon dynasty. In addition, with the time passing, the previous type naturally disappeared before new types took positions. Next, Coverd high-footed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appeared after the time when the royal kilns were changed to people’s kiln. It got a certain form but was produced with more autonomous independent elements. Last, using the previously compiled contents, the conclusion was made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Wihte porcelain incense burner during Joseon Dynasty on its shape and properties. With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t was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users. This shows that th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s we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in advance and imitated the Ding which had been recognized as the symbol of power from ancient times. But, Coverd high-footed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was assumed to have succeeded the ‘hyangwan(香垸) or Buddhist’s incense burner which first appeared in the period of Unified Shilla dynasty. As it has the shape opposite to UgaeJeonghyeong incense burner, it is considered that the borrowing of previous shape was easier than crating new types in manufacturing new type. On top of that, as for the formativeness of the vessels, its shape did not contain any specific meaning. As the properties of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it is assumed that there were the effect of materials and the function of vessels. First, the properties of utensil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uch as Ritual vessels, banquet vessels and appreciation vessels. As for the Ritual vessels, it was used for the rite of heaven-ritual. This shows that the roughness and simplicity of porcelain was correspondent with the meaning of this rite. This was also used at non-ceremonial rites such as funeral. For both royal families and general people, it was used as ‘so-gi(素器)’with no decoration as it had no rhetorical embellishments to show this process of mourning with the idea of people“missing the dead person but having no time to make up oneself”and not thinking their social status under that grave situation. Accordingly, this was used focusing on the material of porcelain contained in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banquet vessels use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porcelain such as engraving in relief(陽刻), Openwork(透刻) and painting(彩色) which were prevalent in that specific time of late Joseon dynasty. As the porcelain incense burner was recognized as Ritual vessels, its properties seemed to have expanded due to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late Joseon dynasty. This shows that the focus was made on the incense burner’s original function of smoking the incense to enhance the mood and stabilize the body and mind of people. Its use was more clearly understood when compared with the current painting works. The last and foundational meaning of Whute[orcelain incense burner is the embodiment of social and cultural ideology and national ideology. From the manufacturing system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tensil, it was found out to result in the “royal kiln – good quality – Covred Ding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r – typical form – symbol of power – royal family” and “local kiln – rough/good quality – Coverd high-footed styl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 autonomous form – general idea – general public”. The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utensil were summarized as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materials’, and ‘depending on the use of Vessels’. On top of that, the White incense burner acted as a medium for the realization of moral rule and idea of times for which Joseon tried to pursue in addition to playing a role as the ceremonial utensil for simple ceremony. As specified above,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diverse viewpoints focusing on the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during Joseon Dynasty, which has not got the sufficient spotlight up to now. This study has implication as it has researched not only the background of manufacturing the porcelain incense burner and the manufacturing system and shaping but also the actual use of it depending on the feature of materials and typical function of utensil, thus putting the independent view of the utensil called the porcelain incense burner which has not gotten proper attention up to now.;고대부터 하늘을 향해 향을 사르는 의식은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신성한 의식 중 하나였다. 향을 올려보냄으로써 신을 흠향케 하고, 자신들의 안위와 소원을 빌곤 하였다. 이상의 과정에서 향을 피우는 기물로서 ‘향로’가 등장하였으며, 향로는 곧 의식의 신성함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리하였다. 조선시대 향로는 금속제와 자기제라는 재질로 나뉘어 제작되었다. 금속제 향로의 경우 왕실의 예기라는 범주 내에서 유교식 예제에 입각한 의례의 절차 내에서 필수적인 기물로써 자리하였다. 따라서 현전하는 선행연구 또한 조선왕실의 제기로써 역할한 금속제 향로에 중점하여 연구가 진행되었고, 자기제인 백자향로는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백자향로는 금속제 향로를 백자라는 재질로 번안한 것으로써 조형성 또한 금속제 향로와 동일하게 중국의 고대 청동 예기인 유개정(有蓋鼎)을 차용하였고, 뚜껑과 향신이 1조의 셋트를 이루는 형태였다. 기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백자향로는 금속과는 반대되는 ‘백자’라는 재질에 부합하는 사용양상이 확인되었고, 조형성 또한 사회적·제도적·사상적인 상황에 따라 변화하였음이 감지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금속제 향로와는 다른 백자향로의 독립적인 성격이 존재했음에 주목하여 백자향로의 제작과 사용양상, 나아가 기물의 성격과 의미에 대해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향(香)의 사용과 향로의 등장은 삼국시대 불교의 전래 이후 이루어졌으며, 금속제로 제작된 이른바 불교향로라 칭하는 유형들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통일신라로 이어져 그 맥이 지속되었고, 고려시대에는 금속제 불교향로와 더불어 자기 재질의 향로들이 다종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중국의 고례(古禮)를 참용한 유교식 의례들이 진행되었고, 향로 또한 조선왕실의 제기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고대 예기를 모방하여 금속제로 제작되었다. 왕실과 민간의 경우 의례의 절차 내에서 분향을 하는 의식이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더불어 향로가 의식 내에서 필수적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분향의식에서 향로는 향을 사름으로써 신, 또는 조상신과의 만남을 위한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편 조선왕실 자기제작소인 관요에서 왕실의 의례기들을 백자 재질로 제작하면서 왕실의 제기체게를 반영한 백자향로를 제작하였다. 조선시대 기록들을 분석한 결과 백자향로는 의레기로 사용되었던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특히 왕실 제사에서 질박함을 숭상하는 제천의식이나 흉례 및 상장례에서의 염습절차에 사용된 사실을 확인했다. 더불어 연향이나 완상의대상이 되기도 한 다양한 정황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백자향로의 제작과 소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출토양상을 정리하면 백자향로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화되고 있었는데, 고대 예기인 유개정을 모방하여 관요를 위주로 제작된 유개정형향로와 완형의 동체에 높은 고족의 굽이 부착되어 지방요를 중심으로 제작된 유개고족형향로로 나눌 수 있었다. 유개정형향로의 경우 1420~1440년으로 편년되는 번천리 21호 요지를 기점으로 번천리 9호(1552~1558), 선동리 2호·3호(1640~1648년대) 등지와 조선후기 관요 분원리(1752~1895) 요지까지 확인되고 있었다. 유개고족형향로는 1880~1890년으로 알려진 장흥 월송리 요지부터 생산된 것으로 파악했으며, 이는 유일한 제작사례였다. 한편 소비유적 내 출토수량이 생산유적에서 제작된 상황에 비해 적은 수량만이 확인되었다. 이는 향로가 의례에서 한 점 밖에 사용되지 않아 파손되어 출토될 가능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의식 절차나 기능상 다른 의례기에 비해 파손될 가능성이 적은 기물이라는 점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유적출토품과 더불어 전세품을 종합하여 백자향로의 유형분류와 시기에 따른 변천과정, 나아가 시기별 조합양상을 분석하였다. 우선 유형분류는 향신과 뚜껑을 따로 분리하여 진행하였다. 향신의 경우 정형유형은 5분류로써 높이 15~20cm, 구경 10~12cm의 특징이 확인되며, 넓은구연과 완형동체에 높은 굽을 지니고 있는 고족형 유형은 4가지 분류로써 높이 10~15cm, 구경 7~10cm 내외의 평균규격으로써 확인되었다. 또한 뚜꼉의 경우손잡이 조형과 상면의 연공도안을 바탕하에 5가지 유형분류체계로 나뉘어 지고 있었다. 이를 기준하여 백자향로 유형변천을 총 3시기로써 정리하면 다음과 같았다. 우선 제1기인 조선전기(1392~1550년경)은 고례(古禮)에 입각한 금속제기인 향로룰 모방하였다. 이 시기의 백자향의 조합은 유개정을 모방한 유개정형향로만이 제작되었고, [원구형 동체+‘L’자형 판형 귀+수각형 다리굽]의 양상이 확인되었다. 뚜껑의 경우 [연봉형 손잡이+화문 투각]의 형태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금속향로를 충실히 모방하여 제작이 이루어 진 시점으로써 특히 향신의 저부에 부착된 수각형의 다리굽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 제2기 조선중기(1550~1700년경)은 금속제기 양식의 탈피로 인한 독자적 양식이 수립되고 조형의 간략화가 이루어진 시점이다. 이는 원본양식인 금속향로의 특징요소만 남긴 채 간결한 조형성으로 변화한 백자제기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해당 시기는 전란으로 인해 산실된 제기들을 복원하는 과정 하에 일부를 백자로 제작하였고, 이 과정에서 대량생산을 위해 제기의 복잡한 구성들을 제거해 간략화 시킨 배경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하였다. 유개정형향로만이 확인되었으며, [원구형 동체+‘L’자형 판형 귀+원통형or할굽]의 형태로 변천을 거듭하였다. 마지막 제3기 조선후기 장식적 요소 가미와 신유형의 등장이라는 새로운 변화지점이 나타난 시점이다. 유개정형향로와 더불어 유개고족형향로라는 유형이 등장하였으며, 제작처에 따른 유형의 분화가 이루어 지고 있었다. 유개정형향로는 관요 위주 양질로써 [반구형 동체+넓은 판형 귀(장식)+높은 원통형or각형 굽(투각)]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유개고족형향로는 지방요 위주 양/조질로써 제작되었으며, [외반된 구연+완형(각형·투각)+높은굽]으로써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당시 사회문화적인 배경에 기인해 장식적이 짙은 기물들이 다량 제작된 바 있는데, 이러한 흐름에 장식적인 요소가 짙은 백자향로들이 출현하기도 하였다. 유적출토현황과 유형분류, 시기별 변천과정을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유개정형향로는 고착화된 양식으로써 유지되었고 조선중기와 조선후기에 제작된 백자제기의 신경향적 요소에 영향을 받은 소극적인 변화만이 감지되었다. 또한 다음 시기를 거쳐감에 따라 이전 유형이 자연스럽게 소멸되고 새로운 유형이 자리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다음 유개고족형향로의 경우 관요의 민영화 시점 이후에 등장한 유형으로써 보다 일정한 양식을 기준하되 보다 자율적인 독립요소로써 제작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앞서 정리한 내용을 종합하여 조선시대 백자향로의 특징과 의의에 대한 결론으로 조형·성격에 따른 의미를 도출하였다. 조형적인 특징으로는 사용주체에 따른 유형의 이원화가 이루어 진 점이다. 조선시대 제작된 백자향로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화되고 있었으며, 이는 제작양상과 조형적 특징에 기인해 ‘왕실 및 관청’과 ‘민간’으로 나뉘어 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종합하면 ‘관요-양질-유개정형향로-고정된 양식-권력의 상징→왕실 및 관청위주 소비’와 ‘지방요-양/조질-유개고족형향로-독립적인 양식-향완을 계승하여 특정의미 없음→민간 위주 소비’로써 정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자향로를 제작함에 앞서 소비처를 고려하여 조형성과 제작처가 선행적으로 설계되었던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음 백자향로의 성격으로는 재질의 속성과 기물의 기능에 따른 영향이 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우선 기물의 성격을 의례기와 연향기 및 완상기라는 범주로써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의례기의 경우 제천례에서 소비된 정황으로써 이는 백자가 지닌 ‘질박함’이란 요소가 본 의식의 성격과 부합하기에 사용된 것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흉례의 절차 내 소비된 정황은 왕실과 민간을 포함해 부모의 죽음 바로 직후인 초상단계에 ‘미처 망자로써 받아들이지 못하고, 꾸밀 겨를이 없다’라는 상황속에서 신분을 초월하여 공통적으로 본 절차의 관념을 대변하는 문식(文飾)이 없는‘소기(素器)’로써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백자향로가 지니고 있는 ‘흰 색’이라는 재료적 의미에 주목하여 사용된 정황이다. 연향기 및 완상기의 경우 조선후기라는 특정시점에서 당시 유행하였던 양각과 투각, 채색이라는 백자의 제작기법이 가미된 유형들이 사용된 상황이다. 의례기라는 국한된 성격이 있었던 백자향로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사회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성격이 확장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좋은 향으로써 흥취를 돋거나 심신을 안정시키는 향로의 본래 기능에 집중한 사례이며, 현전해오는 회화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사용현황을 더욱 뚜렷하게 그려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백자향로가 지니고 있는 근원적인 의미로는 신분사회와 유교사상이라는 사회를 투영한 물질문화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백자향로는 사용주체에 따른 상이한 조형적 특징과 제작양상이 반영되어 나타났고, 의례절차의 유교적 사상에 부합한 ‘흰 색’즉, 백자라는 재질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백자향로는 단순히 의례에서 사용되기 위한 제기로써의 역할을 넘어서 조선이 이루고자 했던 예치의 실현을 관통하는 매개체로써 작용하였음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이상 본 연구에서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조선시대 백자향로에 주목하여 다각적인 시각으로써 살펴보았다. 백자향로의 제작배경부터 시작하여 제작처에 따른 제작체계와 조형성, 나아가 재질의 특수성과 기물의 본론적인 기능에 따른 실질적인 쓰임까지 규명하여 그간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백자향로’라는 기물이 내포하고 있는 성격과 특징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