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영국 엘리자베스 1세 시대(1558-1603)의 세밀초상화 연구

Title
영국 엘리자베스 1세 시대(1558-1603)의 세밀초상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nglish Portrait Miniature in the Elizabethan Age(1558-1603)
Authors
강보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동호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ortrait miniature in Queen Elizabeth I’s England (1558-1603), specifically the portrait miniatures of Elizabeth I(1533-1603). In England, portrait miniature first appeared in the 1520s, which was chiefly painted in watercolor on vellum. This came from the technique of painting illustration on illuminated manuscripts, of which demand and production gradually dwindled from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due to the invention of movable metal types and advance in printing. This influenced illuminators to produce portraits painted as illustrations into independent work, which set off the practice of portrait miniature. In Elizabethan Age, there was a particular English background that made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 very popular. Queen Elizabeth I kept up a via media between the Church of England and the Catholic Church to unite the nation disrupted coming and going between both extremes for 11 years reigned by two of her predecessors while prohibiting a considerable part of the Catholic Church tradition. This resulted in the decrease of manufacturing religious paintings but the increase of portraits which are secular paintings. Portrait miniatures were actively painted instead of small-sized icons, devotional images, etc. Such Elizabethan religious policies brought up religious stability and then national stability so Elizabethans praised the Queen by calling her reign the golden age and the unmarried queen a virgin goddess. This cultural context of the cult of queen also kindled the phenomenon of equating the queen with the Virgin Mary. At this period of time portrait miniatures started to be worn as an jewel, so people in those days wore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 as if they possessed Virgin Mary’s icon. This study looks at Elizabethan portrait miniatur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conography, production process and portability. In portrait miniature, the queen’s face appears without big change for the 45 years she has been on the throne. Nicholas Hilliard (1547-1619), who produced most of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s, made an image named ‘mask of youth’ in her later years to make her look much younger than she really was. The queen in portrait miniature was reproduced in an image rising above passage of time through the idealized face, expression of magnificent costume, etc. Such an image is considered a result of reflecting the cult of Elizabeth.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s produced by Hilliard were then complimented overseas, too. It was characterized by the flat depiction of the face without shadows while other areas than the face were solidly described in detail. The technique he used was revolutionary because it increased colors thickly in painting ruff and gems and used resin to make gems look real. As a characteristic of the technique of portrait miniature, now it seems discolored after a lapse of many years, but we can presume that vivid pigments and stuff like gold leaf must have actually created jewel-like colors those days. Considering that the portrait miniature is the size of around 5cm, we can tell how delicately the sitter in the picture was depicted. The most important trait of portrait miniature is that it is not a picture to hang on the wall but one to hold in one’s hand or carry about with one.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 is possessed as if it were Virgin Mary’s icon but there’s a big difference in that it is a secular painting, not a religious painting.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 is projecting the desire of various people including the sitter queen, artist Hilliard, the government who regulated the portrait, etc. The person who possessed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 carries it about with him and each time he sees the picture he is faced with the desire contained in it. At this time desire is in an ambivalent relationship with anxiety, so its holder, as long as he carries about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 has no other way but to be constantly reminded of the desire and anxiety contained in i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how the Elizabethan portrait miniature of England developed and disclose the meaning held in Elizabeth I’s portrait miniature. So this thesis makes diverse approaches to Elizabeth I’s portrait miniature based on the background of art history and social history surrounding the products. It has significance in introducing the portrait miniature not deeply studied within the country and drawing the meaning held in the Queen’s portrait miniature in the context of those days. ;본 논문은 영국 엘리자베스 1세 시대(1558-1603)의 세밀초상화, 그중에서도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 1533-1603)를 주인공으로 한 세밀초상화에 관한 연구이다. 영국의 세밀초상화는 1520년대에 처음 등장하였고, 주로 고급 양피지인 벨럼(vellum)에 수채로 그려졌다. 이는 채색필사본에 삽화를 그리는 기법에서 유래한 것이다. 채색필사본은 금속활자의 발명과 인쇄술의 발달로 인하여 15세기 중엽부터 그 수요와 제작이 점차 감소하였다. 이에 채색필사본의 삽화가들은 삽화로 그리던 초상화를 독립적인 작품으로 제작하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세밀초상화의 시작이 되었다.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는 당시 영국의 특수한 배경으로 인하여 여왕의 세밀초상화가 성행하였다. 엘리자베스 1세는 두 전임자의 11년 통치 동안 양극단의 종교를 오가며 분열되었던 나라를 통합하기 위해서 영국 국교회와 가톨릭교회 사이의 중도를 유지하였으나, 가톨릭교회의 전통을 상당 부분 금지하였다. 그 결과 종교화의 제작이 감소하고, 세속화인 초상화의 제작이 증가하였다. 세밀초상화는 작은 크기의 이콘(icon), 묵상용 이미지 등을 대신하여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엘리자베스 1세의 종교 정책은 종교의 안정과 함께 나라의 안정을 불러왔고, 당대 사람들은 엘리자베스 1세의 치세를 황금시대에, 결혼하지 않은 여왕을 처녀 여신에 비유하며 칭송하였다. 이러한 여왕숭배 문화의 맥락에서 여왕을 성모 마리아와 동일시하는 현상도 일어났다. 또한 이 시기에 세밀초상화가 장신구처럼 착용되기 시작했는데, 당대인들은 여왕의 세밀초상화를 마치 성모의 이콘을 소지하듯 착용하였다. 본고는 엘리자베스 1세의 세밀초상화를 도상, 제작과정, 휴대성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세밀초상화 속 여왕의 얼굴은 그녀가 재위하였던 45년간 큰 변화 없이 나타난다. 니컬러스 힐리어드(Nicholas Hilliard, 1547-1619)는 여왕의 세밀초상화를 대부분 제작하였고, 여왕의 말년에 ‘젊음의 가면(mask of youth)’ 도상을 만들어 여왕이 실제보다 훨씬 젊어 보이도록 하였다. 세밀초상화 속 여왕은 이상화된 얼굴과 화려한 복식 등의 표현을 통해서 세월을 초월한 이미지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도상은 여왕숭배 문화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당시 힐리어드가 제작한 여왕의 세밀초상화는 국외에서도 찬사를 받았다. 그가 제작한 여왕의 세밀초상화의 특징은 얼굴을 그림자 없이 평평하게 표현하고, 얼굴을 제외한 세부묘사를 입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가 사용한 기법은 러프(ruff)와 보석을 그릴 때 물감을 두껍게 올리고, 수지(resin)를 사용하여 보석을 실제 보석처럼 보이도록 만들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었다. 세밀초상화 기법의 특성상 오랜 세월이 지난 현재에는 색이 바랜 듯 보이지만, 당대에는 선명한 안료와 금박 등의 재료가 실제 보석처럼 빛나는 색채를 만들어냈으리라고 짐작할 수 있다. 세밀초상화가 5cm 내외의 크기라는 것을 상기하면, 화면 속의 인물이 얼마나 섬세하게 묘사되었는지 알 수 있다. 세밀초상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것이 벽에 걸리는 그림이 아니라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는 그림이라는 점이다. 여왕의 세밀초상화는 마치 성모의 이콘처럼 소지되었지만, 종교화가 아니라 세속화라는 점에서 이콘과는 큰 차이가 있다. 여왕의 세밀초상화에는 주인공인 여왕, 제작자인 힐리어드, 그것을 규제했던 정부 등 다양한 사람의 욕망이 투영되어 있다. 여왕의 세밀초상화를 소지한 사람은 그것을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그림을 볼 때마다 그 안에 담긴 욕망을 마주한다. 이때 욕망은 불안과 양가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소지자는 여왕의 세밀초상화를 지니고 다니는 한 그 안에 담긴 욕망과 불안을 끊임없이 상기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16세기 영국의 세밀초상화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고, 엘리자베스 1세의 세밀초상화에 담긴 의미를 드러내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작품을 둘러싼 미술사적, 사회사적 배경을 토대로 엘리자베스 1세의 세밀초상화에 다각적으로 접근한다. 본 논문은 국내에서 깊이 연구되지 않았던 세밀초상화를 소개하고, 당대의 맥락에서 여왕의 세밀초상화에 담긴 의미를 도출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