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한국 보수 복음주의 개신교 간증 연구

Title
한국 보수 복음주의 개신교 간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ligious Testimony of Conservative Evangelical Christians in Contemporary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Cases of Lay Businesspeople
Authors
엄소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명삼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보수 복음주의 개신교 간증 자리에서 자신이 가진 경제적 복을 ‘신의 섭리’로 정당화하는 기업인 평신도의 간증 서사를 분석한 것이다. 개신교에서 평신도 간증은 사적인 종교 경험을 공개적으로 발언하는 실천으로, 여기에는 많은 신자 중에서 선별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그간 평신도 간증은 생산된 양과 그것이 담론으로서 가진 영향력에 비해 학문의 장에서 논의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은 평신도의 간증이 어떻게 구성되어 정당성을 얻으면서, 생산되는지 그 사회적 함의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기획되었다. 이 연구는 우선 기업인 평신도의 간증 분석을 위한 이론적 전거로 막스 베버의 ‘행복의 신정론’을 개괄한다. 그리고 베버의 주장을 피에르 부르디외의 ‘사회신정론’을 통해 재검토하면서 이론적 확장을 시도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오늘날 한국 개신교에서 경제적 복을 종교적으로 정당화해냄으로써 바람직한 신앙인의 표본으로 자리하는 기업인 평신도 간증 서사 분석을 위한 해석적 틀을 마련할 것이다. 나아가 이 글은 이들의 간증이 정당성을 얻는 담론으로 구성되기까지 서사 안에서 의미화되는 행위자의 실천을 분석할 이론적 자원으로 부르디외의 장과 자본 개념 그리고 브래드포드 버터의 신앙자본과 김홍중의 부정자본 개념을 활용했다. 부르디외가 종교전문가 집단이 생산하는 종교자본에만 집중했다면, 버터는 평신도가 축적하는 신앙자본에 초점을 맞춰 논의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버터 역시 평신도가 종교장에서 전략적으로 축적하는 신앙자본을 다소 평면적으로 논설한다고 보면서, 평신도의 간증 사례를 가지고 이들이 종교적 실천을 통해 실질적으로 축적하는 자본에 대해 분석하고, 이로써 평신도 간에 발생하는 위계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이 글은 이 과정에서 종교전문가와 영향을 주고받는 종교장의 행위자로서 존재하며, 또 다른 다분화된 위계를 발생시키는 평신도의 역동에 대해 조명한다. 더불어 그 함의를 보다 다차원적으로 살펴보고자 기업인 평신도 간증이란 단면에 성별의 층위를 더하여 탐구하고 있다. 위의 논의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간증자들의 서사가 어떻게 정당성을 얻는지 분석할 것이다. 기업인 평신도 간증자는 도입부에서 사업 경영상 어려움을 낳는 다양한 종류의 고난을 이야기하고, 그 시간을 견뎌낸 종교적 실천을 증언하면서 부정자본을 축적한다. 이때, 간증자는 신앙자본 또한 획득한다. 종교적 실천이 고난에 대한 자발적 참여로 의미화되면서, 신앙적 성숙을 보여주는 표지가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부정자본과 신앙자본이 형성된 구도에서 간증자의 경제자본이 증언됐다. 여기서 경제자본은 미래에 보상이 따를 것으로 기대되었던 부정자본의 대가(代價)이자, 신앙자본의 결과로 위치하면서 정당화된다. 결말에선 간증자는 다른 평신도들은 쉽게 할 수 없는 경제력 기반의 종교적 실천을 고백하면서, 신앙자본을 재차 강화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기업인 간증자는 신앙심으로 경제적 축복을 받은 바람직한 신앙인으로 제시되었다. 이처럼 경제적 차이가 신앙적 차이로 치환되는 간증 서사에서 자본주의 사회 구조의 위계질서는 은폐되고, 실패 역시 개인의 문제로 환원된다. 결국 이러한 담론이 생산되는 개신교장에서 경제자본이 없는 신자가 가진 신앙자본은 미완성된 것이 되면서, 그는 간증 자리에서 배제되고 평신도 간에는 위계가 발생한다. 이런 서사 구조는 기혼 여성 기업인 간증에서는 또 다르게 나타난다. 기혼 여성 기업인 간증자들은 경제적 고난과 그에 따른 신앙적 실천, 그리고 경제적 회복을 이루는 전개를 구사하면서도, 기혼 남성 기업인 간증자와 달리 가정에서 발생한 어려움을 자신의 고난으로 인식하고, 돌봄 노동의 실천을 통해 신앙자본을 축적하며, 나아가 가족 구성원의 구원 혹은 가정생활의 안녕을 ‘필수적으로’ 증언하는 경향을 띤다. 이런 특성은 이들이 가정생활에 대한 증언 없이는 간증 자리에 설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즉,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난 현실에서 보수 개신교는 여성의 직업적 성취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보다는 가정에서의 돌봄 노동을 여성 신자가 종교적 실천을 통해 축적할 신앙자본으로 제시하면서, 가정과 일터의 의무를 모두 신앙심으로 수행해낸 여성을 신앙의 범주로 특화시켜 바람직한 신앙인의 모델로 내세운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들이 간증 자리에 서게 되면서 평신도 간에는 위계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담론은 구조적인 문제를 의도적으로 주변화하고, 여성 신자의 믿음에만 의존해 구조적 고충을 해결하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런 점에서 간증 현장은 단순히 신앙담을 전달하는 개인의 종교적 실천 차원이 아닌 사회적 장소로서 위치하며, 그 서사는 지배적 가치를 (재)생산하는 담론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religious testimonies of lay Christian businesspeople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t focuses on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ir testimonies about material prosperity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they seek legitimation of their wealth in light of Divine Providence. Critically engaging with the literature on sociology of religion and symbolic capital, the present study offer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the theodicies of good fortune circulating in the Korean evangelical field. In his discuss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ocial strata, Max Weber argues that those who belong to the privileged strata do not only find comfort in the fact that they are blessed but also harbor a desire to justify their privileged position. Inspired by Weber, Pierre Bourdieu claims that all theodicies imply sociodicy that justifies the existing social world where inequality persists. Building upon such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study draws on various concepts of symbolic capital — e.g. religious capital (Pierre Bourdieu), spiritual capital (Bradford Verter) and negative capital (Hong Jung Kim) — to bring attention to how lay evangelical Christians with good socio-economic standing take part in reproducing sociodicy while sharing their success stories in the Korean evangelical field. The empirical chapters look closer into written and/or verbal testimonies of successful lay evangelical businesspeople. Despite the differences of occupation, the narrative of their religious testimonies displays a general pattern in which they recount how difficult their lives had been before they became materially successful through religious labor. In other words, they lay claim to both ‘negative capital’ and ‘spiritual capital,’ which ultimately serve as the basis for their economically privileged position. Meanwhile, such a narrative takes a slightly different form in the success stories of lay evangelical businesswomen. Especially, married female entrepreneurs tell similar stories about a spiritual journey that starts with economic hardships and concludes with success. Yet, they also talk about various kinds of challenges they had to deal with at home, as they take pride in running a flourishing business without neglecting their duties as a daughter-in-law, a wife and a mother at home. Thus, a model evangelical businesswoman is someone who excels not only in the workplace but also in the domestic care work. In one way or another, all these testimonies disregard structural inequalities and promote the view that religious labor is a way to overcome socio-economic sufferings thanks to divine favor. Seen in this light, the religious testimony of successful entrepreneurs is not only a story about their religious devotion, but it is also a political discourse through which the dominant values are (re)produced in the Korean evangelic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