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8 Download: 0

북한이탈여성의 유목적 주체성 구성에 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학 연구

Title
북한이탈여성의 유목적 주체성 구성에 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학 연구
Other Titles
A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nomadic subjectivity
Authors
이세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희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여성들의 유목적 주체성을 구성하고 여성주의 목회상담적인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여성주의 목회상담은 본질화, 보편화 되지 않은 교회 내 여성들과 그들의 경험을 다루면서, 하나님 형상의 회복이라는 개인적인 유익을 추구한다. 더불어 하나님 나라를 위한 문화적인 변혁을 도모하기 위해 문제를 탈개인화 하는 의식화 작업과 정치적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같은 맥락에서 서구의 단성적(univocity)인 주체 개념에 저항하며 복수적으로 여성주의적 주체를 재형상화 하는 일종의 정치적 기획인 유목적 주체성은 여성주의 목회상담과 공명한다. 유목적 주체성은 일상적으로 동시에 발생하는 남녀의 성차, 여성들 간의 성차, 각 여성 개인의 차이라는 세 가지 성차의 층위 안-사이를 가로지르면서 차이와 변이를 반복하며 중첩적인 정체성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한반도의 분단체제 속에서 북한이탈여성을 단성적 이미지로 재현하는 현상과 그 메커니즘을 북한이탈여성들의 심리내적 문제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북한이탈여성들은 성폭력의 피해자, 신화적 모성을 발휘하는 민족의 어머니, 그리고 성애화 되어 교환되는 몸을 가진 북에서 온 미녀 등의 이미지로 재현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북한이탈여성들을 피해자라는 정체성을 본질화 하여 정박시킬 수 있다. 북한이탈여성들의 이미지를 재현하고 재생산하는 메커니즘은 혐오와 피해자화, 민족주의 그리고 무욕망적인 희생양이며, 이러한 메커니즘은 이원론적이고 남성중심적인 성차에서 기인한다. 고정적이고 분절적인 이미지 재현과 재생산은 북한이탈여성들이 탈북과정에서 획득한 생존력, 교섭 및 적응력 등으로 생성하는 복수적인 정체성들을 삭제하거나 누락하여 북한이탈여성들을 이등 시민으로 머물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을 탈북여정에서 복수적인 정체성을 생성하는 유목적 주체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발굴하고 내적 역량으로 강화하는 여성주의 목회상담적 전략과 방안을 제시했다. 북한이탈여성들에게 체화된 생존경험과 욕망, 적응력 등의 혼종성을 성차의 층위에서 분석함으로써 성폭력의 생존자, 어머니-되기 그리고 욕망하는 주체들과 같이 다중적이고 중첩적인 정체성을 생성하는 유목적인 주체로 구성했다. 여성주의 목회상담의 이야기 치료적 재구성, 여성의 나선적 발달 단계 모형, 내적 욕구를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해결하려는 성서적 모델 읽기 등은 이러한 북한이탈여성들의 욕망과 내적 역량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강화하는 실제적인 목회적 돌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여성들 각각의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하나님 형상의 회복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여성이라는 공동체적 서사를 한반도 분단체제의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대안적인 담론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nomadic subjectivity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suggest strategies and methods in the perspective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pursues the counselee’s personal benefit of restoring the image of God as it deals with females and their experiences in church, which so far have been neither essentialized nor universalized.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cultural transformation for the Kingdom of God, it focuses on both consciousness raising which deindividuates the problem and empowerment of political capacity. In this context, nomadic subjectivity, a kind of political project which not only resists the Western notion of univocity subject but also re-figures the feminist subject pluralistically, resonates with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Nomadic subjectivity means creating overlapping identities through repetitions of both differences and variations while traversing in-between the three levels of sexual differences which occur simultaneously in our daily lives: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differences among women, and differences within each woman. This study analyzes that the cause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ternal psychological problems is the phenomenon and mechanism of representing them as an image of univocity in the state of national division of North and South. Victims of sexual violence, nationalistic mothers with mythical motherhood, beauties from the North with erotized and sexually exchanged bodies and such are common representations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se images can essentialize and stereotype them as victims. The mechanism of representing and reproducing the before-mentioned images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s essentially disgust, victimization, nationalism, and scapegoat deprived of desire, and this whole mechanism is based on dualistic and male-centered sexual differences. These fixed and segmented image representations and reproductions eventually forc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o stay as second-class citizens, by deleting or omitting the multiple identities that they have created with their viabilities, bargaining abilities, and adaptabilities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fection. Therefor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onstructs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s nomadic subjects who can create multiple identities through their escape, and second, it proposes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strategies and plans which discover and recognize this nomadic subjectivity and strengthen it as an internal capability. Through analyzing the hybridity such as their embodied survival experiences, desires, and adaptabilities on the level of sexual differences, it has constructed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s nomadic subjects who create multiple, overlapping identities: survivors of sexual violence, becoming-mothers, and subjects with their own desires.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strategies and plans provide pastoral care in a practical way, that they actively discover and strengthe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desires and inner capabilities. These strategies and plans include narrative therapeutic reconstruction, a spiral model of female stages of development, and a biblical model of identifying and actively resolving their inner needs. These pastoral counseling approaches not only restore the holistic, integrated image of God in each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but also reconstruct their community narrative in a way that it becomes an alternative discourse against the nationalist ideology of the national division of North and Sou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