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8 Download: 0

바로크음악 연주사례 비교 연구

Title
바로크음악 연주사례 비교 연구
Authors
이현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기선
Abstract
본 논문은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가 1720년~30년 사이에 작곡한 바흐의 《비올라 다감바와 쳄발로를 위한 소나타 제1번》(Sonata for Viola da gamba and Cembalo in G Major, BWV. 1027)에 나타나는 연주 관습에 관련된 바로크 시대의 음악적 특징과 그에 대입된 실제 연주 사례 비교를 통한 작품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작품이 작곡된 바로크 시대에는 성악곡을 위주로 부흥했던 르네상스 시대와 달리 기악 음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화려하고 정교한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장식음이 발달하였으며, 가사가 없는 기악곡에서도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을 조성, 음정, 화성, 선율, 리듬, 다이내믹 등의 음악의 구성요소들과 연결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음악 양식의 변화와 발전이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변화들은 악보에 기보되기보다 연주자들의 관습적 연주 습관에 따라 즉흥적으로 연주에 반영되었는데, 이것은 현대 연주자들로 하여금 바로크 음악 연주에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에 본론 A에서는 보편적인 바로크 음악의 특징과 함께 언급된 바와 같이 악보에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연주 관습에 의해 지켜진 규칙 중에서도 장식음과 다이내믹, 아티큘레이션 등의 정의와 유래에 대해 알아보았다. 감정 이론을 바탕으로 전개된 바로크 음악은 지속 저음과 리듬의 관습적 연주로부터 장식음과 다이내믹 등, 많은 정보를 간략하게 표기하거나 생략하여 기보 되었다. 이렇게 간결한 악보로 나타낸 작품은 오랜 시간을 뛰어넘은 현대에 이르러 연주자의 자유로운 해석에 입각한 현대식 연주와 바로크 음악의 연주를 시대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원전 연주로 연주되고 있다. 본론 B에서는 바로크 음악의 특징 중에서도 연주 관습과 가장 가까이 연관된 장식음과 다이내믹을 중심으로 이 작품에서 대표적 사례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다이내믹의 경우 원전악보와 편집자의 연구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편집 판을 비교하여 유추된 정보를 해석하여 본 결과, 편집자의 음악 분석에 따라 다이내믹의 위치와 정도, 반복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마지막 본론 C에서는 앞서 살펴본 바를 중심으로 다양한 실제 연주 사례를 비교하였다. 저마다의 해석에 따라 세밀한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로 본론 A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원전 연주스타일에 가까운 연주와 자신의 해석에 기반 한 연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특히 음악의 ‘발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아티큘레이션은 음악 학자들에 의해 당대의 연주법이 상세히 연구되었는데, 활 테크닉과 깊이 연관되어 장식음과 다이내믹, 프레이즈의 해석과 맥락의 파악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본 논문은 바로크 음악의 특징 중에서도 연주 관습과 관련된 것에 중점을 두어 작품과 연주사례에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객관적 연주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에 보다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작품 연주에 있어 어떤 스타일의 연주를 지향하더라도 작품이 작곡된 당시의 배경과 원리를 이해하여 명확한 기준을 갖고 균형 있는 태도로 작품에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Johann Sebastian Bach’s Sonata for Viola da gamba and Cembalo No.1 in G Major, BWV. 1027 through its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roque era based on performance practices in the same period. In addition, actual performances were compar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different perspectives adopted by modern performers. Musical characteristics reflecting Baroque-era performance practices can be seen in ornaments, dynamics, and articulations, which were not marked in detail in musical scores. Performers in those days made spontaneous decisions regarding type, length, and density in accordance with general conventions and rules,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 and flow of music in their interpretations. The modern performances analyzed in this paper were divided broadly into two categories, with one group adhering to Baroque-era performance practices, and the other embracing a more modern style based on individual interpretation. The two different styles were identified in this paper's analysis of modern performances. In the case of musical ornaments like the trill, the performers showed differences in beginning note, speed, number of repetitions, and closing turn, and expressed dynamics depending on the length of phrase. The most prominent difference was in articul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bow technique.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 scores, playing notes separately is the norm in Baroque music. While most performers followed this practice, a few connected the notes with slurs. Also, the performers showed unique interpretations of "nobiles" and "viles," which were used to create metric accents. Since the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of performers can lead to entirely different performa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for performers in establishing standards for their musical style and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