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1 Download: 0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 연대 추정 연구

Title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 연대 추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stimating the Compilation date of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Byungki Hwang)』
Authors
손수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ompilation date of the Yanggeum score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unggi)』, which was released in 2020. To do the study, it’s estimated the compilation date of the corresponding score by comparing with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eong-gi)』, which was estimated to be only in the early and mid 20th century, with the music in various scores of the time. The scores selected for comparison are 18 Yanggeum scores from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By comparing with the notation system, structure, and melody with the contemporary Yanggeum score which notated Yeongsanhoesang, the similarity of the system was revealed. And by comparing with the Geomungo melody, the central instrument of Yeongsanhoesang. it’s examined the meaning of existence of music in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ung-gi)』.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the notation system with 18 Yanggeum scores of the time, it was found that 『Ayanggeumbo』 uses the same Hangeul-style Yukbo and Gangyeogbo as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ung-gi)』.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tructure, it was found that Sangnyeongsan, Seryeongsan, and Garakdeori published in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unggi)』 are similar to the music recorded in the score of the mid-20th century. From the Hahyeondodeuri to the Gunak, the structure was very similar. As a result of melodic comparative analysis,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eong-gi)』 had the most similarity in melody to 『Seogeum』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Ayanggeumbo』 of the mid-20th century. In other words,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eong-gi)』 is the most similar to 『Seogeum』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Ayanggeumbo』 of the mid-20th century, and it seems to contain music very close to the score in the mid-20th century. Through this, it can be estimated that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eong-gi)』 is the music of the mid-20th century and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music in 『Seogeum』. Also, through comparison with the contemporary Yeongsanhoesang Geomungo melody, it was confirmed that the Geomungo melody was very similar to the Yanggeum score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unggi)』. Above all,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must have been the score of the music that was actually played. Considering that 『Ayanggeumbo』 was compiled in 1940 and 『Seogeum』 was a score that recorded music from souther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it is estimated that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unggi)』 was probably the music of the Gyeonggi region in the 1930s and 1940s. Only the music of some regions such as Iri, Gurye, and Jeongeup has been handed down to this days, and the Hyangje Pungryu of Honam, Yeongnam, Chungcheong, and Gyeonggi regions was maintained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it is known that the lifeline was cut off. With the appearance of Yanggeum score 『Yeongsanhoesang (collected by Hwang Byunggi)』 in the mid-20th century, it was to confirm the existence of Pungryu music culture in the Gyeonggi region in the 1930s and 1940s.;이 연구는 2020년 공개된 양금보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의 편찬연대 추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세기 초·중반일 것으로만 추정된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을 당대 여러 악보에 실린 음악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악보의 편찬연대를 추정해보았다. 비교를 위해 선정한 악보는 20세기 초·중반의 양금 고악보 18종이다. 당대 양금 악보에 기보된 영산회상과 기보체제·분장구조·선율 비교를 통해 체제의 유사성을 밝히고 이를 다시 영산회상의 중심악기인 거문고 선율과 비교하여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의 음악과 해당 악보의 존재의미를 살펴보았다. 당대 양금보 18종과의 기보체제 비교를 통해 살펴본 결과,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은 『아양금보』와 같은 한글식 육보와 간격보를 사용하고 있어 가장 유사한 기보체제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분장구조 비교를 통해서는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에 실린 상령산·세령산·가락더리가 20세기 중반의 악보에 수록된 음악과 유사함을 발견하였다. 하현도드리부터 군악까지는 분장구조가 대동소이하였다. 선율 비교 분석의 결과,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은 20세기 초반의 『서금』과 20세기 중반의 『아양금보』와 가장 유사한 선율을 갖고 있었다. 즉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은 20세기 초반의 『서금』과 20세기 중반의 『아양금보』와 가장 유사했으며 20세기 중반 악보와 매우 근접한 음악을 수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은 20세기 중반의 음악이며 『서금』에 실린 음악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동시대 영산회상의 거문고 선율과의 비교를 통해 양금보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에 실린 양금 선율과 매우 높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해당악보에 실린 음악은 합주음악으로서 조화를 이루고 있어 무엇보다 실제로 연주하던 음악의 악보였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양금보』는 1940년에 편찬되었고 『서금』은 경기도 남부 및 충청도 지방 일대의 음악을 기록한 악보였음을 볼 때,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은 1930~1940년대 경기지방 일대 음악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향제풍류는 이리, 구례, 정읍 등의 일부 지역의 음악만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고, 호남·영남·충청·경기 지역의 향제 풍류는 20세기 중반까지 명맥이 유지되었으며 그 중 경기와 영남의 풍류는 20세기 후반에는 명맥이 단절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20세기 중반의 양금보 『영산회상(황병기 소장본)』의 등장으로 1930~1940년대 경기 지역 풍류 음악문화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