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8 Download: 0

위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출구」에 관한 연구

Title
위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출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Exit」 based on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ve behavior
Authors
차은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In today’s modern societ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resulted in rapid economic growth, and people can share and communicate information using media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However, the profit- and purpose-oriented communications required by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for modern people living in the digital media era has deepened competition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anxiety, which has caused various social problems. Based on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ve behavior, the artist created a dance work, 「The Exit」, to raises the need for communication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growth as a critical subject who can think beyond the current situation of standardized communications.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ance work 「The Exit」(2021) based on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subject and contents of the work, space use and composition by scene, the movement path and movements of the dancer, and the meanings of the objects, this three-chapter study effectively explained the theme of the work. Moreover, giving meaning to the stage space and using symbolic objects expressed the changing human psychological state and growth as a critical subject, breaking away from the uniform communication of capitalism. In Chapter 1 of the work, the back of the stage was limited and set to Space A to represent the human figure living in a modern society with uniform communications and material elements. The emphasis of low-height movements expressed the aspect of living in the societal dominance, losing one’s autonomy. In addition, the typewriter and SNS sound effects reveal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human life in modern society. The traffic cone objects, which symbolized the material elements, produced the human figure and loss of humanity who cannot escape from communications for the pursuit of profit demanded by capitalist society. Chapter 2 depicted the process of moving away from the standardized, destination-oriented communications required by society, growing up as a thinking being, and changing to a positive attitude and critically looking at society. This was expressed as the dancer leaving Space A and moving to Space B. In the meantime, the red triangular lighting conveyed the meaning of warning, prohibition, and danger to the modern society viewed by humans. The attempt to gradually reduce the material elements imposed by society in one’s life was expressed by the movements of stacking red traffic cones. The appearance of the white traffic cones symbolized the process of restoring humanity and regaining the true meaning of communications. In Chapter 3, Space C, the center of the stage, was set up to symbolize the ideal future where people coexist with communications based on mutual respect with others. The dancer placed white paper and three-color paper between the red and white traffic cones. The curved paths running around them narrowed the gap between the ideal society and reality pursued by the subject, indicating that humans were moving forward with an ambitious attitude for genuine communications. In addition, the dancer holding the three-color drawing paper and walking to reach the white drawing paper at the center of the stage expressed the strong inner side of the subject. The repetition and accentuation of the upward movements of extending the arms high created a hopeful atmosphere that aimed for coexistence with communications. The piano music with repeated fast-tempo melodies hinted the constant endeavors for the future. This study on the dance work 「The Exit」 explored the importance of living as a critical subject beyond the standardized communications of capitalist society and understanding and considerate of others rather than pursuing individual interests. It aimed to convey a hopeful message that it is possible to live a coexistent life with others through communication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오늘날 현대사회는 교통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며 사람들은 시·공간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매체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미디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요구하는 이익과 목적 지향의 의사소통방식은 서로간의 경쟁과 개인이 느끼는 심리적 불안감을 심화시키며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을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통해 바라보고 이를 무용작품「출구」로 창작하여 획일화된 소통이 주를 이루는 현 상황으로부터 벗어나 사유할 수 있는 비판적 주체로서의 성장과 상호이해에 의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출구」(2021)를 창작하고 이를 분석한 것이다. 작품의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그에 따른 움직임, 오브제의 의미를 중심으로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무대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상징적인 오브제를 사용하여 자본주의의 획일화된 소통으로부터 벗어나 변화되는 인간의 심리상태와 비판적 주체로서 성장해가는 모습을 총 세 장으로 구성하여 작품을 전개하였다. 작품의 1장에서는 획일화된 소통과 물질적인 요소들이 강조된 현대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해 무대의 상수 뒤쪽을 A공간으로 제한하여 설정하였으며, 낮은 높이의 움직임을 부각시켜 주체성을 잃고 사회의 지배 속에 살아가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또한 타자기와 SNS 효과음을 사용해 현대사회에서 미디어가 인간의 삶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때 물질적 요소를 상징하는 트래픽 콘 오브제를 사용하여 자본주의 사회가 요구하는 이익추구를 위한 소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면서 이로 인해 인간성을 상실하게 된 상황을 연출하였다. 2장에서는 사회로부터 요구되는 목적지향의 획일화된 소통에서 벗어나 사유하는 존재로서 성장하며 사회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과정과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됨을 A공간을 벗어나 B공간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통해 연출하였다. 이때 빨간색 삼각형 조명을 활용하여 인간이 바라보는 현대사회에 대하여 경고, 금지, 위험의 의미를 전달하였으며 피아노를 비롯해 신디사이저, 하몬드 오르간 등으로 넓은 음역을 연주할 수 있는 건반악기를 사용하여 인간 내면의 깊은 심리를 표현하는데 효과를 더하였다. 또한 사회에서 강요하는 물질적 요소들을 자신의 삶속에서 점차 감소시키는 모습을 빨간색 트래픽 콘을 겹쳐 쌓아올리는 움직임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흰색 트래픽 콘을 등장시켜 인간성을 회복하게 되는 과정과 의사소통의 진정한 의미를 되찾게 된 상태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무대 중앙인 C공간을 타인과의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의사소통을 통해 공존하는 삶을 살아가는 이상적 미래를 의미하는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무용수는 흰색 도화지와 3색으로 구성된 도화지를 빨간색 트래픽 콘과 흰색 트래픽 콘이 있는 공간사이에 배치시키고 그 주위를 달리는 곡선의 이동경로를 사용해 장면을 연출하여 주체가 추구하는 이상적 사회와 현실의 간극을 좁히면서 진실된 소통을 하고자 의욕적인 태도로 나아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3색으로 구성된 도화지를 들고 무대중심에 있는 흰색 도화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걷기 움직임을 통해 주체의 확고해진 강한 내면을 표현하였으며 팔을 높이 뻗는 상승하는 움직임을 반복하여 부각시킴으로써 의사소통을 통한 공존을 지향하는 희망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이때 빠른 템포의 멜로디가 반복되는 피아노 음악을 사용하여 미래를 향해 끊임없이 도전해 나아갈 것을 암시하면서 작품을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창작작품「출구」를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획일화된 소통으로부터 벗어나 비판적 주체로서 살아갈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이익추구보다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자세의 중요성을 말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소통을 통해 타인과 공존하는 어우러지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하며 서로 존중하는 이상적인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해 나아갈 수 있음을 작품을 통해 강조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