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6 Download: 0

남북한 매체에 나타난 통일 이슈 분석

Title
남북한 매체에 나타난 통일 이슈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Unification Issues in South and North Korean Media : Multidimensional Content (substantive, affective) and Structure (time, space) Attributes with Spheres of Media Agendas
Authors
전가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건호
Abstract
본 연구는 한반도에 분단 현실이 자리 잡은 이후 75년여간 남한과 북한의 통일 논의가 전진과 퇴행을 거듭한 배경을 탐구하는 데 큰 목적이 있다. 통일에 대한 남북의 이질적 인식이 그 배경일 수 있다고 보고, 남북의 언론 매체에 나타난 통일 현실의 구성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과 한반도 평화 논의가 활발하던 2018년부터 북미 합의가 결렬되었지만 대화를 지속한 2019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관계가 경색한 2020년까지 남한의 조선일보와 한겨레, 북한의 로동신문 사설과 칼럼 등의 의견 보도를 내용분석 했다. 이를 위해 남북한 매체의 동질성과 상대성을 점검하기 위한 ‘의제 영역(spheres of agendas)’과 의제설정 이론의 2차 의제인 속성의제 범위를 확장한 ‘다차원적 속성의제(multidimensional attributes)’를 제안하고 활용했다. 의제 영역은 통일 의제가 남북한의 체제 특성으로 인해 자주 또는 덜 취급되거나 아예 배제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구분한 것이다. 통일 의제가 체제 특성상 남과 북이 모두 동의하는 영역(포괄적 합의)에 속하는지, 어느 한쪽에서만 수긍할 영역(배타적 합의)에 있는지, 아니면 정당한 논쟁적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나눴다. 다차원적 속성의제(multidimensional attributes)는 통일 의제의 인지적·정서적 측면을 분석하는 내용적 속성의제와 보도의 시간적·공간적 지향이 어떠한지를 나타내는 구조적 속성의제를 통합한 개념이다. 연구 결과, 남한과 북한 매체가 통일 관련 의제를 다루는 영역부터 차이가 있었다. 남북한 매체는 통일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국가 체제 아래에서 통일 의제는 주로 논쟁이나 배타적 영역에서 보도했다. 남한에서는 이념적 지향에 따른 남남갈등 사안 등 정당한 논쟁의 영역이 가장 많았다. 매체별로 보면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정당한 논쟁의 영역을 대부분 다뤘지만, 조선일보는 한미동맹 강화와 같은 북한이 동의하기 어려운 배타적 합의 영역을, 한겨레는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 등 북한 체제의 정당성 문제와 결부되지 않은 포괄적 합의의 영역 의제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보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북한에서는 논쟁을 전혀 허용하지 않으면서 남한이 동의하기 어려운 배타적 의제를 제시했다. 남한과 북한 모두 일탈의 영역은 다루지 않아 매체가 체제를 유지하는 기제라는 점을 확인했다. 의제 영역은 시기별로도 달랐다. 2018년에는 한겨레가 포괄적 합의의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다뤘지만 해가 갈수록 정당한 논쟁의 영역 비중이 증가했다. 조선일보는 2018년 정당한 논쟁의 영역에서, 다음 해에는 배타적 합의의 영역에서 상대적 비중을 높였다. 북한 로동신문은 비중은 작지만 2018년에만 포괄적 합의의 영역을 제시하고 배타적 합의 영역에 머물렀다. 통일 의제 역시 꾸준하지 않고 정치적 이벤트에 따라 빈도의 증감을 나타냈다. 모든 매체의 통일 보도 빈도도 남북 대화가 경색하면서 줄어들었다. 남북한 매체의 속성의제 빈도를 비교해도 차이가 드러난다. 남한 언론이 통일 요건에 중심축을 두는 반면, 북한 로동신문은 북한의 특수성을 가장 빈번하게 취급했다. 로동신문은 북한 특수성 의제가 대부분이었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속성의제 빈도도 달랐지만, 정서적 논조도 매체별로 엇갈렸다. 조선일보는 북한 비핵화, 국가보안법 폐지나 대북 전단 금지 등과 같은 속성의제를 비판적으로 내보냈지만, 한겨레는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 대북 인도적 지원, 남북경협과 사회문화체육 교류, 민족자주통일 등의 속성의제에서 긍정적 논조를 드러냈다. 또한 조선일보가 북한 인권 개선이나 이산가족, 국군포로 문제, 북한의 개혁개방, 한미동맹 강화 등의 속성의제에 대해 긍정적이었다면, 한겨레는 한미동맹 강화나 탈북자에 대해 부정적 논조를 드러냈다. 로동신문은 체제 선전이나 영도자 업적칭송, 민족자주통일, 미군 철수 속성의제에 대해 긍정적 보도를, 남한의 수구세력과 족벌언론의 문제는 부정적으로 다뤘다. 남한 언론에서 보도 빈도가 높았던 북한 비핵화나 남북사회문화교류 등의 의제는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 다만 민족자주통일을 긍정하고 남한 수구세력이나 족벌언론,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를 하는 보도가 한겨레와 로동신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로동신문은 그러나 한겨레가 중점적으로 다룬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 속성의제를 조선일보처럼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내용적 속성의제 빈도는 보도 시기별로도 변화를 나타냈다. 북한 비핵화와 평화협정 등 통일 요건에 관한 속성의제는 2018년 긍정적 정서가 많았지만 2019년부터 부정적 정서를 담은 보도가 증가했다. 조선일보는 북한 비핵화 등에 대한 비판에 주력했지만, 한겨레는 종전선언 속성의제를 긍정적으로 다루다 한미동맹 강화 등에 대한 부정적 보도 비율이 늘었다. 2020년에는 군사 긴장 해소와 이념적 논쟁 의제가 자주 등장했다. 시간적 속성과 공간적 속성으로 구성되는 구조적 속성의제도 남북한 매체별로 달랐다. 북한은 영도자의 과거 통일 관련 업적을 선전하거나 미래 민족자주통일 등에 관한 영도자의 비전을 실현해 나가자는 북한 내부 다짐을 강조한 반면, 조선일보는 현재 시점의 북한 비핵화나 한미동맹, 탈북자 문제 해결 등을 위한 남한 정부의 대응을 촉구하는 보도가 많았다. 한겨레는 로동신문보다는 덜하지만, 과거 일본 관계의 오류, 미래의 남북관계와 국제관계 등의 구조적 속성을 상대적으로 자주 활용했다. 보도 시기별로 구조적 속성의제 보도량도 달라졌다. 2018년에는 미래의 남북관계, 국제관계를 다루는 속성의제가 주를 이뤘지만, 2019년과 2020년에는 현재 남한과 북한 내부가 많았다. 내용적 속성의제와 구조적 속성의제의 상관관계도 남북한 매체별 특징을 나타냈다. 조선일보가 강조하는 북한 비핵화와 같은 통일요건의 문제는 현재, 남한 내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한겨레가 자주 보도하는 종전선언이나 남북경협과 같은 통일 접근법은 미래의 국제관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북한 영도자의 과거 통일 관련 업적 선전을 많이 보도한 로동신문과도 차별되는 점이다. 다차원적 속성의제는 의제 영역과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포괄적 합의 영역은 미래의 남북관계와 정의 상관관계를, 배타적 합의 영역은 미래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궁극적으로 남북한 매체가 통일을 이벤트 중심적으로 다루고 포괄적 합의의 영역 의제를 턱없이 부족하게 취급한다는 점을 알 수 있게 한다. 조선일보와 한겨레 모두 정당한 논쟁의 영역에서 통일 속성의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데, 조선일보는 통일 요건과 같은 현재 남한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한겨레는 통일 접근법이나 가치관 같은 미래 남북한 관계에서 중요한 의제를 강조했다. 로동신문은 과거와 현재 북한 내부에서 배타적으로 의제를 다루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매체 보도가 서로 다른 이념 체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을 재확인시키는 지점이다. 또한 남한 내에서도 조선일보와 한겨레가 서로 다른 시공간 의제를 강조하는 데에서 남남갈등의 씨앗을 찾을 수 있다. 남북한 매체가 통일 의제와 관련해 새로운 시각이나 의식을 막거나 방해하지 않고, 최소한의 공통적 이해를 종합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이 연구는 남북 매체가 구성하는 통일 현실을 정교한 방법론을 통해 실증적으로 비교하고, 속성의제의 차이와 관계를 드러내면서 건강한 이해의 발판을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북한 매체의 내용을 일차 문헌을 통해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북한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북한 매체를 자세히 들여다볼 기회가 없다는 점에서 매체 의제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북한 매체에 드러나는 이념과 정치제도의 역할, 방향성을 살펴보면서 남북한이 상대를 선택적으로 전달하거나 왜곡하지 않는지를 돌아보고, 대립적이고 갈등적인 대북 인식을 점검할 이유를 마련했다. 나아가 매체 중심 통일 논의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데 단초를 제공했다. 남한과 북한의 통일 의제가 정치학이나 국제관계에서만 분절적으로 이뤄지기보다는 체제와 정치기구, 미디어의 동학을 촘촘하게 분석하고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연구는 통일의 과정에서 매체가 새로운 시각이나 의식을 가로막지 않도록 매체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통일을 둘러싼 매체의 역할이 남북한 공동의 의미 정향을 향해 나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the repeated advances and regressions in the discussion towards the unif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ver the past 75 years through media perspectives. To this end,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of South Korea, and the Rodong Sinmun of North Korea were analyzed so as to compare the constituted reality of the unification agendas. Elaborating the method to check the homogeneity and relativ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media, the ‘spheres of agendas' and the ‘multidimensional (content and structure) attributes', which expand the scope of the agenda-setting theory, were proposed and utilized. The analysis period is from 2018 (acceleration), when talks for 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as active, to 2019 (slowing), when the North Korea-U.S. agreement broke down but the dialogue continued, and 2020 (constraint) when the relations were strained following events such as the explosion at the inter-Korean joint liaison offi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orth Korean media's agenda for unification was dealt with in ‘the sphere of exclusive consensus’ with almost no contact with South Korea. In South Korea, ‘the sphere of legitimate controversy’, such as the conflicts among the South Koreans due to the ideological underpinning of different sections of society, was the most common. The unification agendas also increased or decreased in frequency depending on political events. The Hankyoreh treated ‘the sphere of inclusive consensus’ as the most important issue only in 2018, during the accelerated period for peaceful unification discussions. But the Chosun Ilbo reports focused on ‘the sphere of legitimate controversy.’ In 2018 alone, the Rodong Sinmun presented a few articles in ‘the sphere of inclusive consensus’ but the content stayed mainly in ‘the sphere of exclusive consensus’. Both South and North Korea did not deal with ‘the sphere of deviance’, confirming that the media was the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system. Furthermor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media in terms of the ‘content attributes’. While the South Korean media focused on ‘the requirements for unification’ as ‘substantive attributes’,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dealt mostly with the ‘North Korea idiosyncrasy’ attribute. The ‘affective attributes’ were at variance. The Chosun Ilbo had a predominantly negative tone on ‘the conditions for un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Hankyoreh had numerous positive reports on ‘the unification approach and values’. The Rodong Sinmun was positive about the North Korean specificity agenda. In terms of the period, positive reports prevailed in 2018 on ‘the requirements for unification’, but the negative tones had increased from 2019 onwards. In 2020, ‘the unification values’ attribute came up frequently. ‘structure attributes’ made up of time and space inevitably drew a distinction. Whereas North Korea viewed the ‘North Korea idiosyncrasy’ attribute from ‘the past' or ‘the future’, the Chosun Ilbo primarily reported on ‘the requirements for unification’ in ‘South Korea’ from ‘the present’ attribute. The Hankyoreh concentrated on the ‘inter-Korean’ and the ‘international’ attribute in ‘the future’. The frequency of coverage of the structure attributes varied by period as well. In 2018, the agenda for ‘the future’ of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attributes were mainly focused. However, after that, there were many ‘inside South’ or ‘inside North Korea’ attributes. A correlation was also found between the content attributes and the structure attributes. ‘the unification requirements’ attribute emphasized by the Chosun Ilb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sent’, ‘South Korea’ attributes. On the contrary, ‘the unification approach’ attribute, mostly reported by the Hankyore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uture’, ‘international’ attributes. There is a deep chasm with the Rodong Sinmun,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orth Korea idiosyncrasy’ in ‘the past’. The multidimensional attributes were also correlated with the spheres of the agendas. ‘the spheres of inclusive consensu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uture’, ‘inter-Korean’, while ‘the sphere of exclusive consensus’ provid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uture’ attribute. In essence, ‘the sphere of exclusive consensus’ and the differentiated ‘multidimensional attributes’ are a reminder of the lack of ‘the sphere of inclusive consensus’ in the unification agenda in both the South and North Korean media and the seeds of conflicts within South Korea. While the unification discussions accelerated, slowed, and contracted, the frequency of the agenda also decreased, and the South Korean media returned to internal criticism and conflicts. These findings corroborate the need to expand the agendas of ‘the sphere of inclusive consensus’ through steady dialogue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develop multidimensional attributes that penetrat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relations. Fundamentally, this study invokes the role of the media in South and North Korea as a major impetus to present a common understanding without preventing or hindering the perspectives or consciousness regarding the unification agend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