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로동신문」에 나타난 김정은 집권기 인재 담론 분석

Title
「로동신문」에 나타난 김정은 집권기 인재 담론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scourse of Talent in the "Rodong Sinmun" during the Kim Jong Un Era
Authors
박근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김정은 집권기의 북한당국이 필요로 하는‘인재’가 어떤 사람인지 살피고 이를 둘러싼 북한당국의 요구를 규명하는 것이다. 왜 ‘인재’를 살펴보고자 하는가? 본 연구는 ‘인재’가 사회적 세력 관계의 산물로서 그 사회의 시대상과 수요를 반영하는 표현임에 주목하였다. 인재에게 요구되는 능력과 자질은 고정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요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기 발행된 「로동신문」 기사 296건을 통해 북한당국이 형성한 인재 담론을 분석한다. 「로동신문」은 연속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김정은 시기의 인재 담론을 시계열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분석자료이다. 「로동신문」의 정론성, 사상교양성, 사회적 영향력에 비추어 볼 때 북한당국의 인재에 대한 인식과 주민들에게 갖추라고 요구하는 인재의 능력과 자질을 알아보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김정일 집권기인 1995년부터 2011년까지 「로동신문」의 제목에서‘인재’ 표현은 연평균 14회 등장하였다. 김정은 집권기인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인재’ 표현은 연평균 약 37건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김정은 집권기 내 2017년부터 2019년까지는 연평균 약 54건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당국의 공식담론으로서 기능하는 「로동신문」에서 인재 언급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북한당국은 주민들에게 어떠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재가 되라고 요구하는가? 그러한 능력과 자질을 필요로 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연구 방법으로는 내용분석을 선택하여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첫 번째 차원은 북한당국이 형성하는 인재 담론의 구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사 1건을 분석단위로 중심주제를 분류하고 그 양상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차원은 북한당국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유형과 자질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다. 분석대상 기사의 제목과 본문에서 ‘인재’의 수식어를 수집하고 동시출현 단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정은 집권기 북한당국의 인재 담론은 “지식경제시대”라는 북한당국의 시대 인식을 배경으로 한다. 북한당국이 인식하는 “지식경제시대”는 과학기술이 사회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대로 이를 이끌어나갈 인재를 필요로 하는 시대이다. 수식어 분석을 통해 도출한 북한당국이 요구하는 인재는 “시대의 요구에 맞게 조국의 과학기술과 공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인재로서 훌륭한 재능과 능력, 지식을 갖춘 인재”로 요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김정은 시기 북한당국이 요구하는 인재의 유형은 “과학기술인재”와 “혁명인재”로 대변된다. 김정은 시기 대표적인 인재 유형인 과학기술인재와 혁명인재는 상호보완적 관계인 동시에 긴장 관계를 형성한다. 북한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구체적인 자질은 북한이 처한 대내외적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맞추어 북한당국은 당국이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되거나 그러한 인재를 양성하라는 주문을 해설과 사례를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전달한다. 인재 담론을 구성하는 요소는 외부로 소개되거나 제도적 실천으로 등장하여 담론을 재생산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김정은 시기의 인재 담론은 시기적으로 인재 담론 준비기(2012~2016년)와 인재 담론 강화기(2017~2019년)로 나눌 수 있었다. 인재 담론 준비기에는 집권 초기의 김정은이 인재 담론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준비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과 전민과학기술인재화 방침을 발표하기도 하고 인재양성을 위한 시설물을 짓고 소개한다. 이는 앞으로 북한당국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인재 담론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시기 새로 집권한 김정은이 대내외적으로 통치의 정당성과 발언권을 확보하고자 했던 정치사회적 배경과도 그 맥락을 같이한다. 인재 담론 강화기는 인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진 시기로서 인재 담론 준비기에 마련한 구성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재생산한다. 또한 지식경제시대가 요구하는 “창조형”, “실천형” 인재의 필요성이 구체적으로 제기된다. 한편 2019년은 앞선 두 해와 변별되는 지점도 나타나는데 이는 2019년 북·미 정상회담의 결렬 이후 북한당국의 우려와 타개책 모색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인재 담론을 분석하여 김정은 시기 북한당국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능력과 자질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북한당국의 시대 인식과 시기별 정치사회적 요구를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북한당국의 목표와 지향점을 전망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orth Korean defines “injae (talent)”and to clarif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demands surrounding the discourse on talent during the Kim Jong Un Era. The topic deserves attention because the abilities and qualities of talent are neither fixed nor constat, but change flexibly according to society’s needs, thereby reflecting the society as aproduct of social power relations. This study analyze the discourse on talent form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based on 296 articles on the “Rodong Sinmun” published during the Kim Jong Un Era. Considering the material’s continuity, role on ideology propaganda, and influence on the North Korean society, this study regarded the “Rodong Sinmun”as adequate for examining Norht Korean authorities’view on talent. From 1995 to 2011, under Kim Jong Il’s regin, the expression “talent” appeared 14 times a year on average among the titles of articles in the “Rodong Sinmun.” The number increased to about 37 cases per year from 2012 to 2019, during Kim Jong Un Era. In particular, the number reached 54 cases fper year in the period from 2017 to 2019. Why did the use of expression “talent” increase in the “Rodong Sinmun,”a material that functions as an official discourse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hat kind of ability and qualities do the authorities demand of North Korean people in order to become a talent? What is socio-political background behind such demand? In order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content analyais was select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 and conducted in two dimension. The first demension is to reveal the structure of the discourse on talent form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For this purpose, one article was classfied as the unit of analysis. The background and elements behind the discourse were deduced through examining the main topic of the article. The second dimension is to find out the types and qualities of talent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need. For this purpose, the modifier of “talent” was collected from the title and the body of the articles, and a co-words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discourse on talent during the Kim Jong Un Era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erception of “the Era of the Knowledge Economy.” It is a period in whic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view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underlying social development, and thus the era requires corresponding talents. The co-word analysis shows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demand talent that “contribute to the nation’s development in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era” and “have excellent ability and knowledge.” More specifically, in the Kim Jong Un Era, the type of talent demand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an be described as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 and “Revolutionary-Talent.” The two talent types representing the Kim Jong Un Era form a complementary and tense relationship at the same time. The specific qualities of talent demand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y change depending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it faces. Corresponsive to such circumstance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deliver orders to the North Korean people to either become necessary talents or cultivate such talents using various explanations and examples. Elements forming the discourse on talent are introduced to the external world or appear as institutional practices,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discourse. The discourse on talent during the Kim Jong Un era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he “Preparation Period of Discourse on Talent” between 2012 and 2016. The second period is the “Reinforcement Period of Discourse on Talent”between 2017 and 2019. During the former, Kim Jong Un is in the early years after his inauguration and is seen to be preparing the elements forming the discourse on talent. In this period, schemes such as “12 Year Compulsory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whole People as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 were announced, and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for cultivating talent was built. The purpose was to set the foundation of the discourse on talents need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is is in line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in which the newly ruling regime needed to secure its legitimacy and the right to speak,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e second period, the “Reinforcement Period of Discourse of Talent,” it can be found that the discussion on talent has become active and the elements prepared in the prior period are actively reproduced. Furthermore, the need for “Creative Talent” and “Practical Talent,” as demanded by “the Era of the Knowledge Economy,” is raised specifically. Meanwhile, the year 2019 shows feature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two years, seemingly reflecting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oncerns after the breakdown of the 2019 North Korea-U.S. summit in Hanoi, and the following search for countermeasures.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on talent between 2012 and 2019 to identify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alent demand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during the Kim Jong Un Era. By doing so, this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socio-political demand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n different time perio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s a new perspective in predicting the direction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