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재분배 선호에 대한 공정성 인식의 영향

Title
재분배 선호에 대한 공정성 인식의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Fairness Perception on the Preference for Redistribution : an empirical study through the 2019 Korean Welfare Panel Survey
Authors
성다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세완
Abstract
과거 재분배 선호에 관한 연구는 주로 경제적 요인의 영향력에 집중하였으나, 한국인의 재분배 선호는 비계급화 되었다는 실증 연구가 다수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재분배 선호가 개인의 이해관계로만 구성되는 선호가 아닌 타인의 효용, 의지, 행동 등을 고려하는 사회적 선호이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 인식이 재분배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회적 선호 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 연구를 통하여 해당 이론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공정성 인식이 한국인의 재분배 선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조사 14차년도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결측치나 분석 불가능한 응답이 없는 1343명으로 한다. 공정성 인식은 빈곤 원인 인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분석 모형은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기반으로 한 부분 비례 승산 모형을 사용하였다. 추정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평등이 공정하지 않은 이유로 형성되었다고 인식하는 경우 재분배 선호가 높아지고, 불평등이 공정한 이유로 형성되었다고 인식하는 경우 재분배 선호는 낮아졌다. 따라서, 개인의 공정성 인식이 재분배 선호의 예측 요인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이는 재분배 선호가 일종의 사회적 선호라는 이론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사회 구조로 인하여 불공정함이 발생한 경우, 개인의 운에 의해서 불공정함이 발생한 경우에 비해 재분배 선호에 더 많은 영향력을 미쳤다. 즉, 사람들은 사회 구조에 의하여 발생한 불공정함에 대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조정하길 바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인의 재분배 선호는 이해관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결정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 저소득층인 것이나 임시근로자인 것은 재분배 선호가 높아지는 데 영향을 미쳤으나, 고소득층인 것과 정규근로자 혹은 사업자 등인 것은 재분배 선호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한국의 재분배 선호 구성은 어느 정도 비계급화되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결과적으로, 한국인의 재분배 선호 구성에서 사회적 선호 요인은 상당히 주요한 위치를 점한다. 앞으로도 여러 사회적 선호 요인과 재분배 선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Previous studies on the preference for redistribution mainly focused on the influence of economic factors. However, many empirical studies have concluded that economic class does not affect Koreans' redistribution preferences. This result may attribute to the factor that an individual's redistribution preference is a social preference rather than a preference consisting only of individual interests. People may prefer more redistribution if a situation beyond an individual's control causes poverty. In other words, the beliefs about fairness may affect the preference for redistribu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belief on the fairness to the formation of redistribution preference among Koreans. The data of this study is the 14th Korea Welfare Panel Survey. From the data, 1343 people who had no missing values ​​or unanalyzable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 partial proportional odds model based on the ordinal probit model was employed as the analysis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are as follows. When people believe that inequality is formed by unfair reasons, such as personal luck or social structure, the preference for redistribution increases. On the contrary, when inequality is perceived to be formed by fair reasons like personal effort, the preference for redistribution decreases. Therefore, an individual's belief in fairness may work as a predictor of redistribution preferenc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theory that redistribution preference is a kind of social preference. Next, when people think inequality is caused by social structure, it has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redistribution preference than when inequality is believed to be caused by personal luck. In other words, people want the government to solve the unfairness caused by the social structure actively. Also, Koreans' redistribution preferences are not determined solely by their interests. In this study, earning a low income or being a temporary worker affects having a higher preference for edistribution. However, getting a high income and being a regular worker or business operator did not affect redistribution preference. The results support that Korea's redistribution preference is not determined by economic class to some extent. As a result, the social preference factor is crucial in the composition of Koreans' redistribution preference. Research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ocial preference factors and redistribution preference is requir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