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Book Support Tool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Perceptions on Digital Books

Titl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Book Support Tool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Perceptions on Digital Books
Authors
전유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최근 전자책 사용의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전자책은 새로운 형태의 책으로써 제 2 언어를 학습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전자책 연구는 전자책과 종이책이 지닌 특성의 차이를 밝혀내는 데 주력해 왔고, 그 결과 종이책이 전자책에 비해 지문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라는 결과가 우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은 지속적으로 전자책의 연구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고,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읽기시험방법, 지문의 길이, 지문의 유형 등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게 되었다. 또한, 전자책 구성 요소에 관심을 두었는데, 이 중 하나가 전자책 보조도구(Built-in support tool)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책 보조도구의 다른 종류가 고등학생의 영어읽기이해도와 전자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는 읽기모델(top-down and bottom-up models)과 읽기처리방식(higher- and lower-level reading processes)에 대한 이론 및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다수의 선행 연구들은 종이책 환경에서 하이라이팅 및 오디오 보조도구가 읽기이해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그러나 하이라이팅과 오디오 보조도구가 전자책 환경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방식의 보조도구가 전자책 환경에서 구현되었을 때, 전자책 보조도구가 읽기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는 63명의 울산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참가하였다. 모든 참가자에게는 읽기능숙도 및 읽기이해도 시험이 실시되었다. 읽기능숙도 시험 평균의 중앙값에 의해 상위/하위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세 개의 집단(오디오/하이라이팅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분류되었다. 하이라이팅과 오디오 집단은 각각 전자책의 하이라이팅 또는 오디오 보조도구를 사용하면서 전자책 지문 읽기 활동을 수행하였고, 통제집단은 보조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전자책 지문의 읽기활동을 수행하였다. 읽기이해도 시험은 역균형화(counter balance)를 위해 설명문과 이야기글이 교대로 제공되었으며, 상향식 및 하향식 읽기처리방식(higher- and lower-level reading processes)을 측정하기 위해, 지문의 전반적인 내용(global understanding)과 세부적인 내용(local understanding)의 이해도를 검증하는 문항을 포함하였다. 또한, 사전, 사후 설문조사는 전자책 읽기와 전자책 보조도구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책 보조도구를 활용하지 않은 읽기가 하이라이팅 도구를 활용한 읽기보다 세부사항 이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능숙도 상위그룹의 경우에는, 전자책 보조도구를 활용한 읽기가 전자책 보조도구를 활용하지 않은 읽기보다 설명문의 전반적인 내용 이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책 읽기와 전자책 보조도구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오디오집단은 전자책 읽기 경험이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 읽기 집중력, 읽기 이해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디오집단은 오디오 보조도구가 읽기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지문의 상세내용 및 전반적인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제집단의 절반 이상(63%)이 추후 전자책을 사용할 의사가 없으며, 오디오 집단의 대부분(92%)은 전자책의 사용 의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후 설문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일부 참가자들의 답변은 본 연구의 하이라이팅과 오디오 보조도구를 활용한 읽기가 보조도구를 활용하지 않은 읽기에 비해 효과적이지 않다는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오디오 집단의 일부 참가자들은 오디오의 빠른 속도로 인해 지문을 이해하거나 상세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인지 과부하 이론과 관련이 있다. 또한, 전자책과 보조도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설문에서도, 사전훈련(pretraining), 세분화(segmenting), 양식(modality)과 관련하여 인지 과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응답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응답은 전자책 읽기가 인지 부하를 증가시키며, 시청각 자극이 작업기억용량을 초과하면 인지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도 관련이 있다. 실제로 오디오 보조도구를 활용한 읽기는 읽기와 듣기 채널을 모두 활용하여 정보가 제시되는데, 그 정보의 양이 참가자의 작업기억용량을 초과하여 인지과부하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자책 보조도구의 활용이 항상 읽기이해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전자책 보조도구가 인지과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책 보조도구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이해를 필요로 한다. 교사는 전자책 보조도구를 활용한 읽기수업 계획 시, 지문유형, 읽기능숙도, 전반적인 내용 혹은 상세내용 파악과 같은 지문의 이해 수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전자책 보조도구가 인지과부하를 초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인지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와 선행 연구의 결과 비교를 통해, 오디오와 하이라이팅 보조도구는 전자책과 종이책 환경에서 읽기이해도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보조도구 외 다양한 보조도구를 활용을 읽기가 읽기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In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notable increase in the use of digital books. This new form of the book plays a role as an additional tool for the second language (L2) learning. Since researchers started conducting studies on digital books, they have focused on investigat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printed books and digital books. The general results were that performance of digital books was inferior to that of printed books in terms of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researchers continually have attempted to broaden the research scope on digital book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at could affect reading performance, such as comprehension assessment tests, length of texts, and text types. Moreover, another way to broaden the research scope is to consider the other digital books components. Built-in support tools can be one of them.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gital book support tool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perceptions on digital books based on the theories of reading models and processing, and the previous studies on reading support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audio and highlighting support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in paper context.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reading online was different from reading in paper context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ow audio-and highlighting-support tools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in a digital context though some researchers proposed the need for systematic research on the effects of traditional reading strategies in digital contexts. Furthermore,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found that readers were inclined to use different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econd language (L2) reading proficiency. 63 EF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n Ulsan, Korea. Every participant took the two proficiency tests and the four comprehension tests. Depending on the proficiency test scores, the participa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low and high.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udio- and highlighting-support) and a control group. The highlighting-support group read digital book texts with a highlighting-support tool on a digital book. The audio-support group did with the audio-support tool. The control group did not use any support tool while reading. The four digital book texts were provided by turns depending on text types for counter-balancing on the comprehension tests. The comprehension tests included global and local questions in order to measure higher- and lower-level processes in L2 reading.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answered the pre-and post-questionnaires measuring perceptions on reading digital books and digital support books. The results elicited from quantitative data revealed that reading without any support tool was more effective than reading with the highlighting-support for local understanding. Furthermore, reading without any support tool was more effective than reading with the highlighting-support for local understanding of narrative texts. In addition, reading with audio-or highlighting-support tools was more effective for high-proficiency participants than reading without support tools in terms of global understanding of expository texts. The perception changes toward digital book reading and support tools showed that the audio-support group perceived digital book reading increase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concentr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the audio-support group felt that their support tool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and helped local and global understanding. Moreover, more than half of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63%) were unwilling to use digital books. On the other hand, the audio-support group (92%) mostly answered they were willing to use digital books. The findings from the open-ended items on the post-questionnaires could provide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inferiority of digital support tools as quantitative results. Some answers for the perceived disadvantages of the audio-support tool seemed to be relevant to cognitive overload. The participants in the audio-support group stated that the rapid speed of the audio-support hindered them from understanding the texts or identifying some detail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usability of digital books and support tools were also related to the ways for reducing cognitive overload: pretraining, segmenting, and modality. Some previous studies stated that digital reading was related to a higher cognitive load, which could incur cognitive overload when the intended cognitive processing was surplus to the working memory capacity. Reading with audio-support on this current research was the coordination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i, which might exceed the reader’s capacity to cause cognitive overload. Therefore,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participants would undergo cognitive overload when using the audio-support tool while reading texts, which could explain the inferiority of digital book support tools on this research.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reading texts with digital book support tools was not remarkably effective for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Using digital book support tools would increase cognitive load more than readers’ capacity. It was revealed that utilizing digital book support tools is not straightforward. Thus, the use of such tools requires explicit instruction for school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ext types, reading proficiency, and lower- and higher-level processes in English reading. Teachers need to recognize digital book support tools would occur cognitive overload and consider the ways to reduce cognitive load for using digital book support tools in their reading class. In addition, by comparing current research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audio and highlighting support affected reading comprehension differently in either digital or printed contexts. Due to the low numbers of related studies, more research on other types of digital support tools needs to be perform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