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1 Download: 0

퇴원간호교육 국내 연구 동향분석

Title
퇴원간호교육 국내 연구 동향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Nurse’s Discharge Education : A Scoping Review
Authors
장민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uses a scoping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o develop nurse’s discharge educations published in Korea and analyz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 related research. Total 9 paper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s a nurse’s discharge education intervention 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paper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 the topic of discharge education for the recent 10 years (Jan. 2012 to Oct. 2021). This study identified the research questions, identified relevant studies, selected studies, charted data, collated and summarized data, reported the results, and analyzed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dischar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scoping literature review provided by Arksey & O'Malley and the guidelines of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ic Reviews and Meta-analysi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PRISMA-ScR). Ou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otal 9 papers were analyzed. The academic journal in which nurse’s discharge education related papers were contained the most is nursing science research field and chronically ill adult patients were the most. 2. All papers were the ones that were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on patients and the papers on the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on self care practice among patients were the most. As a result, discharge edu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gree of self care practice among patients. 3. All papers developed a new discharge education program, and as data for development, used the demand for education in patients who experienced hospital admission and discharge for the same disease as the patients to be educated had the most. One (1) time of training about discharge education program occurred the most and the time of education varied from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to 3 weeks after discharge. There were only 2 papers that executed discharge education even after discharge. And there’s no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The time of education varied from 12 min. to 60 min. For experiment group, lecture, among the education methods or media was used the most. In all papers, nurses participated as an education performer. There were only 2 papers in which people working in other occupations other than the nurse participated in education. All papers executed post investigation. Give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precedent research paper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urse’s discharge education researches and nurse’s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is, the strengths and supplementations for nurse’s discharge education could be found. One of the strengths was positive impact on patient’s self care practice by developing and intervening in the nurse’s discharge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e’s discharge education by executing discharge education continuously could be seen. As supplementations, standardized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need to be develope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for continuous management after discharge is also needed. Therefor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effective nurse’s discharge education strategies and nurse’s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판된 퇴원간호교육 관련 연구 동향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주제 범위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최근 10년 이내(2012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퇴원간호교육을 주제로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퇴원간호교육 중재 혹은 효과검증 논문으로, 연구에 사용된 논문은 총 9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Arksey & O'Malley 가 제시한 주제 범위 문헌고찰의 방법론적틀과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ic Reviews and Meta-analysi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PRISMA-ScR)의 지침에 따라 연구 질문을 설정, 관련 연구 확인, 연구선택, 데이터 기록, 분석 ·요약과 결과 보고를 시행하여 퇴원간호교육 연구 국내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9편의 논문이 분석되었다. 퇴원간호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간호학 연구 분야였으며, 대상자는 성인 만성질환자가 가장 많았다. 2. 모든 논문은 퇴원간호교육이 대상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퇴원간호교육이 대상자의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연구결과 퇴원간호교육이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 모든 논문이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였고, 개발을 위한 자료로 교육 대상자와 같은 질환으로 입퇴원을 경험하였던 환자의 교육요구도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교육횟수는 1회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 시기는 입원 시부터 퇴원 후 3주까지 다양하였다. 퇴원 후에도 퇴원간호교육을 시행한 논문은 2편에 불과하였으며, 퇴원 환자의 사후 관리 시 병원 외 자원과 연계된 프로그램은 없었다. 교육시간은 최소 12분에서 60분으로 다양하였다. 실험군 대상 교육방법/매체 중 강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모든 논문에서 간호사가 교육 시행자로 참여하였다. 간호사 외 타 직종이 교육에 참여한 논문은 2편이었다. 모든 논문이 사후조사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퇴원간호교육 연구특성 및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논문에 제시된 정보들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퇴원간호교육의 강점과 보완해야 할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점으로는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재하여 환자의 자가간호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속적인 퇴원간호교육 연구 수행으로 퇴원간호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볼 수 있었다. 보완이 필요한 점으로는 대상자 특성에 적합한 표준화된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퇴원 후 지속적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와 연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효과적인 퇴원간호교육 전략과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