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한국 성인 크론병 환자의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와 크론병 질병심각성의 연관성 규명을 위한 예비연구

Title
한국 성인 크론병 환자의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와 크론병 질병심각성의 연관성 규명을 위한 예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association between food-based index of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score and Crohn’s disease severity in Korean adult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 A pilot study.
Authors
이예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크론병은 위장관 내에서 만성적인 염증 상태가 완화와 재발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질병으로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장내 미생물 총의 불균형, 염증 반응으로 유도된 장관의 만성 염증이 발병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를 통한 염증 유발 가능성은 다양한 영양소와 그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단일 영양소의 섭취보다는 전체적인 식사 패턴 안에서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로 나타난 식사의 잠재적인 염증 유발가능성과 크론병 환자의 특성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환자 내에서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와 식이 당지수, 식이 당부하지수, 식사의 질지표, 식이 염증 지수 간의 관계,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와 크론병 환자의 질병심각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50세 한국 성인 크론병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비연속적인 3일의 식사를 조사하였다. 사회경제적 특성 및 식행동, 생활습관과 관련된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신체계측, 임상적 검사 및 생화학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크론병 관련 특성과 유의적인 연관성이 도출되지 않았으나, 회귀분석을 통해 계산에 이용된 10가지 식품군(p<0.001)과 베타카로틴, 비타민 B1, 비타민 B3, 비타민 D(p<0.05)와 유의적인 연관성이 나타났다.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는 식이 당부하지수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도출되었고(r=0.444, p=0.038), 대상자들의 생화학적 지표와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 간에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도출되지 않았지만 식품기반 염증평가지표가 높을 수록 크론병 환자의 질병 심각성을 나타내는 Fecal calprotectin과 질병활성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크론병 환자 내에서 식후 혈당의 상승은 만성 염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식사의 잠재적인 염증 유발 가능성은 크론병의 질병 심각성과 관련하여 크론병의 진행과 예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론병 환자에서 만성 염증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고 당부하지수 식품, 전염증성 식품군의 적절한 섭취로 크론병의 예방과 치료와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Crohn's disease is continuous repeated flare-up and remission of chronic inflammation state in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Although the cause of Crohn’s disease is not identified, the imbalance of intestinal microbiota and chronic inflammation in the GI tract induced by inflammatory reactions could play a major role. Correlation between inflammation and diet has been reported to various nutrients, but recently,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in the overall dietary pattern than a single nutrien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food-based index of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score(FBDI) and Crohn’s disease severity in Korean adult Crohn’s disease patients. The first specific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and the biochem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Korean adult Crohn's disease patients. The second specific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FBDI, glycemic index (GI), glycemic load (GL), dietary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 and dietary inflammatory index (DII) in Korean adult Crohn’s disease patients. In this study, 25 people of 19-50-year-old with Crohn’s disease reported discontinuous 3-day food records, a survey was conducted 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dietary behavior, body measurements, clinical tests, and biochemical data were collected at the time of recrui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BDI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Crohn'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The FBD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10 food groups used in the calculation through regression analysis (p < 0.001).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intake of beta-carotene, vitamin B1, vitamin B3, and vitamin D were found (p < 0.05).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derived between FBDI and GL (r=0.444, p=0.038), an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derived between the GL and the DQI (r = 0.510, p=0.015).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biochemical data and FBDI, however, the higher the FBDI score, the higher the fecal calprotectin and Crohn’s disease activity index score which indicated the severity of Crohn's disease. Consequently, the elevated post-prandial glucose level in Korean Crohn's disease patients may affect chronic inflammation, and the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may be related to the risk of Crohn's disease. Therefore, the cautious intake of high GL food and pro-inflammatory food groups may be necessary to prevent chronic inflammation in Crohn’s disease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