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이화상태에 따른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이 다발성 외상 환자의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이화상태에 따른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이 다발성 외상 환자의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ssociation of the initial level of enteral nutrition, stratified by the catabolic status, and risk of clinical prognosis outcomes in severe and multiple traumatic patients.
Authors
양수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다발성 외상 중환자는 과대사작용 및 단백질 이화작용이 급격히 증가한 상태에 처해있기 때문에 영양불량 발생의 위험이 높으며 그에 따른 적절한 영양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초기 경장영양과 질소 평형 수준이 다수의 외상 중환자의 임상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입원한 302명의 중증 외상 성인 환자에 대한 후향적 관찰 연구이다. 경장영양과 정맥영양에 의한 초기 영양 지원은 입원 후 7일까지 계산되었다. 각 모델은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수술 횟수, 에너지 및 단백질 섭취율 등의 교란 변수를 조정하여 분석되었다.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에 따라 분류된 그룹은 다변수 조정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입원 후 사망률 및 합병증 발생률, 영양관련 혈액검사 등과의 관련성이 분석되었다. 연구 대상자가 적극적인 경장영양 공급을 받았을 때 사망률이 감소하고 (crude model: odds ratio (OR), 0.12; 95% confidence interval (CI), 0.03-0.41; model 1: OR, 0.06, 95% CI, 0.02-0.25; model 2: OR, 0.07; 95% CI, 0.02-0.32), CRP 수치가 줄어들었으나 (crude model: β, -0.34, 95% CI, -11.21--4.32; model 1: β, -0.28, 95% CI, -9.76--2.93; model 2: β, -0.22, 95% CI, -8.66--1.48), 중환자실 재원일수가 증가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crude model: β, 0.15, 95% CI, 0.57-9.55; model 1: β, 0.18, 95% CI, 1.58-10.42; model 2: β, 0.19, 95% CI, 1.82-11.32). 이화 상태에 따라 계층화된 분석에서 경장영양 공급 수준에 따른 병원 연관 감염의 발생률은 경정도의 질소 평형 그룹보다 중정도 이상의 질소 평형 그룹에서 더 낮았다. 추가 분석에서의 사망률 관련 결과는 이전 결과와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보여진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과 사망률 및 염증성 지표 수준 사이의 음의 연관성에 대한 결과는 다발성 외상 중환자의 회복 과정에서 적극적인 경장영양 공급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할 수 있다. 추후 이화 상태가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과 임상적 예후 사이의 연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추후 필요할 것이다.;Pati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trauma need appropriate nutritional support because they are at high risk of malnutrition by hypermetabolic and protein catabolism. Therefore the effects of level of initial enteral nutrition (EN) and nitrogen balance on outcomes after multiple traumatic critical illness patients were analyzed. This wa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302 severe and traumatic adult patients admitted between January 2017 and September 2020. Initial nutritional support by enteral nutrition and parenteral nutrition were calculated up to admission day 7. Models were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operation number, and intake% of energy and protein.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itial enteral nutrition were compared with mortality, morbidities, and nutrition-associated blood test using multivariable-adjusted logistic regression and linear regression models. When subjects were on the high EN support, they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mortality (crude model: odds ratio (OR), 0.12; 95% confidence interval (CI), 0.03-0.41; model 1: OR, 0.06, 95% CI, 0.02-0.25; model 2: OR, 0.07; 95% CI, 0.02-0.32) and C-reactive protein (crude model: β, -0.34, 95% CI, -11.21--4.32; model 1: β, -0.28, 95% CI, -9.76--2.93; model 2: β, -0.22, 95% CI, -8.66--1.48), but increased in intensive care unit length of stay (crude model: β, 0.15, 95% CI, 0.57-9.55; model 1: β, 0.18, 95% CI, 1.58-10.42; model 2: β, 0.19, 95% CI, 1.82-11.32). In analyses stratified by catabolic status, the incidence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HAIs) according to level of EN is less in the moderate or higher nitrogen balance group than mild nitrogen balance group. The mortality-related results in the additional analysi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ults. In conclusion, our observation of invers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EN supply and mortality risk and levels of inflammatory markers may confer possible benefits of active EN supply to recovery process among severe and multiple traumatic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whether catabolic status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EN and progno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