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20대 남녀의 성적 동의 (Sexual Consent)에 대한 인식과 실천

Title
20대 남녀의 성적 동의 (Sexual Consent)에 대한 인식과 실천
Other Titles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exual consent among Korean adults in their twenties
Authors
김채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지
Abstract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한국의 가부장적 규범 아래 끊임없이 폄하되고 통제되어왔다. 십수 년간 유지되어온 성착취 웹사이트 소라넷은 2020년 새로운 이름의 ‘N번방“으로 재등장하였고, 여성들은 끊임없는 디지털 성범죄와 데이트 성폭력 사건들로 보호받지 못했다. 여성의 몸과 성성은 남성의 지배적인 위치를 재확인하는 주요 성불평등 기제로 남아있으나, 섹슈얼리티에 대한 적극적인 성교육이나 사회적 논의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특히나 성불평등 기제로써의 섹슈얼리티를 이해함에 있어 ’성적 동의 (Sexual Consent)’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성적 행위자들 간에 성적 동의 개념은 단순히 강간을 구분 짓는 형사적 요건일 뿐만 아니라, 동의에 이르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젠더 권력의 양상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연구 대상이다. ’성적 동의‘를 연구하는 것은 여성들의 성적 자기 결정권 보장과 직결되는 개념임에도 여전히 사생활의 영역으로 치부되거나 암묵적으로 소통되는 개념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남성과 여성의 성적 의사소통 과정에서 수많은 오해가 발생하고, 상반된 동의의 이해로 인해 성적 자기결정권이 침해되는 사례도 발생한다. 따라서, 성적 동의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이며, 어떤 쟁점에서 어떤 방식으로 남녀 간에 상반된 성 인식이 나타나는가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20대 남녀가 이해하고 실천하는 성적 동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성적 동의를 둘러싼 대부분의 선행 연구는 ‘강간통념 수용도’라는 포괄적인 양적 척도를 이용하여 개인들의 성 의식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강간 통념의 주요 쟁점들을 포함한 17가지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성적 동의의 실천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시나리오 속 행위자들의 성 행위가 동의에 기반했는지를 물음으로써, 응답자들의 성적 동의에 대한 이해를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성적 동의를 둘러싼 기존의 서구 중심적 연구에서 벗어나, 한국 20대 청년들이 가지는 성적 동의에 대한 이해와 성평등주의에 대한 인식을 담아냈다. 국내 젠더 갈등이 주요한 사회 이슈로 대두되면서, 페미니즘을 둘러싼 20대의 인식이 성적 동의 담론에서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를 사용하여, 성차별주의 점수가 성적 동의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20대 청년들의 성적 동의 인식에는 큰 성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들은 여성들에 비해 각 성적 시나리오를 동의에 의한 행위로 간주할 로그 승산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나, 명확한 거절 표현이 묘사된 시나리오일수록 동의 평가의 성차가 두드러진 점은 이전 서구 문헌과 상반되는 연구 결과이다. 데이트 폭력이 의심되는 명백한 시나리오일수록 여성과 남성의 응답은 동일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가장 극명한 성차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 연구와는 달리 성별과 적대적 성차별주의의 교차 효과를 분석하여, 현 청년 세대에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젠더 갈등’의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앞서, 20대 남성들의 적대적 성차별주의 점수가 여성들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왜곡된 성 인식과도 정적 상관관계를 맺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남성과 적대적 성차별주의의 교차 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성은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관계없이 대부분의 성적 시나리오를 동의로 간주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고 낮은 적대적 성차별주의에 따라 극명한 동의 평가의 차이를 보인 여성들과 달리, 완만한 곡선 형태의 응답 분포를 보인 남성들은, 명확하고 모호한 시나리오에 따른 변화도 크게 찾아볼 수 없었다. 여성들은 명확한 비동의 시나리오일수록, 적대적 성차별주의 점수가 낮을수록 각 시나리오를 동의로 간주할 확률이 현저히 낮아졌으나, 남성들에게서는 이러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남성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적대적 성차별주의 정서와 왜곡된 성문화가 각 시나리오의 쟁점과 상황을 자세히 고려하지 않고, 일관성 있는 응답을 유도하게 되었다고 유추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본 연구는 성적 동의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20대 청년들의 성적 동의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지극히 서구 중심적이었던 논의에서 벗어나, 한국의 성 문화와 시대적 상황을 고려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젠더 갈등이 최고조에 다다른 지금, 남성과 여성의 인식 격차는 어느 때보다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속해서 발생하는 데이트 폭력과 디지털 성범죄의 중심에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사회적 억압과 남성주의적 성 문화가 있다. 따라서, 성평등한 성적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명확한 재정의가 필요한 시점이며, 남성주의적 시각 아래 형성되어있는 성 인식 역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sexual consent among young Korean adults in their twenties. With the surge of digital sex crimes and report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 points in which men and women comprehend consent differently. Using a logistic regression, the study examines 17 different scenarios that depict either clear or vague expressions of sexual consent (or refusal). In order to analyze the growing sentiment of anti-feminism and gender conflict in the Korean society, both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scale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model. The results conclude significant and gendered implications of hostile sexism towards the evaluation of sexual consent. To summarize, men were more likely to evaluate each scenario as consensual than women, clearer scenarios of non-consent showed more distinct gender differences, and the effects of hostil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sexual consent was only significant among female respondents. The current study adds to the previous study of sexual consent in two aspects. As most literature focus on a Western understanding of sexual consent, the same interpretations cannot be applied to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reflects the dominance of hostile sexism and anti-feminist norms in an Asian context, where new waves of online feminist movements have started to conflict with dominant patriarchal views in society. The dominance of hostile sexism clearly demonstrates that linear progress in gender equality is not a valid assumption in the status quo, yet an important phenomenon nevertheless in understanding gender conflicts in South Korea. Secondly, this study finds that clear gender differences exist when evaluating sexual consent, not merely due to gender itself, but as the level of hostile sexism implies different results for men and women. While previous literature that suggested clearer gender differences in ambiguous scenarios, the current study challenges this intuitive claim. Rather, gender differences were highly significant in clear scenarios, where a clear sign of sexual refusal and discomfort was expressed. This suggests that men, regardless of the level of hostile sexism, generally have a shallow understanding of sexual consent, evaluating clearly different levels of force and pressure as equally consensual. While women with high hostile sexism (above average) evaluated each scenario more consensual than others (with hostile sexism scores below average), men were not influenced by hostile sexism scores, but rather homogeneous in their evaluations to sexual consent. As rape culture is constructed under the male gaze, it is unlikely for males to recognize each scenario as problematic. In some cases, men with lower hostile sexism (below male average) were more likely to view the vignette as consensual, with generally flat responses to each scenario regardless of their sexism scores. The small variation among men's response also demonstrates the general uniformity in men's likeliness to view all sexual encounters as possibly consensual and unproblematic. On the other hand, women showed a wide variation of responses, indicating that they evaluate each sexual scenario differently based on their strategic or involuntary acceptance of sexual double standards and the male gaze. Results indicate a pressing need to escape patriarchal views of sexual consent (i.e. interpreting women's non-consent as mere tokenistic refusals, sexual consent limited to penetration, disregarding withdrawal of consent) and educate young adolescents to interpret sexual consent as a spectrum of expression an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iscontinuity of cons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