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8 Download: 0

간호 인계 역량 측정도구 개발

Title
간호 인계 역량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Nursing Handoff Competency Scale
Authors
도지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Nursing handoff is an important nursing task that maintains nursing continuity an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and patient safety by nurses sharing among themselves the essential information related to patient health problems and treatment. Nursing handoff competency refers to the ability of the nurse who is performing the handoff(sender) to select and interpret meaningful information necessary for patient care, to efficiently transfer it to the accepting the handoff(receiv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nursing handoff competency and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scal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69 initial items were developed. After the content validity survey by experts and implementation of a preliminary survey, 49 items were finally chosen for this study. For scale verifi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clinical nurses who currently work in wards, intensive care units, emergency rooms, and who independently perform handoff.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3 clinical nurses. Us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7 items of the four following factors were derived: 'knowledge on how to perform a handoff', 'identification of patient information', 'judgment and transfer of nursing situation', and 'formation of supportive relationships'. The variance of the four factors was 87.52%. A seco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223 nurs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performed with the collected data to test the fitness of the scale model. The fitness of the scale showed good results in terms of SRMR, RMSEA, TLI and CFI. The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standardized factor loading were .470~.707,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by not including 1.0 in the confidence interval of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The results of correlation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Nurs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Scale and th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15) for the criterion validity showed that the coefficients were .598 and .421, respectively, which provided support for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reliability test showed that Cronbach’s α of the whole tool was .912 and the split-half reliability was .846. The extended Angoff method was used to set the reference score of the scale, and the derived reference score for satisfied/unsatisfied was 72. Through th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ocess discussed above,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scale was shown to be valid and reliable. The nursing handoff competenc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valuate the degree of nurse's handoff competencies and provide evidence to identify nurse's educational needs.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can be used to compos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 Such educational support and competency managemen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nurses' handoff competencie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fficiency of nursing and improvement of nursing quality.;간호사의 인계 역량은 인계간호사가 환자 간호에 필요한 의미 있는 정보를 선별하고 해석하여 인수간호사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간호사의 인계 역량 부족은 인수간호사의 간호판단, 업무 효율, 환자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간호 인계 역량 수준을 측정하여 부족한 점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인계 역량을 자가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간호사의 인계와 관련된 선행 문헌을 고찰하였고, 신규간호사, 신규간호사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사, 간호관리자 등 총 12명을 대상으로 개인면담을 실시하여 수집한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4점 Likert 척도로 구성된 69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국문학자의 검토를 통해 어휘와 표현의 정확성을 점검하였다. 간호대학 교수, 신규간호사 교육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사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문항을 수정, 삭제하여 도출된 49개 문항을 임상간호사 40명을 대상으로 도구 문항의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준거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2차례에 걸쳐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1차 본조사는 현재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서 근무 중이며, 독립적으로 인계 업무를 수행 중인 임상간호사 2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간호 인계 방법에 대한 지식’, ‘환자 정보 파악’, ‘간호 상황의 판단 및 전달’, ‘지지적 상호관계 형성’의 4개 요인, 27개 문항이 도출되었으며, 도구의 설명력은 87.52%로 나타났다. 도구 검증 단계에서는 1차 본조사와 동일한 조건의 임상간호사 223명을 대상으로 2차 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적합도 지수 SRMR .049, RMSEA .036, TLI .959, CFI .964로 양호한 모형임을 확인하여 구성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수렴타당도는 표준화된 요인부하량 값이 .470~.707이며, 변별타당도는 요인 간 상관계수의 신뢰구간이 1.0을 포함하지 않아 타당도의 근거가 확보되었다.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어판 간호사 임상적 추론 역량 측정도구’,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측정도구(GICC-15)’와 간호 인계 역량 측정점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한국어판 간호사 임상적 추론 역량 측정도구’와의 상관계수는 .598, ‘GICC-15’와의 상관계수는 .42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준거타당도의 근거가 확보되었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전체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912, 반분신뢰도는 .846으로 나타나 도구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본 도구에서는 개발된 도구의 충분/불충분의 준거 점수를 설정하였다. 신규간호사, 신규간호사를 교육한 경험이 있는 경력간호사로 구성된 6명의 준거설정자에 의하여 확장된 Angoff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준거점수는 100점 만점 중 72점이었다. 측정된 점수가 72점 미만인 경우 간호 인계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추가적인 교육적 중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2차 본조사 대상자 223명의 점수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39명(17.5%)이 72점 미만으로 간호 인계 역량이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 인계 역량 측정도구는 문항을 통해 인계 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개인은 자가평가를 통해 자신의 역량 수준을 파악하여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관리할 수 있다. 기관에서는 간호사의 인계 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준거점수를 통해 교육이 필요한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으며, 도구의 측정결과는 부족한 인계 역량을 파악하여 인계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한 간호사의 인계 역량 향상은 간호업무의 효율성 및 간호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