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예술고등학교 음악영재들의 진로교육 실제에 대한 질적 탐구

Title
예술고등학교 음악영재들의 진로교육 실제에 대한 질적 탐구
Other Title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ractice of Career Education of Music Gifted Students in Arts High School
Authors
한진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종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고등학교 음악영재들의 진로교육 경험과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술고등학교 음악영재들이 학교 내에서 경험한 진로교육의 실제와 효과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추후 음악영재를 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질적연구 방법 중 심층 인터뷰를 사용하여 각 개인의 진로교육 경험을 조사하고, 진로교육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경기 및 인천에 소재한 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한 5명의 음악영재들로 구성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시간은 회당 평균 60~90분 정도 소요되었다. 또한 현재 예술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모교를 포함한 국내 주요 예술고등학교 8개교의 진로교육 수업계획안을 수집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학교별 진로교육 시수, 교육시간, 교육방식, 교육내용, 검사방식 및 해석, 진로지도 및 상담방식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자세히 분석하였다. 예술고등학교 음악영재들의 진로교육 경험과 실제에 대해 연구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에 진로가 결정된 예술고등학교 음악영재의 전공을 고려하여 특화된 진로교육이 마련되고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미 어려운 관문을 거쳐 자신의 전공을 어렵게 이어나가고 있는 음악영재들에게 일반적인 진로교육과 진로 검사는 자칫 자기 전공에 대한 열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아직 자아가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기에는 자기에 대한 확신이 낮다는 점에서 혹여 자신의 전공과는 거리가 먼 진로결과가 도출되는 경우 상심하거나 자신의 진로에 대한 근거 없는 의심을 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선택한 전공에 특화된 진로검사와 교육을 통해 이들의 진로 선택을 지지하는 동시에 스스로 새로운 진로 탐색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음악이라는 하나의 분야 안에도 매우 다양한 직업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진로탐색 욕구가 강한 예술고등학교 영재들을 위해 세분화된 진로를 제시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예술고등학교의 교육 시스템은 독립적인 솔로 예술가를 양성하는 구조로 되어있다는 점에서, 많은 시간 이러한 교육과 훈련을 받아 온 음악영재들은 이외의 진로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음악 한 분야만 하더라도 연주가가 아닌 예술 경영가, 연출가나 기획가, 악기 제작자나 수리사, 악기 판매상, 음악 전문 기자, 교수나 교사, 공무원 등의 진로로 나아갈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예술고등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진로지도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진로교육은 이러한 세분화된 진로와 직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화두는 창의와 융합이며, 앞으로의 시대는 단일 학문으로만 진로를 이어나가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저 연령대에 음악영재로 전공이 정해졌다고 하더라도 인접 학문의 추가적인 교육을 통해 새로운 진로를 창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영학, 행정학, 교육학, 체육학, 연출학, 미술학 등과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융합적 진로를 창출해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예술고등학교 내의 진로교과 및 진로교육 시간에서 이러한 시도는 전혀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진로교육 시간이 일부에서는 수학이나 영어 등의 부족한 교과의 진도를 나가는 데 활용되고 있어, 예술고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일정한 시간을 보장받고 제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예술고등학교 내에서의 진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문 진로 상담교사가 필요하다. 현재 예술고등학교의 진로상담은 주로 담임 교사가 진행하고 있으나, 입시에 초점을 둔 상담이라는 점에서 학생들은 진로 탐색이나 정보에 대해 전혀 얻을 수 없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예술고등학교 음악영재들의 진로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진로 상담교사와 같은 전문가를 배치하여,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고민을 빠르게 해소하고 필요한 경우에 수시로 상담에 임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음악영재들의 진로교육 경험과 실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음악영재들이 직면하고 있는 진로 고민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진로교육 및 활동 경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바람직한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music gifted students in art high school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and effect of career education experienced by music gifted students at art high schools, and to seek effective career education plans for music gifted students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ach individual's career education experience was investigated, and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on career decisions was investiga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 gifted musicians who graduated from art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Inche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and each interview took an average of 60 to 90 minutes.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in art high schools, the career lesson plans of 8 art high schools in Korea, including the alma mater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For the analysis, the number of hours of career education for each school, education hours, education method, education content, diagnostic results and interpretation,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method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detail. The main results of a study on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music gifted students at art high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provide specialized career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ajor of music gifted students in art high schools whose career paths were decided early. For gifted students who have already gone through a difficult gate and are continuing their major with difficulty, general career education and career testing can reduce enthusiasm for their major. In adolescence, when the self is not yet established, they have low self-confidence, and if a career result far from their major is obtained, they may feel heartbroken or have unfounded doubts about their own career path.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ir career choices through career diagnosis and education specialized in their majors, while allowing them to continue their exploration of new careers on their ow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detailed career path and provide correct information for gifted art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 strong desire for career exploration, given that there are a wide variety of occupations within a single field of music. Since the current art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is structured to foster independent solo artists, gifted musicians who have been receiving such education and training for a long time had little opportunity to think about other career paths. However, even in one field of music, it is possible to move forward into careers such as art managers, directors or planners, instrument makers or repairmen, musical instrument dealers, music journalists, professors, teachers, and public officers, rather than performers. However, since such career guidance is not provided at all in the current art high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ch detailed career and vocational information for future career education. Third, the topic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erefore, even if the major is decided as a gifted student at a low age, a new career can be created through additional education in the adjacent field. For example, by combining business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directing, and fine arts, a new convergence career can be crea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an attempt at the current career course and career education class in art high schools. In addition, since career education time is being used to progress in subjects that are lacking, such as mathematics and English in some cases, career education in art high schools needs to be guaranteed and properly implemented. Fourth, professional career counselors are needed for career education in art high schools to be properly implemented. Currently, career counseling at art high schools is mainly conducted by a homeroom teacher, but the music gifted students were aware that they could not find any career path or information at all in that the counseling focused on the entrance exam. Therefor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for music gifted students in art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arrange an environment such as a career counselor to help students quickly resolve their concerns about their careers and to engage in counseling whenever necessary. This study examines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practice of music gifted students in art high schools, and through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various career education and activity experiences to more effectively solve the career concerns that music gifted students face, and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for career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