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연명의료중단을 대리 결정한 보호자의 치료결정후회 영향요인

Title
연명의료중단을 대리 결정한 보호자의 치료결정후회 영향요인
Other Titles
Influencing Factors of Surrogate Decision Maker's Decision Regret on Withdrawal of End-of-Life Care
Authors
김윤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연명의료중단을 대리 결정한 보호자의 말기 돌봄의 질, 돌봄 부담감, 의사결정갈등의 정도를 파악하고, 치료결정후회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경기도, 안동시에 소재한 3개 기관의 입원환자 보호자 120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치료결정후회는 한국어판 Decision Regret Scale (DRS), 말기 돌봄의 질은 한국어판으로 번안된 Care Evaluation Scale (CES), 돌봄 부담감은 우리나라 보호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돌봄 부담감 도구, 의사결정갈등은 한국어판 Decisional Conflict Scale (DC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사후검정, Pearson’s coefficient,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명의료중단 대리 결정을 한 보호자의 말기 돌봄의 질, 돌봄 부담감, 의사결정갈등과 치료결정후회 대상자가 경험한 말기 돌봄의 질의 평균은 100점 만점에 48.80±15.80점, 돌봄 부담감의 평균은 125점 만점에 76.98±12.16점, 의사결정갈등의 평균은 총점 100점 만점에 36.08±16.46점 치료결정후회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39.66±20.54점으로 나타났다. 2. 연명의료중단 대리 결정을 한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말기 돌봄의 질, 돌봄 부담감, 의사결정갈등과 치료결정 후회 말기 돌봄의 질은 연령(F=5.620, p=.001), 학력(F=9.308, p<.001), 환자 간병을 한 사람(F=3.618, p=.015), 투병기간(F=5.161, p=.002), 연명의료중단 대리 결정으로부터의 기간(F=4.379, p=0.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돌봄 부담감은 성별(F=0.441, p=.010), 환자와의 관계(F=4.853, p=.003), 연명의료중단 대리 결정 경험(F=-3.156, p=.007), 환자의 움직임과 활동정도(F=8.084, p=.001)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결정갈등은 성별(F=0.740, p=.007), 연령(F=3.831, p=.006), 학력(F=4.992, p=.008), 투병기간(F=3.560, p=.017)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결정후회는 연령(F=3.501, p=.010), 학력(F=5.151, p=.007), 환자와의 관계(F=4.583, p=.005), 환자를 간병한 사람(F=5.342, p=.002), 환자의 움직임과 활동 정도(F=4.652, p=.011)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명의료중단 대리 결정을 한 보호자의 치료결정후회, 말기 돌봄의 질, 돌봄 부담감, 의사결정갈등의 상관관계 치료결정후회는 말기 돌봄의 질(r=.335, p<.001), 돌봄 부담감(r=.280, p=.002), 의사결정갈등(r=.297, p=.001)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연명의료중단 대리 결정을 한 보호자의 말기 돌봄의 질, 돌봄 부담감, 의사결정갈등이 치료결정후회에 미치는 영향 치료결정후회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변수는 돌봄 부담감(β=.247, p=.03), 연령, 학력, 환자와의 관계, 환자를 간병한 사람, 환자의 움직임과 활동 정도(ECOG-PS)로 나타났다. 연령, 학력, 환자와의 관계, 환자 간병을 한 사람, 환자의 움직임과 활동 정도를 투입한 Model 1의 설명력은 42.3%, 연구 변인인 말기 치료의 질, 돌봄 부담감, 의사결정갈등을 추가로 투입한 Model 2의 설명력은 50.0%로 나타나 Model 1에 비해 설명력이 7.7%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명의료중단 대리 결정을 한 보호자의 말기 돌봄의 질, 돌봄 부담감, 의사결정갈등을 포괄적으로 포함시켜 어떠한 연구변인이 치료결정후회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확인을 하고자 이루어 졌다. 그 결과 연명의료중단 대리결정을 한 보호자의 돌봄 부담감은 치료결정후회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명의료 중단 대리결정자의 돌봄 부담감 경감을 위한 중재는 이들의 돌봄 부담감을 효과적으로 줄여 치료결정후회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quality of end-of-Life care, care burden, decisional conflict on decision regret of surrogates whom decided to stop life sustaining treatment for terminally ill patients. Data was collected from 117 surrogate decision makers at 3 different hospitals in South Korea. Quality of end-of-life care, decisional conflict and decision regret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are Evaluation Scale (CES), Decisional Conflict Scale (DCS), Decision Regret Scale (DRS) and burden of care was measured by care burden scale developed for Kore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ed by SPSS WIN statistics 23.0 program using real frequency,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al mur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were 48.80±15.80 for CES, 76.98±12.16 for Care Burden, 36.08±16.46 for DCS and 39.66±20.54 for DRS. 2. Among the surrogates' general characteristics, age(F=5.620, p=0.001), education level(F=9.308, p<.001), marital status(F=7.390, p=0.001), caregiver(F=3.618, p=0.015), term suffering from disease(F=5.161, p=0.002), term after making decision(F=4.379, p=0.006)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quality of care. Sex(F=0.441, p=0.010), relationship with patient(F=4.853, p=0.003), experience with end-of-life decision(F=-3.156, p=0.007), performance status of patient(F=8.084, p=0.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are burden. Sex(F=0.740, p=0.007), Age(F=3.831, p=0.006), Education level(F=4.992, p=0.008), marital status(F=4.070, p=0.020), term suffering from disease(F=3.560, p=0.017)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decisional conflict 3. Surrogates' decision regre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end-of-Life care(r=.335, p<.001), care burden(r=.280, p=0.002), decisional conflict(r=.297, p=0.001). 4.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decision regret was care burden, age, education level, relationship status with patient, caregiver, and performance status of patient. The result showed that surrogate decision makers of end-of-life care have some amount of decision regret. As decision regret can end up in decision reversal, unnecessary medical expanses and lawsuits measures have to be taken to reduce decision regret of surrogate decision ma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