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노인 환자 돌봄제공자의 섬망 지식, 돌봄 수행 및 교육요구도

Title
노인 환자 돌봄제공자의 섬망 지식, 돌봄 수행 및 교육요구도
Other Titles
Delirium Knowledge, Caring and Need for Delirium Education of Caregivers of Elderly Patients
Authors
최지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 환자 돌봄제공자의 섬망 지식, 섬망 돌봄 수행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서울 소재 대학병원 내과병동에 입원한 노인 환자의 돌봄제공자 141명을 편의표집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정지영(2013)이 개발한 섬망 지식 25문항과 정지영(2013)의 돌봄 수행 정도 측정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한 15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섬망관련 교육요구도는 오혜영(2015)이 개발한 12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추가로 교육의 필요성과 선호교육방식을 묻는 4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Mann-Whitney test와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섬망 지식은 100점 만점에 평균 68.4±16.99점이었으며 정답률은 68.4%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섬망의 원인관련 지식은 정답률이 67.1%, 증상관련 지식은 정답률이 84.2%, 돌봄 수행관련 지식은 정답률이 56.7%로 증상관련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돌봄 수행관련 지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섬망 돌봄 수행은 5점 만점에 평균 3.05±0.46점으로 나타났다. ‘불필요한 물건이 없도록 환경을 정리한다’가 3.40±0.75점으로 가장 높은 수행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불필요한 소음을 줄인다.’3.36±0.73점, ‘밤 동안 간병은 가능한 한꺼번에 행하고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다’ 3.36±0.72점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수행정도를 보인 문항은 ‘집에서 사용했던 친숙한 물건을 가져오도록 한다’가 2.52±1.10점으로 가장 낮았으며,‘환자에게 날짜, 시간, 장소에 대해서 자주 이야기 해준다’2.72±0.85, ‘안경이나 보청기 및 의사소통 도구를 이용한다’ 2.74±1.07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섬망 지식은 연령(X2=7.94, p=.047), 환자와의 관계(z=-2.57, p=.010), 섬망 노인 환자 간병 경험(t=3.96, p<.001), 섬망관련 교육 경험(t=4.6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0-70세 미만이 50세 미만 보다 섬망 지식이 높게 나타났고, 섬망 노인 환자 간병 경험과 섬망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섬망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섬망 돌봄 수행은 연령(F=2.78, p=.044), 환자와의 관계(t=-3.26, p=.001), 섬망 노인 환자 간병 경험(t=3.06, p=.003), 섬망관련 교육 경험(t=5.1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은 사후검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섬망 노인 환자 간병 경험이 있으며, 섬망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섬망 돌봄 수행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섬망 지식은 섬망 돌봄 수행(r=.29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섬망관련 교육요구도는 평균 3.92±0.66점으로 나타났다. ‘섬망 예방’이 4.07±0.73점으로 가장 높은 교육요구도를 보였고, ‘섬망이 정확하게 무엇인지’가 3.77±0.78점으로 가장 낮은 교육요구도를 보였다. 대상자의 88명(62.4%)이 섬망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섬망관련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답한 대상자가 112명(79.4%)으로 나타났다. 선호 교육방식은 개별적 교육이 96명(68.1%), 오프라인 프로그램이 94명(66.7%), 동영상 교육자료가 83명(58.9%)으로 많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환자의 돌봄제공자의 섬망 지식 수준과 섬망 돌봄 수행 정도는 낮고 섬망 교육요구도는 높은 것을 파악하였다. 노인 환자의 섬망을 예방하고 조기발견하기 위한 돌봄제공자 대상의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에는 섬망의 원인과 돌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돌봄제공자가 노인환자의 지남력 자극시키고 시청각 보조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돌봄 수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돌봄제공자는 섬망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았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므로 섬망 지식수준과 섬망 돌봄 수행 정도의 점수가 낮은 가족 돌봄제공자를 대상으로 동영상 교육자료를 이용한 일대일 오프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aimed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lirium knowledge and delirium care performance of caregivers for elderly patients in general wards and identifying the educational needs.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of 141 caregivers of elderly patients in the general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A questionnaire was structured to measure their knowledge of delirium, caring performance, and 25 items on delirium knowledge developed by Jeong (2013) and 15 items on the level of care performance developed by Jeong (2013) and modified by the researcher were used for measurement. For delirium-related educational needs, 12 items developed by Oh (2015) were used, and 4 items asking the need for education and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were additionally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using SPSS 25.0 in terms of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NOVA,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lso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in delirium knowledge was 68.4±16.99 out of 100, and the correct answer rate turned out to be 68.4%. Looking at each sub-category, the correct answer rate was 67.1% for knowledge related to the cause of delirium, 84.2% for knowledge related to symptoms, and 56.7% for knowledge related to care performance. Thus, the rate was the highest for knowledge related to symptoms, and lowest for knowledge related to care performance. 2. The average score in delirium care performance was 45.60±7.00 out of 60. “Arrange the environment to remove any unnecessary objects”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score of 3.40±0.75, followed by “Eliminate unnecessary noise” with a score of 3.36±0.73, and “Perform caregiving all at once if possible during the night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patient’s sleep” with a score of 3.36±0.72. Items with the lowest level of performance were: “If possible, have the patient bring a familiar object from home” showed the lowest score of 2.52±1.10, followed by “Frequently tell the patient the date, time, and place” with a score of 2.72± 0.85, and “For visual or hearing impairment, use glasses, hearing aids, and communication tools (writing)”with a score of 2.74±1.07. 3. Delirium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X2=7.94, p=.047), relationship with patient (z=-2.57, p=.010), experience of caring for elderly patients with delirium (t=3.96, p<.001), and experience of receiving delirium-related education (t=4.69, p<.001). Those between 60-70 years of age showed higher knowledge of delirium than those under 50, and participants with an experience of caring for elderly patients with delirium and those with an experience of delirium-related education showed higher knowledge of delirium. Delirium care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F=2.78, p=.044), relationship with patient (t=-3.26, p=.001), experience of caring for elderly patients with delirium (t=3.06, p=.003), and experience of receiving delirium-related education (t=5.19,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ost-hoc test for age, and the participants with an experience of caring for elderly patients with delirium and those with an experience of delirium-related education showed higher level of delirium care performance.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delirium knowledge and delirium care performance, delirium knowledg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elation with delirium care performance (r=.292, p<.001). 5. Delirium-related educational need showed an average score of 47.11±7.95. “Preventing delirium”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 with a score of 4.07±0.73, and “What exactly is delirium” showed the lowest educational need with a score of 3.77±0.78. As response to delirium-related education necessity, 32.6% and 46.8% responded “Highly necessary” and “Necessary”, 19.2% responded “Not particularly” and 1.4% responded “Not necessary”. As for the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it was found that 96 preferred individual education (68.1%), 94 preferred offline program (66.7%), and 83 preferred video educational materials (58.9%).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nurse, as an educator, conducted an investigation on the level of delirium knowledge and care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subjects for the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nd that basic data have been prepared that may serve as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by identifying the specific content of education and the need for preferred educational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