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임상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만족과 안전분위기가 투약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Title
임상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만족과 안전분위기가 투약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clinical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climate on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Authors
송가람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만족, 안전분위기가 투약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에 근무하며 투약간호를 직접 수행하는 임상간호사 131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조직의사소통만족은 Downs와 Hazen(1977)의 조직의사소통만족 측정 도구를 박정혜(2002)가 간호조직에 맞추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안전분위기는 Blegan 등(2005)의 의료기관의 안전분위기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나병진(2010)이 번안하고 김민정 등(2016)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투약안전역량은 박진경(2019)이 개발한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31세~35세 51명(38.9%), 여성이 121명(92.4%), 학사가 107명(81.7%)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내과계 근무자가 68명(51.9%)으로 가장 많았고, 현재 재직 중인 의료기관 근무기간은 5년 이상 10년 미만이 45명(34.4%)으로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07명(81.7%)로 다수였다. 최근 1년 이내 환자안전교육을 이수한 대상자는 121명(92.4%)였으며, 투약안전교육을 이수한 대상자는 114명(87.0%)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보고를 작성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1명(69.5%)이었다. 2, 대상자의 조직의사소통만족은 평균 3.06±.58(5점 만점)이었고 그중 수평적 의사소통 정도가 가장 높았고, 조직 전망 정도는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안전분위기는 평균 2.89±.44(5점 만점)점이었으며 안전분위기 중 직원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반면 약제부서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투약안전역량은 평균 3.84±.60(5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영향요인관리의 정도가 가장 높았고 다학제간 협동이 가장 낮았다. 3. 조직의사소통만족은 연령이 25세 이하인 경우 26세 이상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F=4.382, p=.006). 근무기간이 1년 이상 3년 미만인 대상자가 5년 이상 10년 미만인 대상자에 비해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유의하게 낮았다(F=3.758 p=.013). 환자안전교육을 이수한 대상자는 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t=3.542, p=.001). 안전분위기는 연령이 25세 이하의 경우 26세 이상인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F=4.902, p=.003), 환자안전교육을 이수한 대상자가 이수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t=3.922, p<.001) 근무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043, p=.031). 투약안전역량은 근무기간이 5년 미만인 대상자가 5년 이상 10년 이하인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F=6.108, p=.001). 환자안전교육을 이수한 대상자들이 이수하지 않은 대상자들에 비해 투약안전역량이 유의하게 높았다(F=2.763, p=.002). 4. 투약안전역량은 조직의사소통만족(r=.519, p<.001) 및 안전분위기(r=.536,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투약안전역량에 영향미치는 요인은 조직의사소통만족(β=.260, p=.018), 안전분위기(β=.256, p=.023), 연령 36세 이상(β=-.356, p=.005), 근무기간 5년 이상 10년 미만 (β=.360, p=.001) 및 근무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β=.416, p<.001), 외과계 근무부서(β=.212, p=.004)로 나타났으며 47.1%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조직의사소통만족과 안전분위기는 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투약안전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 내 의사소통 만족 수준을 높이고 안전을 우선으로 하는 조직의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투약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개인 뿐 아니라 간호사뿐 아니라 관리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개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climate on their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131 clinical nurses who directly perform medication nursing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or tertiary hospital in the Metropolitan area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measured using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Downs & Hazen, 1977). The Hospital unit Safety climate was used to measure a safety climate of hospital.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was measured using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s for the variables were as follows: 3.06±0.58 for organiza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2.89±0.44 for safety climate, 3.84±0.60 for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2.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related to age(F=4.382, p=.006), clinical experience in the current hospital(F=3.758 p=.013) and patient safety education(t=3.542, p=.001). Safety climate was related to age(F=4.902, p=.003), clinical experience in the current hospital(t=3.922, p<.001) and patient safety education(F=3.043, p=.031).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was related to clinical experience in the current hospital(F=6.108, p=.001), patient safety education(F=2.763, p=.002).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r=.519, p<.001) and safety climate(r=.536, p<.001). 4.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β=.260, p=.018), safety climate(β=.256, p=.023), ages over 36 year(β=-.356, p=.005), clincal experience 5~10 years(β=.360, p=.001) and 10 or more years in the current hospital(β=.416, p<.001), surgical department(β=.212, p=.004) influenced on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In this study,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climate had an effect on nurses’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changes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limate where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increase and safety is considered a top priority to improve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of clinical nurses.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program development for the improvement of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programs for managers and nurses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organizational asp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