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동아시아 전통모시를 통해 본 한산모시 제직 특성 및 작품제작 연구

Title
동아시아 전통모시를 통해 본 한산모시 제직 특성 및 작품제작 연구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traditional ramie textile weaving process in three East Asian countries with the practical application
Authors
김보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weaving characteristics of Hansan Mosi through a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ramie weaving processes among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Korea, Japan, and China. At the same time, the author has attempted to carry on and expand the tradition of Hansan Mosi by actually weaving Mosi works. The weaving techniques of Hansan Mosi is designated in Korea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4. Its value has been further recognized worldwide through its registration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s are the Japanese ramie textiles Ojiya Chijimi and Echigo Jofu 小千谷縮·越後上布. In the case of ramie textile tradition from China, Wanzai Xiabu 万载夏布, the ramie cloth weaving techniques have also been designated and preserved by its government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非物質文化遺産.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ansan Mosi weaving processes 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ramie textiles in Japan and China. In addition, it also expands the concept of “transmission” by actually producing works using Hansan Mosi processes incorporating various design attempts and differing use of materials. Ramie is a traditional fabric that has been used as a material for high-quality summer clothing in these three East Asian countries since ancient times, and is still being woven there to this day. Historically, 苧 (K. cheo) or 紵 (K. cheo) have been the common characters for “ramie” used in the three countries. Fine textiles woven with this fiber are called Mosi in Korea, Xiabu 夏布 in China, and Jofu 上布 in Japan respectively. Ramie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Urticaceae, and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bast fiber 靭皮纖維 used for textile production. The fibers growing around the outside of the plant stem are used as the raw material to make threads. Although made from essentially the same plant, the ramie textiles produced in these three countri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below. First, Hansan Mosi and Wanzai Xiabu use a white-back-leaved species of ramie and is harvested three times a year. Ramie for Ojiya Chijimi and Echigo Jofu, a green-back-leaved species cultivated today in Showa-mura 昭和村, Fukushima, is harvested only one time a year. The harvested raw materials are called Taemoshi in Korea, Zhuma 苧麻 in China, and Aoso 靑苧 in Japan. Hansan Mosi is harvested three times a year, it makes possible to secure the necessary annual yield as well as to distribute the risk of an uneven Taemosi quality of over different growing periods. The raw materials suitable for different eventual uses are classified to produce different thickness of ramie threads, which can then be woven into ramie fabrics of varying fineness. Second, among the various Hansan Mosi processes, the thread-making process can be pointed to as being the most developed and subdivided process among the three countries. The separation of the splitting and the connecting processes, the use of tools, and the accumulation of techniques to minimize defects in the bast fibers all have been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operate in congregate to create finer connecting joints in the threads, resulting in a smooth weaving surface. The most unusual characteristic of the Ojiya Chijimi and Echigo Jofu thread making process is that a twist is applied to ramie threads to increase their strength, thereby enabling the dyeing and Kasuri 絣 (Ikat) of the threads. This most characteristic and prominent process enables exquisite pictorial expressions on plain fabric grounds. In particular, Ojiya Chijimi achieved a creping effect across the entire surface by giving the weft threads extra strong twists, resulting in a technical development combining pattern expression and surface texture. Third, in the case of Hansan Mosi, the starch applied to the warp is quickly dried using heat during the starching process, and the delicate and sensitive ramie strands are handled quickly compared to in other countries, suggesting a high level of skill. The Wanzai Xiabu starching process is suitable for fast and large scale work on coarse ramie threads. The biggest feature of Ojiya Chijimi and Echigo Jofu starching is that ramie threads are starched one strand at a time, affecting all subsequent processes, because the strands come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ilk with no connecting joints. Fourth, in regards to the weaving process, Hansan Mosi is woven on modified looms that replaced the traditional looms, while the ramie cloths in China and Japan are still woven on traditional looms. Hansan Mosi is woven with fine ramie with no twist applied, which is very difficult to weave, indicating that the weaving skill is very high. Wanzai Xiabu can be woven in a varied range of widths due to its wide loom size. The looms for Ojiya Chijimi and Echigo Jofu are similar in form to primitive looms; the flat, low structure is functionally suitable to maintain the humidity needed for ramie weaving. Fifth, with regard to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lthough ramie weaving has been designated and preserv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all three countries, there are difficulties in transmitting traditional techniques for every step of these complex processes, which range from the extraction of the fibers to the actual weaving process. In case of Hansan Mosi and Echigo Jofu and Ojiya Chijimi, government(or local government or related association)-centered transmission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The three countries are making efforts to promote and modernize ramie textiles by establishing exhibition halls, organizing festivals and related events, promot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the developing various desig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y comparison, in the case of Hansan Mosi, although the traditional processes have been maintained in the fiber extraction and thread-making processes, the looms, which are the core implements for weaving, have been converted to modified looms, which increases the woven density of the cloth and reduces its natural gossamer aesthetic. Nevertheless, Hansan Mosi is a plain-weave fabric with no pattern, the simplest possible type of textile, and the surface and texture are revealed clearly due to the translucence of the material; Through a combination of meticulously differentiated thread-making process and skilled weaving technologies, the clear and delicate attributes natural to the ramie material, which is fine yet straight, glossy, and translucent, are the most clearly revealed among the three countries. Based on Hansan Mosi process and its technical characteristics, I also wove groups of art works that faithfully follow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ansan Mosi processes. One of these was the group of works entitled <苧 (Ramie) Is>. Through fieldwork in the region, I studied the weaving processes currently performed in Hansan region and wove basic fabrics myself. This weaving was carried out in the form of person-to-person transmission from weavers and other artisans in the region. Furthermore, my design work experimented with fabrics of different densities, arrangements, and spacing while attempting to maintain the basics of plain weave. In addition, I also wove Chunpo 春布, a traditional textile blending both ramie and silk, which currently no longer has any weavers to provide direct transmission. I wove this to grasp the weaving diversity of Hansan Mosi through related traditional fabrics. Learning the weaving processes and reproducing cloth through actual hands-on work can be seen as one part in the reception of the transmission of ramie weaving, a form of cultural heritage in itself. But I go further and view my attempt to expand the expressive potential of this cloth into the realm of design and fiber art also to be a sort of “transmission” in a broad sense, as a contemporary person living in the present age. I produced the second group of works in an attempt to expand the expression and meaning of transmission. I expanded the expression of ramie weaving to the realm of fiber art by incorporating Taemosi, which has not normally been used as weaving material, and its intrinsic meanings of “memory” and “relationship.” The significance of this ramie art work production using new concepts lies the interest generated by transmitting these processes to modern viewers by weaving in these ingrained meanings while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as they are before processing. As the end of the exhibitions of these works, I included a “Room of Memories,” installing the results of my fieldwork of ramie in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with archived photos and videos from the field surveys. This was intended to augment the visitors’ experiences of ramie through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s and cultures. Hereinafter, I intend to continue to engage as a liaison between traditional ramie textile traditions and contemporary society by engaging in field surveys and the actual production of works that help me grasp the nature and essence of Mosi, and reproducing them in my own art works.;본 논문은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삼국의 전통모시 제직 공정을 비교하여 한산모시의 제직 특성을 고찰하고, 작품제작을 통해 전승과 그 확장을 시도한 연구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된 한산모시짜기는 일본의 전통모시 직물인 오지야치지미·에치고조후(小千谷縮·越後上布)와 함께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중국의 완자이시아뿌(万载夏布) 또한 모시 제직 기술이 중국의 비물질문화유산(非物質文化遺産)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산모시의 제직 특성을 두 국가의 대표적인 전통모시의 제직 공정과 비교하여 파악하고, 공정에 따라 충실히 작품을 제직할 뿐 아니라 디자인적 시도와 소재의 활용을 통해 전승의 개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모시는 고대로부터 동아시아 3국의 여름 고급 의복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현재까지 제직이 이어지고 있는 전통직물이다. 역사적으로‘苧(저)’ 혹은 ‘紵(저)’로 삼국에서 통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모시’, 중국에서는 ‘시아뿌(夏布, Xiabu)’, 일본에서는 ‘조후(上布, Jofu)’로 불린다. 모시는 쐐기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줄기 부분이 실의 원료로 쓰이는 대표적인 인피섬유(靭皮纖維)이다. 모시라는 동일 작물은 동아시아 삼국에서 다음과 같은 공정의 차이를 보인다. 첫째, 한국의 한산모시와 중국의 4대 전통모시 제직지의 모시 품종은 백엽종(百葉種)으로, 일 년에 세 차례 수확한다. 일본의 전통모시 품종으로는 백엽종과 녹엽종(綠葉種)이 있으며, 니가타(新潟)현의 오지야치지미·에치고조후의 품종은 녹엽종이며, 일 년에 한 차례 수확에 그치고, 재배지는 후쿠시마(福島)현의 쇼와무라(昭和村)이다. 오키나와(沖縄)현의 모시 품종은 백엽종이며 연 5회까지 수확이 가능하다. 수확된 원료는 삼국에서 각각 ‘태모시’, ‘쭈마(苧麻, Zhuma)’, ‘아오소(靑苧, Aoso)’로 불린다. 한산모시는 연 3회 수확으로 수확량이 확보될 뿐 아니라, 태모시 품질이 불균일한 위험성이 희석되고 품질에 따라 적절한 원료를 선별하여 방적(紡績) 과정을 거쳐 섬세도가 상이한 직물의 제직이 가능하다. 둘째, 한산모시 제직 공정 가운데 가장 정교하게 발달한 것은 실을 만드는 방적(紡績) 공정이며, 동아시아 삼국 가운데 가장 세분하게 특화된 공정이다. 가늘게 째는 공정과 올을 삼아 잇는 공정의 철저한 분리, 도구의 사용, 보다 섬세한 이음을 위한 단계별 노력의 집적으로 인피섬유의 결점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오랜 기간 축적되어 실과 직물의 표면을 매끈하게 제직하는 기술력과 미감이 탁월하다. 일본 오지야치지미·에치고조후 방적 공정의 가장 큰 특징은 모시 올에 꼬임을 가하는 연사(撚絲) 공정이다. 이 공정으로, 실의 강도가 높아지고 실염색 및 가스리(絣)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평직 바탕에 정교한 회화적 표현을 가능하게 만든 가장 핵심적인 공정이다. 특히 오지야치지미는 경, 위사의 연사 작업 후, 위사에 강한 꼬임을 추가하여 직물 표면에 주름이 생성되는 효과를 거두어, 문양표현과 표면 질감의 기술적 결합이 집적된 모시 직물로 볼 수 있다. 셋째, 날기와 매기 공정에서, 한산모시는 섬세하고 예민한 모시 올을 신속하게 다루어 작업 숙련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중국 전통모시 제직지의 경우, 굵은 모시 올의 대량 작업에 적합한 방식으로 변모되고 있다. 일본의 오지야치지미·에치고조후는 모시올에 한 가닥씩 풀을 먹이는 사전 작업이 가장 큰 특징으로, 이음이 없는 실의 특성을 지니게 되어 이후 공정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직조 공정에서 한산모시는 전통베틀이 개량베틀로 대체되었으며, 중국의 전통모시와 일본의 오지야치지미·에치고조후는 전통베틀로 제직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산모시실은 꼬임이 없는 섬세한 인피섬유 실로, 제직 난이도가 높아 제직자의 숙련도가 높다. 중국은 전통베틀로 광폭 제직이 가능하여, 삼국 가운데 가장 다양한 폭의 모시를 제직하고 있다. 일본 오지야치지미·에치고조후의 베틀은 원시 직기의 형태에 가까우면서 기능적으로는 모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바닥에 닿은 형태가 특징적이다. 다섯째, 세 지역의 전통 제직 기술이 각 국에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으나, 섬유채취에서 직조에 이르는 전 공정에 걸쳐 차세대 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산모시와 일본의 오지야치지미·에치고조후는 관(官)과 관련 조합 중심의 전승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한산모시의 무형문화재 기능은 지정된 전수교육학교의 교육 이수를 통해 전승이 시도되고 있다. 삼국은 전시관 운영과 축제 및 행사 개최, 산학 협력과 다양한 디자인 개발 등을 통해 홍보와 현대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비교 결과, 한산모시는 섬유채취에서 방적 공정까지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으나 직조 작업의 핵심 도구인 베틀이 개량베틀로 전환되면서 제직 밀도가 높아졌으며, 자연적인 미감이 감소하였다. 한산모시는 가장 단순한 조직인 평직의 무늬 없는 직물로, 소재의 반투과성으로 인하여 조직과 질감이 확연히 드러난다. 정교하게 분화된 방적 공정과 숙련된 직조 기술의 결합으로 섬세하면서도 반듯하고, 빛나면서도 반투명한 모시 소재 본연의 맑고 은은한 속성이 삼국 가운데 가장 잘 드러나고 있다. 한산모시의 제직 공정을 따르면서 한산모시의 특성을 살려 제직한 작업이 연구자의 [苧(저)는 말입니다] 작품군으로, 현장답사 및 체류를 통해 현재 한산에서 작업되는 제직 공정을 익혀, 전승에 기반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나아가, 평직을 기반으로 하는 가운데 밀도 배열과 간격을 달리하여 직조 디자인 작업을 실험하였다. 덧붙여, 전승이 단절된 교직물인 춘포(春布)를 제직하여 전통직물을 활용한 한산모시의 제직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제직 공정을 익히고 작업으로 재현해내는 것은 문화유산인 모시짜기를 받아들이는 전승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연구자는 더 나아가 현대를 살아가는 동시대인으로서 표현의 영역을 디자인, 섬유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시도 또한 넓은 의미의 전승으로 보고 있다. 전승 개념의 확장을 시도한 제직 작업이 [苧(저)와 함께] 작품군이다. 직조 소재로는 사용되지 않던 태모시에 ‘기억’, ‘관계’의 의미를 담아 모시 제직의 표현을 현대 섬유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원재료가 가지는 특성을 가감 없이 드러내면서, 그 안에 담겨 있는 의미까지 제직하여 현대인과 관람자에게 관심의 전승을 일으키는 것으로 새로운 개념의 모시 작품제작의 의의를 두고 있다. 작품 구성의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삼국의 모시를 현장조사 한 ‘기억의 방’을 설치하고 현장조사 사진과 영상을 아카이빙화 하여 전시하였다. 개인과 문화의 집적으로써 관람객에게 모시와 연결된 경험을 공유하고자 의도하였다. 연구자는 한산모시의 특성과 본질을 파악하고 작업으로 재현하여, 동시대 관람객과 함께 하는 시도를 현장조사와 작품제작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행해가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