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고독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마주하다」에 관한 연구

Title
고독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마주하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Encounter」based on Solitude
Authors
이혜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오늘날 현대사회는 범람하는 정보와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성 상실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켰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빠르게 흘러가는 사회에 자신을 맞추며 살아가게 되면서 점차로 주체성을 잃어가게 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고독을 주제로 무용작품 「마주하다」를 창작하여 사회 안에서 느끼는 혼란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 자발적인 고독을 경험하고 내면의 힘을 키워 성장하면서 진정한 자신의 삶과 마주하며 주체의식을 확립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고독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마주하다」(2021)를 창작하고 이를 분석한 것으로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움직임과 이동경로, 오브제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이 이루어졌다. 작품에서 각 장면마다 무대공간을 나누어 설정하고 무용수의 움직임과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오브제들이 함께 어우러져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작품은 총 세 장으로 구성하여 고독의 향유를 통해 변화되는 인간의 심리상태와 주체적인 인간으로서 성장해가는 모습을 표현하면서 작품을 전개하였다. 작품의 1장에서는 구조화된 현대사회 속에서 인간이 겪게 되는 정체성의 상실과 혼란의 심리상태를 나타내고자 무대의 뒤쪽을 A공간으로 설정하였으며, 범람하는 정보와 현 사회의 모습을 상징하는 오브제인 신문지에 의해 하수로 이동하는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을 통해 사회에 얽매여 획일화된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이미지화하여 표현하였다. 이때 반복적인 기계음과 심장박동 소리로 이루어진 음악을 통해 반복되는 일상의 무거운 분위기를 더하고자 하였으며, 보라색 조명을 사용하여 사회 속에서 정체성을 상실한 인간의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 2장에서는 인간이 자신을 탐색하고 내면을 찾아가는 과정을 전개하기 위해 빠른 박자로 점차 고조되는 비트의 변형을 가진 음악을 사용하여 억압감과 불안함을 느끼던 사회의 공간인 A공간을 벗어나 B공간의 상수 앞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연출하였다. 무용수의 팔과 다리를 뻗어내는 확장된 움직임은 사회적 요소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였으며 손과 발을 사용해 두드리는 움직임 특질을 사용하여 자신을 탐색하고 정체성을 회복해 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기인식을 향한 강한 욕구를 가진 개인으로서 무용수가 사회적 요소를 의미하는 재킷을 벗는 움직임과 의자를 끌어내는 움직임을 통해 사회의 규범과 틀에서 벗어나 고독을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3장에서는 무대 중앙인 C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의자를 마주하게 되는 장면을 연출하여 인간이 고독의 시간을 맞이하게 됨을 나타내었다. 무용수는 의자를 내리치는 움직임과 소리를 통해 자신을 깨우치는 자각들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반복적으로 내딛는 발 동작을 통해 자신의 내면에 가까이 다가가 더 깊은 고독을 사유하기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무용수의 높아진 시선 처리와 의자를 등에 지고 하수 앞으로 진출하는 움직임을 구사하여 고독의 시간을 가지며 내면의 인식을 꾀하므로써 주체적인 인간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3장은 음역대가 높은 타음으로 이루어진 음악을 통해 고독을 향유하는 깊고 오묘한 분위기를 부각시키고 푸른색 조명을 사용하여 내면으로 향하는 집중력과 안정감을 연출하였다. 또한 고독을 사유하는 존재로서 무용수가 의자 위로 올라가는 이미지를 통해 자발적 고독의 과정을 거쳐 정체성을 확고히 하여 주체적인 태도로 나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창작작품 「마주하다」를 통해 구조화된 현대사회로부터 탈피하여 자발적 고독의 경험을 통해 주체성을 확립하여 자기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하면서 스스로 사유하는 고독의 시간을 거쳐 정체성을 회복하여 주체적인 시각을 갖고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은 주체적인 인간으로서 진정한 자기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와 깨달음을 얻으며 성장해나갈 수 있음을 작품을 통해 강조하고자 하였다.;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overflowing in today’s modern society has led to a social problem of loss of humanity. As people adjust themselves to the fast-paced society, they gradually lose their identity. Paying attention to this phenomenon, the artist created a dance work 「Encounter」with the thene of solitude. This rai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ense of subjectivity in the face of one’s true life while experiencing voluntary solitude and nurturing inner strength to escape from the confusion felt in society.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ance work 「Encounter」(2021) with the theme of solitude. The study described the themes and contents, space use and composition by scene, movements and movement paths of the dancer, and the meaning of objects. In the work, the stage space was divided for each scene, and the movements of the dancer and the objects with symbolic meaning were incorporated together to effectively convey the theme. Consisting of three chapters, the work express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human beings that changed through the enjoyment of solitude and their growth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 In Chapter 1 of the work, the back of the stage was set as Space A to represent the psychological state of loss of identity and confusion that humans experience in a structured modern society. The dancer’s paths and movements along with newspapers, an object that symbolizes the overflowing information and current state of society, visualized the human figure living a standardized life entangled i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music composed of repetitive mechanical sounds and heartbeats was added to the heavy atmosphere of repetitive daily life, and violet lighting effectively showed the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of human beings who have lost their identity in society. In Chapter 2, in order to develop the process of self-exploration and inner self-discovery, the dancer escaped from Space A, a social space where she feels oppressed and anxious, and moved into Space B with the music of a beat that gradually raised with a fast tempo. The extended movements of the dancer's arms and legs expressed a strong will to go beyond the social elements, an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apping with hands and feet indicated self-reflection and identity recovery. As an individual with a strong desire for self-awareness, the movement of the dancer taking off the jacket and pulling out the chair, which signified the social elements, expressed a human being who voluntarily chooses solitude from the norms and frameworks of society. In Chapter 3, the scene where the dancer faced a chair while moving to the center of the stage, Space C, indicated that a human faced a time of solitude. The dancer symbolically expressed the awakening awareness through the movements and sound of hitting the chair, and showed a proactive attitude to get closer to her inner self to contemplate deeper solitude by using the repetitive steps of the foot and. In addition, the dancer's elevated gaze and forwarding-movements with the chair on her back symbolized the transformation into a subjective human being by attempting inner recognition through solitude. This chapter emphasized the deep and mysterious atmosphere of enjoying solitude by using music composed of high-pitched notes and blue lighting to create concentration and stability toward the inside. Also, the image of the dancer climbing up on the chair expressed a figure who went through a process of voluntary solitude to solidify her identity and move forward with an independent attitude. This study on the dance work 「Encounter」 delivered a hopeful message that one can experience voluntary solitude away from the structured modern society and positively change one's life by establishing subjectivity. Furthermore, it highlighted the recovery of identity through a time of self-thinking solitude and finding a true self with an independent perspective. In doing so, human beings can grow up with the will and realization to live their true life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