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무용창작작품 「무(無)」 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창작작품 「무(無)」 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ance work 「Nothing」
Authors
어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and researches all processes of dance work called 「Nothing」, which was performed at Hall 1 of Ewha Womans University on June 10, 2021, by this researcher. The motif of 「Nothing is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s 『Faust (1773-1831)』. This dance work expresses the basic human good and evil, and the process of repentance and the desire of God’s salvation through Korean dance. This study puts a meaning on recording and archiving the performed work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dance which disappears at the moment the performance is over. In additio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Practice Based Research method (PBR). PBR is a method for an artist to study the entire procedure of dance including constructing the piece, creating choreography, practicing and performing their work. In accordance with this method, the introduction of this paper describes the purpose, necessity, research metho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choreography’s intention and creation processes of the dance work 「Nothing」 are analyzed in detail in the main body of this paper. The main body concentrates on the meaning of the theme, movement, and artistic components of each chapter of 「Nothing and those are studied in depth. The dance work 「Nothing is a choreographed piece that is inspired by Goethe's 『Faust』. In 『Faust』, Goethe emphasizes the effort and the aspects of Faust (human) who falls into the temptation of Mephisto (the devil) and has sinned, and worked tirelessly toward the salvation. This choreographer artistically expresses and uses the essential good and evil of humans that Geothe wants to convey through 『Faust』 as the motif of 「Nothing」. The 「Nothing」 is composed of a total of 3 chapters. Objects, costumes, music, and lighting are used differently based on the contents and choreography of each chapter to express the process of human wandering and salvation. Chapter 1, introduces the story of the devil's temptation when a human is disappointed in his abilities, and how a human makes a deal with the devil to achieve his goals. This choreographer delivers those contents to the audience through the dancer's emotional expression, movement, the low electronic music, a single-pin lighting, the red jeogori that demonstrates both human desire and devil’s temptation, and the invisible chair that represents the goodwill of humans. Chapter 2, shows the content that a human practices desires, falls into sin and is trapped in pleasure seeking through the power of the devil. This choreographer highlights the intense emotions and movements of the dancers by using red general lighting and fast rhythmic drum sounds to express the maddening moments of the human. Moreover, the dancers wear the red jeogori to visually represent the human figure who has acquired the ability of the devil in Chapter 2. Chapter 3, expresses how the human tries to get out from the devil. Even though humans wander in the temptation of evil, he eventually recognizes the right path, regrets his sins, and seeks salvation from God. The choreographer uses the violin and blue general lighting to create a spiritual atmosphere from God’s grace. Also, in order to show the purification process of the human soul, the dancer passes through the four road lights one by one, and takes off and throws the red jeogori at the last road light. As the result of studying all the conception work, choreography, practice, performance, the choreographer suggests three major points. Firstly, the dance work 「Nothing」 that has inspired by the story of Goethe's 『Faust』 clearly reveals the intention and the theme of the choreography through implementing different movements ․ objects ․ music ․ lighting in each chapter. Secondly, this choreographer has built her own world of dance performance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artistic development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n existing Western literary piece into a dance work by completing all steps such as selection of a theme, composition of artistic expression elements, and composition of movement. Lastly, the recording and analyzing of the creative process becom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erself as a choreographer and dancer, it has been practically helpful in designing a follow-up work.;본 논문은 2021년 6월 10일 이화여자대학교 홀 1에서 발표한 본 연구자의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졸업 무용창작작품 「무(無)」의 구상, 안무, 연습 및 공연까지의 과정을 분석하고 연구한 것이다.「무(無)」는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의 희곡『파우스트 (Faust, 1773-1831)』의 내용을 모티브로 하여 안무한 창작 작품으로, 인간의 본질적인 선과 악의 이원적 대립과 신의 구원을 받기 위한 인간의 참회의 과정을 무용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공연이 종료됨에 따라 사라져버리는 춤의 순간성과 일회성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공연된 작품을 텍스트화 및 아카이빙하고자 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실기기반연구법(Pratice Based Research, 이하 PBR)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PBR은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을 구상단계부터 창작, 공연까지의 전 과정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연구 결과물에 실기적인 요소가 결합된 학술연구의 한 형식이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본 논문은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 방법과 제한점을 밝힌다. 이어서 본론에서는 무용창작작품 「무(無)」의 안무의도와 창작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본론에서는「무(無)」의 각 장의 주제와 움직임 및 예술적 구성요소의 의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무용창작작품「무(無)」의 모티브인 희곡『파우스트』에서 괴테는 파우스트(인간)가 메피스토(악마)의 유혹에 넘어가 죄를 지었지만 구원을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며 특히, 이 과정 속 인간의 자기 성찰과 자정 노력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작가가 파우스트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인간의 방황과 반성의 과정 속 다양한 감정과 태도에 안무적 영감을 받아 작품「무(無)」를 통해 예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무용창작작품「무(無)」는 총 3장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장의 내용과 안무 의도에 따라 오브제, 의상, 음악, 조명을 다르게 활용하여 인간의 방황과 구원의 과정을 표현하였다. 1장, <인간의 욕망과 악마의 유혹>에서는 인간이 자신의 능력으로 욕망을 실현할 수 없다는 사실에 절망할 때 악마가 다가와 유혹하는 내용이다. 인간은 악마와의 계약에 대해 깊은 갈등을 하지만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악마와 거래한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내용을 무용수의 감정표현 및 움직임과 함께 낮고 어두운 전자음악, 한 개의 핀 조명, 인간의 욕망과 악마의 유혹을 의미하는 적색 저고리, 인간의 선한의지를 의미하는 오브제를 통해 구현하였다. 2장, <인간의 욕망 실현>에서는 인간이 악마의 능력을 통해 욕망을 실현하면서 점차 탐욕적인 모습으로 향락에 빠지는 내용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인간의 광기어린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적색 전체 조명과 빠른 리듬의 드럼 소리를 활용하여 무용수의 격렬한 감정 및 움직임을 부각시켰다. 또한 2장에서는 적색 저고리를 입음으로써 악의 능력을 얻은 인간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였다. 3장, <인간의 반성과 구원>에서는 인간이 비록 충동과 악의 유혹 속에서 방황하였더라도 올바른 길을 자각하고 자신의 죄에 후회하며 신의 구원을 구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는 신의 은총에서 비롯되는 영적인 분위기를 바이올린 선율과 파란색 전체 조명으로 연출하였다. 또한 무용수가 4개의 길 조명을 하나씩 지나가고 마지막 길 조명 끝에서 적색 저고리를 벗어 던지는 구성을 통해 신의 구원에 의한 인간의 영혼의 정화 과정을 나타내었다. 무용창작작품「무(無)」의 작품 구상에서부터 안무, 연습, 공연까지의 전 과정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작품은 괴테의 희곡 『파우스트』의 내용을 모티브로 창작된 작품으로써 각 장 마다 움직임, 오브제, 음악, 조명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안무 의도 및 주제를 명확하게 드러내었다. 둘째, 본 연구자는 기존의 서양 문학작품을 무용작품으로 창작하는 일련의 과정 즉, 주제선정, 예술적 표현요소 구성, 움직임 구성 등의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예술적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를 가졌다. 셋째, 창작 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함으로써 안무자 및 무용수로서 스스로를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작품을 구상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