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5 Download: 0

소스타인 베블런의 과시적 소비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시선의 박물관에서」에 관한 연구

Title
소스타인 베블런의 과시적 소비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시선의 박물관에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At the Museum of Sight」 based on Conspicuous Consumption of Thorstein Veblen
Authors
김수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Since ancient times, human society has been divided into the ruling class, which can make a living without labor, and the ruled class, which must work to maintain a livelihood. Naturally, labor has been seen as disgraceful, and people with a higher social status signal their liberation from labor by displaying more material and intellectual items. The subordinate class admires the upper class and try to imitate what they show off. In the past, showing-off mainly occurs within a small local community, but in modern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various social media, and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dividual desires can be displayed to people around the world and immediately visible to other people. This leads to a new social problem in which modern people are buried in blind materialistic values and feel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and social alienation.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negative aspects of desires and the need for true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out being swept away by such a social atmosphere and created a new choreographed work 「At the Museum of Sight」, based 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Thorstein Veblen(1857-1929). This study analyzed the dance work 「At the Museum of Sight」(2021) based 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theory by Thorstein Veblen of Leisure class. It aimed to convey the theme and content of the work, use of space and scene composition, the path and movement of the dancer, and the meaning of the objets. Using the symbolic stage space and objets, the researcher intended to show a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that finds human beings as thinking beings who make efforts to restrain the desires of human nature. The work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chapters. In Chapter 1, an orange balloon which symbolizes the infinite human desire, floated in the air in Space A, the space behind the right stage. At this time, Space A was used as a symbolic space representing human desires. Also, the dancer’s desperate efforts to grab the orange balloon by wearing a jacket expresses his show-off material. The characteristic of movement such as fumbling were directed to contrast with the rhythmical jazz music. Chapter 2 expressed humans’ internal confusion that doubts the value of pursuing only desires while experiencing more desires at the same time as obtaining objets of desires. For this, the diagonal space connecting Space A and Space C in front of the left stage which means moderation was set as Space B to visually indicate the internal confusion through the straight and curved movement paths in Space B. The dancer emphasized the confusion of values by holding the jacket in his hand and performing the mov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ovoking guitar music. Additionally, turning on the portable light and the diagonal movement path starting in front of the right stage symbolized the changed values to moderation from the blind pursuits of desires. Lastly, Chapter 3 depicted a person who realized that having desires is human nature and tried to seek the desires wisely and moderately instead of suppressing them unconditionally. The square movement path extended throughout the stage with the swaying piano music represented human beings who try to live a positive life by expanding their values. The work was finished in Space C playing vinyl with white balloons which mean the latent desires of human beings that can be swelled at any time, expressing a human figure that wants to live with constant moderation of desires. In the dance work 「At the Museum of Sight」, the researcher attempt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 wise attitude toward life that is not buried in materialistic values, has self-control in one’s desires, and does not pursue excessive satisfaction of individual needs. The work intended to convey that humans, as spiritual beings, can satisfy true happiness by establishing clear personal values and reinforcing internal factors such as contemplation rather than material external factors.;예로부터 인간사회는 사회가 발전하며 계급이 분화되면서 노동을 하지 않아도 생계유지가 가능한 지배계급과 생계유지를 위해 노동을 해야만 하는 피지배계급으로 구분되었다. 자연스럽게 노동은 하찮은 것으로 인식되어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노동에서 해방될 수 있는 지위를 증명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물질적, 지적 과시를 행하였고, 피지배계급은 상층계급을 동경하며 그들이 과시하는 것을 모방하고자 하였다. 과거에는 거주공간을 공유하는 작은 공동체 내에서 과시가 주로 이루어졌다면, 현대사회에서는 교통‧통신의 발달에 따른 인터넷과 다양한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발달로 개인의 과시욕망을 전 세계인들에게 전시함과 동시에 타인의 과시재들을 즉시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현대인들이 맹목적인 물질만능주의 가치관에 매몰되고 상대적 박탈감과 사회적인 소외감을 느끼는 현상으로 이어지며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Veblen, 1857-1929)의 과시적 소비(conspicuous consumption)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시선의 박물관에서」를 통해 욕망의 부정적인 측면을 인지하여 사회적인 분위기에 휩쓸려 무한한 욕망을 추구하는 대신 내면의 가치를 이끌어 참된 행복과 만족을 영위하는 삶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소스타인 베블런의 유한계급론(Theory of leisure class)에 의한 과시적 소비개념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시선의 박물관에서」(2021)를 창작하고 분석한 것이다.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의 의미를 중심으로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상징적 의미가 담긴 무대공간 및 오브제의 사용을 통해 인간의 본성인 욕망과 이를 절제하고자 노력하는 생각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모습을 찾는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가져야 함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작품은 총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작품의 1장에서는 인간이 욕망하는 대상을 의미하는 주황색 풍선을 무대 하수 뒤 공간인 A공간의 공중에 띄워 인간의 무한한 욕망을 나타내었다. 이때 A공간은 인간의 욕망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무용수가 자신의 과시재를 의미하는 재킷을 입고 더듬기 등의 움직임의 특질을 사용하여 주황색 풍선을 가지기 위해 처절하게 노력하는 모습을 경쾌한 재즈음악과 대비되어 보여지도록 연출하였다. 2장에서는 욕망의 대상을 얻음과 동시에 더 많은 욕망들이 나타나는 것을 경험하면서 욕망만을 좇는 가치관을 의심하며 내적인 혼란을 경험하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A공간과 절제를 의미하는 무대의 상수 앞 C공간을 잇는 사선의 공간을 B공간으로 설정하여 B공간에서의 직선과 곡선의 이동경로를 통해 내면의 혼란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무용수의 움직임은 급박한 분위기의 기타음악에 맞춰 과시재를 의미하는 재킷을 손에 쥐고 동작을 수행하여 가치관의 혼란을 더욱 강조해서 표현하고자 했으며, 휴대용 전등의 점등과 무대 하수 앞 공간에서 시작되는 이동경로를 통해 맹목적으로 욕망을 추구하는 대신 절제를 추구하는 것으로 가치관이 전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3장에서는 욕망이 인간의 본성임을 깨닫고 무조건적으로 억누르는 대신 절제와 욕망을 지혜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려냈다. 일렁이는 느낌의 피아노 음악과 함께 무대 전체로 확장되는 사각형의 이동경로는 가치관의 확장으로 긍정적인 삶을 영위하려고 노력하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무대 하수 앞에 있는 주황색 풍선과 재킷을 끌어안고 C공간에 놓여있는 언제든지 불어날 수 있는 인간의 잠재된 욕망을 의미하는 흰색 풍선이 붙은 비닐 위에서 작품을 마무리하여 끊임없이 욕망을 절제하며 살아가려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창작작품 「시선의 박물관에서」를 통해 물질만능주의적 가치관에 매몰되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며 개인의 욕구충족을 과하게 추구하지 않는 지혜로운 삶의 자세의 중요성을 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은 정신적인 존재로서 개인의 명확한 가치관 확립과 더불어 물질적인 외적 요소보다 사유를 비롯한 내적인 요소로부터 만족감을 충족하며 참된 행복을 향유할 수 있음을 본 무용창작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