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존 브래드쇼의 『수치심의 치유』 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Lost to...」 에 관한 연구

Title
존 브래드쇼의 『수치심의 치유』 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Lost to...」 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Lost to...」 based on John Bradshaw’s 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Authors
이서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현대사회는 자본주의 체제의 발전과 더불어 급속한 경제 성장과 첨단 기술의 발달을 이루며 현대인들에게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더 높은 이익 창출을 위해 개개인의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현대인들은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으려는 심리적 압박감을 받으며 완벽한 성과와 결과만을 추구하려는 병리적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 즉, 사회가 요구하는 기준에 맞춰 무리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존감을 잃고 좌절하며 존재에 대해 수치심을 느낀다.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서 연구한 존 브래드쇼(John Bradshaw, 1933-2016)는 수치심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건강한 수치심은 인간의 유한함 속에서 성장을 도모하여 성숙한 삶을 이끈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해로운 수치심은 자신의 존재에 수치심을 느껴 자아를 부정함과 동시에 인간 내면의 분리를 가져와 정신적인 고통의 원인과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가지고 상실했던 참 자아를 되찾아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래드쇼의 『수치심의 치유』(1988)를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Lost to...」(2020)를 창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주제 및 내용, 공간구성과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등을 통하여 안무를 진행하였다. 특히 오브제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수치심으로 고통을 겪는 현대인이 이를 극복하고 자존감을 회복하여 자유롭고 적극적인 삶으로의 변화를 얻게됨을 나타내었다. 작품은 총 3장으로 외면-고립-수용을 주제로 하여 전개하였다. 1장은 주체가 수치심을 억압하는 모습과 그로 인해 내면화되는 수치심을 나타내었다. 무대 하수 쪽을 외면의 공간으로 설정하여 암전 상태에서 하수 뒤쪽 공간에 위치한 무용수가 들고 있는 LED 공의 빛만으로 수치심을 상징하였고, 노란색 탑 조명에서 물결무늬 고보조명으로 확장되어지는 공간의 범위를 통해 점차 증대되는 수치심의 심적 상태를 단계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무용수가 오브제인 LED 공을 멀리 밀어내는 팔의 움직임, 외면하는 듯한 불규칙한 시선과 다리의 떨림을 반복함으로써 낮은 자존감에 의해 커지는 수치심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이를 무시하듯 외면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2장에서는 해로운 수치심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된 현대인의 고통과 공허를 표현하였다. 상수 위쪽에 푸른 탑조명으로 고립의 공간을 설정하였고 수치심을 상징하는 LED 공이 무대 안에 산발적으로 굴러 나오도록 연출하여 수치심이 무의식 중에 스며들어 증폭되고 무용수가 고립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동기가 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무용수가 거짓 자아를 상징하는 검정색 자켓을 벗으려 몸부림치는 움직임, 낮은 레벨로 몸을 수축하는 움직임을 통해 방어와 억압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주체의 왜곡된 정서를 표현하였다. 후반부에는 이전과는 달리 무용수가 자신에게 다가오는 LED 공을 손으로 잡는 움직임을 통해 부끄럽고 수치스럽게 여겼던 자신의 마음을 극복하려는 절박한 심정과 의지를 나타내었고 자켓 안으로 LED 공을 비추는 움직임을 통해 상실되었던 참 자아를 되찾으려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3장은 수치심을 수용하면서 해로운 수치심이 감소되고 자신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통합을 이루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희망적인 분위기의 노란색 조명을 무대 전체로 확장하여 수용의 공간을 설정하였다. 건강한 수치심으로 회복되어 가는 주체를 표현하기 위해 무용수가 다가오는 LED 공을 잡아 올려 이를 응시한 후 바로 굴려 보내는 움직임을 통해 수치심이 사라지고 있음을 나타내었고, 거짓자아를 상징하는 자켓을 벗어던짐으로써 상실되었던 참 자아를 발견하게 되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후반부에는 수용의 공간을 빠르게 종횡무진하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무의식 중에 스며들었던 수치심을 적극적으로 대면하며 자유로워지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후 무용수가 무대 중앙에서 LED 공을 들어 올리며 관객을 향해 시선을 둠으로써 진정한 나를 찾고 타인과의 유대감을 느끼며 건강한 관계를 갖고자 하는 주체의 희망적인 미래를 암시하며 작품을 마무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무용창작작품 「Lost to...」(2020)을 통해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내재화된 해로운 수치심은 나를 비롯해 타인과의 관계 단절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나며 거짓 자기로 살아가는 정신적 고통의식을 갖게 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오히려 이를 인지하고 개선의 동기로 삼을 때 상실된 참 자아와 사회적 연대감을 되찾아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됨을 전하고자 하였다.;Modern society provides richness and convenience to modern people through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as the capitalist system has been developed. But behind the scenes, it encouraged severe individual competition to create higher profits. In this social atmosphere, modern people are under psychological pressure not to be eliminated from competition and fall into a pathological situation to pursue perfect results. In other words, if you set unreasonable goals according to the standards required by society and fail to reach them, you lose your self-esteem, become frustrated, and feel ashamed of your existence. Regarding this phenomenon, John Bradshaw (1933-2016) defines 'toxic shame' as feeling shame about one's existence beyond the emotional realm, unlike healthy shame, which is one of several emotions. It brings about the inner separation of human beings and causes psychological suffering and social problems. He argues that people need to have the courage to overcome this, and through the recovery of shame, they can regain the lost self-esteem and be free from suffering. This study created and analyzed the creative dance work, 「Lost to...」(2020) based on Bradshaw's Healing the Shame(1988). The author composed the choreography to reveal the content that she wants to convey through the work, focusing on the subject and content, the spatial composition, the movement path and movement of the dancer, and the use and meaning of the object. In particular, by giving the object a symbolic meaning, the author presented that modern people who suffer from shame overcome this and regain their self-esteem to achieve a free and active life. This work was developed into three chapters under the theme of Turn away - Isolation - Acceptance. Chapter 1 shows how the subject suppresses the shame expressed from inside and the shame internalized as a result. The left side of the stage was set as the turn away space to symbolize shame only with the light of the LED ball held by the dancer positioned in the backspace on the left in the darkened state and showed the mental state of the shame gradually increasing through the scope of the space extending from the yellow top lighting to the wave-patterned GOBO lighting. Also, by repeating the movements of the arms that push the LED ball away from the dancer, the irregular gaze and trembling of the legs as if turning away, the dancer expresses the figure of a modern people who cannot accept the shame that grows due to low self-esteem and ignores it. Chapter 2 expresses the pain and emptiness of modern people socially isolated due to toxic shame. The isolation space is set with blue top lighting in the upper right corner, and the LED ball symbolizing shame is produced to roll sporadically on the stage, indicating that the shame is subconsciously permeated and amplified and becomes the motivation for the dancer to move to the isolated space. The dancer struggles to take off the black jacket that symbolizes the false self, and the movement of contracting the body to a low level expresses the distorted emotions of the subject suffering from defense and oppression. In the second half, unlike before, the dancer expressed a desperate feeling and will to overcome her feeling of shame through the movement of holding the LED ball approaching her, and regain the true self that was lost through the movement of lighting the LED ball into the jacket. Chapter 3 shows how toxic shame is reduced while accepting shame, and integration is achieved by accepting herself as it is. A space of acceptance was established by extending the hopeful yellow lighting to the entire stage. To express the subject recovering with healthy shame, the dancer catches the approaching LED ball and rolls it right away after staring to indicate that the shame is disappearing. She wanted to reveal that she had found her lost true self. In the second half, the dancer shows the will to be free by actively challenging the shame that has permeated the unconscious through the dynamic movement that quickly traverses the space of acceptance. Afterward, the dancer lifted the LED ball from the center of the stage and looked toward the audience to finish the work, suggesting a hopeful future for the dancer to find the true self, feel a bond with others, and have a healthy relationship. As described above in the creative dance work, 「Lost to...」(2020), the toxic shame inherent in modern people living in a fiercely competitive society is the psychological pain of living as a false self for fear of sever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ncluding myself. So, the author intended to claim that modern people can regain their lost true self and sense of social solidarity to lead a healthy life when they recognize the toxic shame use it as a motive for impro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