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조선 후기 여성 예복에 표현된 금장식 문양의 형성 배경과 전개

Title
조선 후기 여성 예복에 표현된 금장식 문양의 형성 배경과 전개
Other Titles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Gold Decoration Patterns Expressed in the Women's Formal Atti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강서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원삼(圓衫)과 당의(唐衣)의 통수스란(通袖膝欄)과 수복문(壽福紋)이 직금(織金) 혹은 부금(付金)으로 표현된 배경과 전개된 양상을 밝힌 것이다. 통수스란 문양은 명대 남녀 복식에 표현된 문양으로서, 의복이나 직물로 조선 전기에 유입되었으나, 조선 복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스란은 조선 전기 치마에 수용되기는 하였지만, 용(龍)이나 봉황(鳳凰) 등을 주제로 했던 명나라 양식과는 달리, 우리 유물과 기록에는 동자(童子) 문양만이 나타나고 있다. 조선 전기에는 명으로부터 통수스란이 유입되었더라도 기호에 따라 문양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였다. 명에서 유입된 직물과 문양은 조선 전기보다는 임진왜란 이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조정에서는 임진왜란 직후 국내에서 직물의 생산이 어려워지자 비단의 수입을 허용하였으며, 이에 전쟁을 빌미로 국내에 주둔한 명나라 군사들과 상인들이 조성한 시장을 통해 명나라 직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유입된 직물에는 이전에 선호했던 동자문 외에도 용이나 봉황을 주제로 한 스란 직물과 더불어 명 말기에 크게 인기를 얻은 후 청대에도 계속 사용되었던 수(壽), 만(萬 ․ 卍), 희(喜 ․ 囍), 복(福) 등 문자문(文字紋) 직물이 있었다. 우리 복식 유물 중에는 이러한 문양 양식이 반영된 치마, 흉배, 원삼 등이 있어, 중국에서 수입된 직물이 우리 복식 문화에 일부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17세기부터 여성들 사이에서 귀천에 관계없이 원삼과 당의의 착용이 확대됨에 따라, 상류층에서는 자연히 신분을 구별할 수 있는 의장(意匠)이 요구되었다. 마침 인조 연간(1623~1649)부터는 임진왜란으로 타격을 입었던 왕실 직조 기술이 복구되어 상의원(尙衣院)에서 왕실에서 사용할 직금 직물을 생산해 내고 있었다. 이에 왕실에서는 명 · 청으로부터 수입된 다양한 문양 직물의 양식을 일부 수용하되, 원삼과 당의의 특징에 맞추어 통수스란과 수복문을 조형하고 직금으로 직조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17세기 말부터 18세기의 왕족들이 착용하는 원삼과 당의, 저고리, 치마에는 통수스란과 수복문을 직금이나 부금으로 표현하는 금장식의 형식적인 틀이 갖춰졌다. 이후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이와 같은 금장식 예복을 왕족들이 가례(嘉禮), 책례(冊禮), 진연(進宴), 친잠례(親蠶禮) 등의 대례와 돌이나 명절 등의 일상의례에 착용하는 것이 왕실의 복식 풍속으로 정착되었다. 우리 예복의 금장식 문양은 명 ․ 청대 복식의 통수스란과 문자문의 형식에 영향을 받았지만 이를 그대로 모방하지만은 않았다. 형식적으로는 명대에 통수스란과 함께 장식하는 운견(雲肩)이 우리 유물에 전혀 보이지 않고, 원삼의 경우 소매의 배래 부분이나 뒷길 등허리 부분에 란(欄)을 더 추가하기도 하였다. 문양의 양식도 17세기 이후로 유입된 명 ․ 청의 도안을 참고로 하면서도, 구봉(九鳳)이나 수복(壽福)과 같이 당대에 유행한 조선 특유의 시대적인 관념을 반영하는가 하면, 흉배나 활옷과 같은 다른 예복의 의장과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조선 후기 여성 예복의 금장식 문양은 주제에 따라 크게 용문(龍紋) ․ 봉황문(鳳凰紋) 및 수복화문(壽福花紋)으로 나눌 수 있다. 용문과 봉황문은 각각 용과 봉황을 주제로 하며, 주변은 구름이나 산(山), 파도, 꽃 등의 자연물로 구성되었다. 수복화문은 수복자와 보문(寶紋), 식물문(植物紋), 과문(果紋)을 조합하여 만든 문양이다. 수복화문은 수복자의 서체(書體)와 보조 문양의 조합 및 배치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이 있다. 전서체(篆書體)의 수복자를 사용하는 수복화문은 주로 원삼과 치마에 사용되었고, 보조 문양의 조형성과 구성에 따라 네 가지 유형의 도안이 있다. 이 가운데 일부 도안은 기록의 ‘전자(篆字)’, ‘수천만세(壽千萬歲)’ 등의 명칭과 부합하는 것을 확인했다. 해서체(該署體)의 수복화문은 주로 당의와 치마에 사용되었으며, 보조 문양의 구성과 조형에 따라 총 네 가지 유형의 도안으로 나뉜다. 이러한 도안을 통수스란에 직금하고 바탕문양에도 쓰면 직금 통수스란 문양이, 도안의 수복자에만 금사를 넣으면 직금 수복문이 되며, 이러한 표면적 효과를 모방하여 금박을 찍으면 부금 통수스란과 부금 수복문이 된다. 금장식 문양은 동일한 형식과 양식의 문양이라도 직금과 부금의 기법으로 나뉘어 표현되었다. 직금 예복은 직조 단계에서부터 바탕직 문양과 금장식 문양을 설계한 후 금장식 부분에만 금사를 삽입하여 문양을 표현하며, 부금 예복은 예복이 완성된 후 접착제를 바른 문양판을 찍은 다음 금박을 입혀 문양을 표현한다. 직금 예복은 바탕문양과 직금문양을 함께 설계하여 직성(織成)되는 만큼 완성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예복을 완성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며, 문양의 표현이 고정적이기 때문에 재단 시 직금 문양이 손실되는 부분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부금은 금박 견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제작이 비교적 용이하며 예복의 형태에 따라 문양판을 조절함으로써 문양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왕실에서는 이와 같은 각 기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의례의 경중과 상황에 따라 직금과 부금 예복을 만들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형식의 문양도 직금과 부금의 기법에 따라 표현할 수 있었다는 점 또한 명 ․ 청과는 다른 우리 예복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간 국내외 기록과 유물 자료를 종합하여 조선 후기 여성 예복에 금장식 문양이 표현된 배경과 과정을 밝히고, 금장식 문양의 양식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선 후기 여성 예복에 표현된 금장식 문양의 조형에는 명 ․ 청 복식 문양의 영향이 있었지만, 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고유의 특징을 지닌 다양한 양식의 문양으로 발전시켜 온 것을 조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 연구에서 정리된 많은 유형의 금장식 문양 도안들이 향후 우리 예복의 고증과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This study reveals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ongsu-seuran(通袖膝欄) and Subokmun(壽福紋) expressed in Jik-geum(織金, silk with supplementary with gold weft) or Bu-geum(付金, gold imprint) in the women’s formal atti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ongsu-seuran was a pattern expressed in men's and women's attire in the Ming Dynasty. It was introduced into the early Joseon Dynasty as clothing and textiles,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seon costumes. Although Seuran(膝欄) was accep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omen’s skirt, unlike the Ming style, which had the theme of dragons, phoenixes, and Bomun(寶紋), only the Dongja(童子) pattern appear in our relics and records. Therefo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thought that although Tongsu-seuran came from the Ming Dynasty, patterns were selectively accepted according to preferences. Textiles and patterns coming from the Ming seem to have had more influence after the Imjin(壬辰) War tha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fter the Imjin War, the government allowed the import of silk after the domestic supply of textiles became difficult. As a result, Ming textiles continued to flow in through markets established by Ming soldiers, which were stationed in Joseon under the pretext of war, and merchants. Seuran textiles introduced during this period include textiles with dragon and phoenix motifs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favored textiles with Dongja patterns. And also includes Chinese character pattern textiles, which gained great popularity at the end of the Ming period and continuing to be used in the Qing dynasty, like Su(壽), Man(萬 ․ 卍), Hui(喜 囍), and Bok(福). Among the relics of our costumes, there are skirts, breastplates(胸背), and Wonsam(圓衫) that reflect these patterns, suggesting that textiles imported from China have had some influence on our clothing culture. On the other hand, from the 17th century as the wearing of Wonsam and Dang-ui(唐衣) expanded among women regardless of noble origin, the upper class naturally required a design that could distinguish their status. At the same time, from the year of King Injo(1623-1649), the royal weaving technique, which had been damaged by the Imjin War, was restored and Sang-ui-won(尙衣院) was producing woven fabrics for the use of the royal family.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the royal family accepted some of the textiles with various patterns imported from Ming and Qing, but it was possible to shape and Jik-geum the Tongsu-seuran and Subokmun with weav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onsam and Dang-ui. Wonsam, Dang-ui, Jeo-go-ri, and skirt worn by royalty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were equipped with a formal frame of gold decorations expressing the Tongsu-seuran and Subokmun with Jik-geum or Bu-geum. Afterwards, relics and records from the 19th to the 20th century show that such gold-decorated attires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oyal custom worn by the royal family in rituals such as weddings(嘉禮), crowning(冊封), royal parties(進宴), and Chinjam(親蠶), as well as holidays and ceremonials for the first birthday of their children. The gold-decorated pattern of Joseon’s formal attire was influenced by the style of the Tongsu-seuran and Chinese character pattern in the costume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but did not just imitate it. Formally, Un-gyeon(雲肩), which is decorated with Tongsu-seuran, is not seen in Joseon’s relics at all. And in the case of Wonsam, additional Ran(欄) was added to the sleeve’s fish belly or to the waist backbone part. While referring to the design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at have been introduced since the 17th century, the pattern also reflects the popular ideas of the times such as Gubong(九鳳) and Subok(壽福) and has been mutually influenced by other formal dresses such as Hyungbae(胸背) or Hwal-ot(闊衣). The gold decoration patterns of women's atti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eme of the dragon pattern, phoenix pattern and Subok-hwamun(壽福花紋). The dragon and phoenix pattern each have the theme of a dragon and a phoenix, and the surrounding area is composed of natural objects such as clouds, mountains, waves, and flowers. Subok-hwamun is a pattern created by combining the Subok(壽福) letter, Bomun, Plant pattern, and Fruit pattern. Subok-hwamun has several type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and arrangement of the Subok font and auxiliary patterns. Subok-hwamun using the Jeonseo(篆書) font Subok letters was mainly used for Wonsam and skirt. And there are four types of designs depending on the formativeness and composition of the auxiliary patterns.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designs corresponded to the names of the records, such as 'Jeonja(篆字)' and 'Su-cheon-man-se(壽千萬歲)'. Subok-hwamun using the Hae-seoe(該署) font was mainly used for Dang-ui and skirt, and a total of four types of design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format of auxiliary patterns. If this pattern is Jik-geum on the Tongsu-seuran and also used it on the background pattern, it becomes a Jik-geum Tongsu-seuran. And if the gold thread is used only in the Subok letters, it becomes a Jik-geum Subokmun, and if the gold foil is printed by imitation Jik-geum surface effect, it becomes a Bu-geum Tongsu-seuran or a Bu-geum Subokmun. The gold-decorated patterns a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Jik-geum and Bu-geum technique even though the format and style are the same. In the Jik-geum formal wear, after designing the pattern of background weave and gold decoration from the weaving stage, the pattern is expressed by inserting gold thread only in the gold decoration parts. While in the Bu-geum formal wear, after the dress is completed, a pattern plate with glue is printed and then gold foil is applied to express the pattern. Jik-geum attire has the advantage of high degree of completion as they are made by designing both the base pattern and the gold in-woven pattern together. However, it is more labor intensive and takes time to complete the dress, and since the expression of the pattern is fix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ome of the pattern is lost during the cutting.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fastness of the gold foil is relatively low, Bu-geum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easy to make and minimizing the loss of patterns by adjusting the pattern plate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dress. It is presumed that the royal family took thes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of these techniques to make formal attires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circumstances of the ritual. In this way, the fact that the same pattern could be expressed depending on the techniques of Jik-geum and Bu-geum,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Joseon’s formal dress,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s such, this study synthesized domestic and foreign records and relics to reveal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expressing gold-decorated patterns in the formal atti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nalyzed their stylist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ed light on the fact that, although the gold decoration patterns of Joseon’s formal attires were influenced by the costume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t was selectively accepted and developed into a variety of pattern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many types of gold decoration patterns organiz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the future historical research and utilization of the dress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