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베이비부머세대 은퇴자의 은퇴자원, 통합력, 은퇴적응과 은퇴만족의 관계

Title
베이비부머세대 은퇴자의 은퇴자원, 통합력, 은퇴적응과 은퇴만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resources Inventory, Sense of Coherence, Retirement Adapta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of baby boomers retirees
Authors
주진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원형중
Abstract
본 연구는 네 가지의 연구 목적을 가진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은퇴자원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은퇴자원이 은퇴웰빙(은퇴적응, 은퇴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셋째, 통합력이 은퇴자원과 은퇴적응, 은퇴만족 사이를 매개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넷째,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활동 빈도 집단에 따라 은퇴웰빙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베이비부머 은퇴자 1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그 후 검증된 척도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 499명을 모집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t검정, 일원배치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7.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매개경로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은퇴 전 직업, 최종학력, 결혼유무)에 따라 은퇴자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감정자원이 높게 나타났다. 은퇴 전 직업에서는 생산/판매서비스, 자영업 직업 보다 기술/사무/관리직, 경영/전문직 직업이 신체경제자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경영/전문직 직업이 생산/판매서비스 직업보다 사회자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경영/전문직 직업이 기술/사무/관리직, 생산/판매서비스, 자영업 직업보다 인지자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최종학력이 높을 때, 신체경제자원, 사회자원, 감정자원, 동기자원, 인지자원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사별, 미혼, 이혼보다 기혼 ․ 배우자 유가 신체경제자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자원에서는 미혼보다 기혼 ․ 배우자 유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동기자원에서는 사별보다 기혼 ․ 배우자 유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여가활동 유형에서는 정적보다 동적유형이 신체경제자원, 사회자원, 동기자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여가활동 빈도 에서는 1주일에 1~2일 여가활동참가자보다 5~6일 참가자들이 신체경제자원, 사회자원, 인지자원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자원이 은퇴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또한 은퇴자원이 은퇴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모든 자원에서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통합력은 은퇴자원과 은퇴적응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은퇴자원과 은퇴만족 사이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가활동 빈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은 은퇴자원이 통합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유의한 값이 나왔으며, 5~6일 여가활동을 하는 집단이 1~2일 여가활동을 하는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은퇴자원이 통합력을 통해 은퇴적응과 은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활동 빈도가 높은 집단(5~6일>1~2일)이 더 높은 영향력을 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는 은퇴자원이 통합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유의한 값이 나왔으며, 동적유형의 여가활동 집단이 정적 유형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은퇴자원이 통합력을 통해 은퇴적응과 은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동적유형의 집단이 정적유형의 여가활동 유형 집단보다 은퇴자원을 통해 통합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는 곧 은퇴적응과 은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은퇴자원이 통합력을 매개하여 은퇴웰빙(은퇴적응과 은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활동 빈도에 따른 은퇴웰빙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다양한 은퇴 연구가 여가학에서 유용성을 확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추후 다른 여가학적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함께 검토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코호트까지 폭넓게 쓰일 수 있는지에 대한 은퇴자원 척도의 추가적인 검토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This study has four research purposes. First, It is to examin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retirement resourc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Second, it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retirement resources on retirement well-being (retirement adaptation, retirement satisfaction). Third, it is to find out whether Sense of coherence mediates between retirement resources, retirement adapta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Fourth, It is to examin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retirement well-being according to the leisure activity type group and leisure activity frequency grou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99 baby boomer retirees were recrui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analyz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alysis, one-way Anova analysis, SEM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irement resourc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gender, pre-retirement job, final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Second, the direct effect of retirement resources on retirement adapta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hat both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Sense of coherence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retirement resources and retirement adaptation, and it was also shown that it mediated between retirement resource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Finally, the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grou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nfluence of retirement resources on soc, and the group with a higher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5-6 days>1-2 days) had a higher influence on retirement adapta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leisure activity type showed a significant value in the influence of retirement resources on soc, and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leisure type group had a positive (+) effect on retirement adapta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than nonactivity type group. This study implies that First, It investigated the mediated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which is retirement resources between retirement well-being (retirement adapta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Second,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daptation, retire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and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