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중산층 한 자녀 부부의 양육 경험과 추가 출산 결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Title
중산층 한 자녀 부부의 양육 경험과 추가 출산 결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parenting experiences and decision to have second children among middle class couples with a single child.
Authors
맹지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인희
Abstract
정부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저출산 현상은 점점 심화되어갈 뿐 출산율의 반등은 어려운 실정이다. 저출산 대책은 그 범주를 넓혀 삶의 질을 개선하겠다며 지원 대상을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정책 대상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나, 기존에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있으면서 추가 출산 의사가 있는 사람들에게 저출산 대책은 실질적으로 체감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중산층 한 자녀 부부의 양육 경험과 추가 출산 결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의 주된 출산 주체로 여겨지는 가족 중 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부들을 대상으로 추가 출산에 대한 결정이 첫 자녀 양육과 관련한 경험으로 만들어진 구성물임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 때 양육 경험은 사회구조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한 자녀 부부가 둘째 자녀 출산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어떤 양육과 관련한 경험적인 요인들이 실제 출산 행위로 이어지지 못하게 하는가가 이 연구의 중심 연구 문제이다. 연구 방법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선행연구 및 저출산 대책 안에서도 출산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집단이자 일정 이상의 소득을 갖춘 중산층 집단의 가족들 중에서 눈덩이 표집을 이용해 모집하였다. 심층면접은 2020년 10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인터뷰는 1시간 10분에서 최대 1시간 40분 가량 이루어졌다. 인터뷰 후 전사 작업을 통하여 녹취록을 작성하였고, 작성 이후에는 질적 분석 프로그램인 'MAXQDA 2020'을 이용하여 코딩 및 범주를 추출하고 면접 내용을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중산층 한 자녀 부부의 양육 경험과 추가 출산 결정에 대한 탐색적 조사라는 주제에 입각하여 연구 참가자들의 면접 자료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개인적 경험 요인과 사회구조적 경험 요인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들은 신체적인 건강 문제로 추가적인 출산을 주저하였다. 노산으로 인한 자녀를 양육할 체력과 건강 상의 문제와 모성 이데올로기의 수용으로 인한 24시간 밀착 육아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 등을 들었다. 둘째, 추가 출산을 희망하는 참가자들의 결정 요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개인의 가족관’이다. 또한 추가 출산 의사가 없더라도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첫 자녀가 외동 아이로 자라며 느낄 결핍을 염려하며 추가 출산을 고민하였으며 이는 첫 자녀가 만 3세가 될 때 까지 지속되다가 점차 줄어들었다. 따라서 첫 자녀 출산 후 만 3년간의 경험이 추가 출산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참가자들은 추가 출산을 결정하는 데에 자녀 양육비와 자녀 교육비용을 주된 경제적 부담으로 여기고 있다. 넷째, 연구 참가자들 중 가부장적 가족에 속한 참가자들은 추가 출산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며, 이들 중 남성들은 1인 생계부양자 역할을 자발적으로 택하고 여성에게 가정에서의 역할을 부여하는 식으로 성별 분업을 준수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여성들의 경우 일·가족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돌봄의 사회화로 인해 보육시설이 양적 증가를 이루고 있다고는 하나 돌발적인 상황에 대한 시간 사용의 어려움으로 보조 양육자를 구하게 된다. 이 때 보조 양육자는 대개 자녀의 조모가 된다. 여섯째, 추가적인 출산이 이루어졌을 때의 자신의 삶에 대하여 참가자들은 젠더 간의 갈등 양상이 달랐다. 남성들은 자녀 양육과 삶의 질 사이에서 고민하지만, 여성들은 일·가족 갈등 전반에 해당하는 문제들을 겪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가자들은 저출산 대책 중 보육 지원, 주거나 물가 조정 등을 포함한 경제적 지원, 노동 환경의 가족 친화적 변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저출산 대책에 대한 개별가족의 주관적 경험 및 욕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한국 사회의 문제에 집중하기 위하여 국내 연구 위주로 선행연구 조사 및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던 점과 사례 수의 부족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저출산 대책에 대한 가족의 주관적 인식 및 효과성, 성별에 따라 상반되는 일·가족 갈등의 양상 등의 소주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후속 연구로 남기고자 한다. ;Despite government interventions, the low fertility rate in SouthKorea is only exacerbating, and its rebound seems unlikely. Intervention efforts started to broaden their scope to include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more diverse people, which is undoubtedly an important shift. However, families currently raising a child and intending to have additional children report feeling not have benefitted from policies intended to address the low fertility problem. Recognizing this issue,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fertility decision for a second child among middle class couples with a single child, the population considered the main childbirth subjec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the decision to have a second child is constructed through the childrearing experience, which is presumably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structure. The centra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aring experiences that deter couples from actually having a second chil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re middle-class families withincome above the threshold and a single chil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considered more likely to have children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and policy report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and interviewed between October 2020 and December 2020. Each interview lasted from an hour and ten minutes to an hour and forty minutes. After transcribing the interviews, responses were 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using MAXQDA 2020, a qualitative analysis program. Having critically analyzed participant responses to uncover the connection between childrearing experience and fertility decision for a second child, I identified several influential factors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related to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social structure.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female participants hesitated about having a second child due to their physical health. Physical difficulties related to fitness and health due to delayed childbirth,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stemming from internalizing the ideology of motherhood, which promotes 24-hour close childcare, were commonly mentioned. Second, the main factor behind fertility desire for an additional child was the “individual idea of the family.” Most respondents, including those who did not intend to have additional children, contemplated having a second child, worried that their first child would grow up feeling devoid in life as an only child. This concern persisted until the first child reached the age of three and decreased gradually. Therefore, experience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after the birth of the first child seem critical to fertility decisions regarding additional children. Third,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e costs related to childrearing and child education as major financial concerns discouraging them from deciding to have a second child. Fourth, participants in more patriarchal families tended to decide not to have a second child. Men in such families tried to maintain the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by voluntarily adopting the role of sole, male breadwinner and assigning domestic roles to women. Fifth, women were facing difficulties due to work-family conflict. The number of childcare facilities has indeed been increasing with the socialization of care; however, participants sought assistant caregivers as they faced difficulties taking out time incase of unexpected events. In such cases, the assistant caregiver tended to be the child’s grandmother. Sixth, the type of life concerns participants had about additional childbirth differed by their gender. While men were conflicted between childrearing and quality of life, women faced broader issues under work-family conflict. Finally, participants in the current study considered child care support, economic supportpolicies including housing support and price regulations, as well as a change towards a family-friendly work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among various policies aimed at increasing fertility. The current research serves as preliminary data detailing subjective experiences and needs of individual families for future policy interventions on the low fertility rate.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around the Korean case to focus on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The small number of cases is another limitation. Still, takingfrom the current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investigate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individual families and the efficacy of policies intended to address the low fertility rate, in addition to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work-family conflict by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