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9 Download: 0

박현지의 작품 연구

Title
박현지의 작품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our compositions by Park, Hyunji. : 1. ae for Violin and Otamatone (2021), 2. Addiction for Piano and 2 Percussion Players (2019), 3. Ta for 2 Pianos (2020), 4. La Rose for Clarinet in B b, Cello and Piano (2020)
Authors
박현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승현
Abstract
본 논문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부 박현지가 석사 과정 재학 중에 작곡한 바이올린과 오타마톤을 위한 『아이(ae)』(2021), 피아노와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를 위한 『탐닉』(2019),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타(他)』(2020), 그리고 Bb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장미(La Rose)』(2020)에 관한 연구이다. 네 작품 모두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 리사이틀의 프로그램으로 2021년 11월 30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김영의홀에서 초연되었다. 바이올린과 오타마톤을 위한 『아이』는 현실에 존재하는 나와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또 다른 나인 아이(ae)의 만남과 변화, 그리고 공존을 그려낸 곡으로 현실의 나는 바이올린, 가상세계의 아이는 오타마톤을 통해 묘사된다. 이 곡은 대체로 오타마톤이 바이올린의 선율을 모방 및 부분 변형함으로써 진행되며, 각 부분에 나타난 [존재 인식-반응-공존]의 세 단계 표현을 위해 모방 과정에서 나타나는 선율 변화가 나타난다. 또한, 곡 전체에 걸쳐 반복·모방 되는 선율에 음색 변화를 주기 위해 여러 주법과 다양한 이펙터를 사용하여 달라지는 음색·음향적 효과를 중심으로 음악이 전개된다. 피아노와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를 위한 『탐닉』은 탐닉(耽溺)의 과정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사람(이하 주체자)이 어떤 대상(일, 사물, 현상 등)을 탐닉하는 것이 아닌, 타의에 의해 탐닉 되어간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작곡되었다. 작품 내에서 탐닉은 하나의 생명체로 인지되며, 탐닉에 의해 주체자가 탐닉에 빠져 점차 자신을 망각하다가 결국에는 파괴되어가는 과정이 음악적으로 표현되었다. 네 부분으로 구성된 이 작품에서 피아노는 주체자, 두 명의 타악기 연주자는 무율 타악기를 통해 탐닉을 대변하며 작곡자가 설정한 동음 반복 모티브, 리듬 구조, 아티큘레이션, 박자, 빠르기 등의 음악적 요소를 통해 음악이 전개된다. 이와 함께 조명 및 연주자의 행동에 관한 음악극적 요소를 통해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타』는 작곡가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곡된 것으로 삶 속에서 계속해서 마주하는 것에 대해 상반되게 반응하는 내면의 두 자아와 감정적 및 심리적 변화를 음악적으로 서술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작곡자는 기독교적 관점에 근거하여 삼분설을 통해 작품에서의 자아를 정의하였다. 형체 없이 머릿속에서 생각으로 떠다니는 두 자아의 모습을 묘사하고, 두 자아의 감정 확대 및 심정적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2도, 4도의 음정 구조와 여기서 파생되는 화성 구조 그리고 A-B-C의 세 부분에 걸쳐 나타나는 다섯 개의 음형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피아노의 타악기적 활용과 긴 페달링과 긴 페르마타의 사용을 통해 음향을 중심으로 한 음악을 전개한다. 또한, 악곡 전체에서 음역, 리듬, 음정 간격, 아티큘레이션 등의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을 대비적으로 배치하여 두 자아의 상반됨이 선명하게 느껴지도록 하였다. Bb 클라리넷, 첼로, 피아노를 위한 『장미』는 프랑스 작가 생텍쥐페리의 동화 『어린 왕자(Le Petit Prince)』의 한 구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작곡되었으며 인간이 가진 관계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하였다. 이 작품은 곡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큰 모티브 안에서 음악이 전개되는 한 부분으로 구성되며, 모든 성부는 독립적이고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아 변화하며 수평적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변화와 긴밀하게 연결된 각 성부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기존의 다섯 가지 개념(푸가, 라이트 모티브, 총렬 음악, 메시앙의 곡, 구체 음악)으로부터 착안한 세 가지 기법(스트레토, 음악적 요소 설정, 선율 조각)을 사용하였다. 특히, 음악적 요소를 ‘조각’으로 치환하여 선율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삼아 이를 바탕으로 모든 성부의 선율을 구성하고, 음악이 전개됨에 따라 조각을 변형시키거나 다른 성부의 영향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조각을 선율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음악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조각의 변형은 음악적 요소 중 주법을 통해 가장 많이 나타나게 되며 이는 곧 음색 변화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네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품별 주제와 작곡 의도를 음악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품마다 각기 다르게 사용된 다양한 음악적 요소와 음악 전개 방식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This thesis is an analytic study on four works were premiered on November 30, 2021 at the Kim Young-ui Hall of Ewha Womans University Music College as a recital program for completing a master's degree. The works include: ae for Violin and Otamatone (2021), Addiction for Piano and 2 Percussion Players (2019), Ta for 2 Pianos (2020), and La Rose for Clarinet in Bb, Cello and Piano (2020).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background and intention of each work, to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usical material used in each work and the music development method through form and structure analysis. ae for Violin and Otamatone is a piece depicting the meeting, change, and coexistence of me in the real world and another me, “ae” who exists in the virtual world, and is describes through the real me through violin and the virtual world me(ae) through otamatone. This piece is generally performed by otamatone imitating and partially transforming the melody of violin, and changes appear in the melody imitation process for the three-step expression of [Existence Perception-Response-Coexistence] in each part. In addition, various techniques and effectors(plug-in) are used to change the tone of the melody that is repeated and imitated throughout the piece, and music is developed around the tone and acoustic effects that appear through this. Addiction for Piano and 2 Percussion Players was composed based on the premise that a person falls into the process of indulging in an object(work, thing, phenomenon, etc.) by other will, not by will, through the process of the composer’s considering about indulgence and addiction. In this piece, addiction is recognized as a creature, and the process of the person being deeply addicted by the addiction, gradually forgetting himself, and eventually being destroyed is expressed musically. This piece consists of four parts, and the piano represents the person, and 2 percussionists represent the addiction through unpitched percussion instruments. In Addition, music is developed through musical elements such as the same pitch repetition motif, rhythm structure, articulation, meter, and tempo by the composer. In addition, effective storytelling is achieved through musical theatre elements such as instruction on stage lighting and performer’s behavior. Ta for 2 Pianos was composed based on the composer’s personal experience. The focus of the piece was on musical description of the two inner egos an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nges that respond in contrast to what they continue to face in life. The composer defined the self in the piece through trichotomy based on a Christian perspective. In order to describe the two egos floating in thought without shape and to express the expanding emo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two egos, the pitch structure of 2nds and 4ths degrees, the harmonic structure derived therefrom, and five figures that appear over three parts of A-B-C were used. In addition, the music is developed around the sound generated by using the piano like a percussion instrument and the use of long pedaling and long fermata. Furthermore, various musical elements such as pitch, rhythm, pitch interval, and articulation were arranged in contrast throughout the music so that the contrasts between the two egos could be clearly felt. La Rose for Clarinet in Bb, Cello and Piano was composed with ideas from a verse from the fairy tale by French writer Saint-Exupéry, and ex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musically. This piece just consists of one part in which music is developed within a large motif that penetrates the entire piece. And all parts influencing and changing each other in an independent and equal position, and move horizontally.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closely connected to these changes, three techniques(stretto, musical element setting, melody sculpture) were used from the existing five concepts(fugue, leit-motif, total serialism music, O. Messiaen’s piece and concrete music). In particular, the musical element was substituted with a ‘small piece’, and the melody of all parts was constructed by setting it as the minimum unit constituting the melody. As the music developed, a method of modifying the piece or adding a newly created piece to the melody was used. This transformation of small piece appears the most through the technique among musical elements, which soon leads to tone change. In this thesis is a study on various musical elements and music development methods used differently for each work to express the theme and composition intention of each work music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ur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