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한국어 격조사 '에', '에서', '에게'와 '를'의 교체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어 격조사 '에', '에서', '에게'와 '를'의 교체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Case Marker Alternation of ‘ey’, ‘eyse’, ‘eygey’ and ‘lul’ in Korean
Authors
Yin, Yawe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고는 한국어의 ‘에’, ‘에서’, ‘에게’와 ‘를’의 교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격조사 교체 구문에서 각 문장 성분의 특징 및 교체에 따른 문장의 의미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격조사 교체와 관련된 기존 논의에서는 교체 가능한 동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격조사 교체 가능 여부는 동사와 관련 있는 것뿐만이 아니라 여러 문장 성분과 관련도 있다. 또는 격조사 교체 전후 문장의 의미 변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도 많지 않고, 심지어 교체 전후 의미 변화가 없다고 주장하고 ‘수의적으로 교체’라는 적합하지 않은 표현을 사용한 연구도 있다. 그래서 격조사 교체 구문의 문장 성분의 특징이 무엇인지, 격조사 교체에 따라 문장의 의미 차이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격조사의 유형에서 볼 때 ‘에, 에서, 에게’는 모두 처소격 조사이고 ‘를’과 교체할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의 격조사 교체에 비해 ‘에/를, 에서/를, 에게/를’ 교체가 가능한 동사의 수량이 많고 종류도 다양하고 격조사 교체 현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연구할 의의가 있다. Ⅰ장과 Ⅱ장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목적, 대상, 방법에 대한 제시와 함께 격조사 교체와 관련 기존 논의의 부족함을 밝혔다. 다음으로는 격조사 교체 현상의 정의와 격조사 교체 구문의 유형을 제시하고 본고의 논의 대상인 격조사 교체 유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에’, ‘에서’, ‘에게’, ‘를’의 의미 기능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에/를’ 교체를 논의하였다. 우선 ‘에/를’ 교체가 가능한 동사 목록을 정리하고 분류하였다. ‘에/를’ 교체가 가능한 동사를 ‘주체 이동동사’, ‘객체 이동동사’, ‘태도동사’, ‘시선 전이 동사’, ‘상황 처지 동사’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다음에는 ‘에/를’ 교체 구문의 선행 명사구, 주어, 서술어, 그리고 부속 성분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선행 명사구의 특징을 분석할 때 우선 이중-역을 분석하였다. 주체 이동동사 구문의 선행 명사구는 <목표>와 <대상> 혹은 <장소>와 <대상>으로 해석된다. 객체 이동동사 구문의 선행 명사구는 <목표>, <대상> 및 <대상>, <도구>의 의미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태도동사 구문의 선행 명사구는 <원인>과 <대상> 혹은 <목표>와 <대상>으로 해석된다. 시선 전이 동사 구문의 선행 명사구는 <목표>와 <대상>으로, 상황 처지 동사의 선행 명사구는 <장소>와 <대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동사 구문의 유형에 따라 선행 명사구의 [추상성]과 [유정성]이 격조사 교체에 끼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추상성], [유정성] 이외에는 주체 이동동사 구문 선행 명사구의 [지정성]과 [유계성], 객체 이동동사 구문 선행 명사구의 양적 동등성 등은 격조사 교체에 끼치는 영향을 밝혔다. 의미적 특징뿐만 아니라 선행 명사구에 ‘-기, -음, 것, 데’ 등을 포함하는 경우 ‘에/를’ 교체에 끼치는 영향도 논의하였다. 주어의 특징에서는 주체 이동동사 구문의 주어가 [+인격성]을 가져야 ‘에/를’ 교체가 일어날 수 있다. 서술어의 특징에서는 보조용언 ‘-어 있다’와 ‘-어 내다’의 삽입이 격조사 교체에 끼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부속 성분의 특징을 분석할 때는 주로 시간과 관련된 부사어가 격조사 교체에 끼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통사적 특징을 논의한 다음에 ‘에/를’ 교체에 따른 문장의 의미적 차이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논의하였고, 이러한 의미적 차이는 ‘를’이 지니는 사건에 ‘끝점 부여’의 기능과 ‘에’가 지니는 대상에 ‘경계 부여’의 기능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용적 차이에서는 ‘를’을 통해 나타나는 ‘화자의 놀라움이나 의외적 감정’, ‘장소나 대상 지정성의 강조’, ‘신정보 제기’ 등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에서/를’ 교체 현상을 논의하였다. 우선 ‘에서/를’ 교체가 가능한 동사 목록을 정리하고 ‘이탈성 이동동사’와 ‘방식 이동동사’로 분류하였다. 그 다음에는 ‘에서/를’ 교체 구문의 선행 명사구, 주어, 서술어, 그리고 부속 성분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우선 선행 명사구의 이중-역을 보면, 이탈성 이동동사 구문의 선행 명사구는 <출처>와 <대상>의 이중-역, 방식 이동동사 구문의 선행 명사구는 <장소>와 <대상>의 이중-역을 지닌다. 이중-역 이외에 선행 명사구의 [추상성], [유정성]이 ‘에서/를’ 교체에 끼치는 영향을 밝혔다. 그리고 이탈성 이동동사와 방식 이동동사 구문의 주어가 [+인격성]을 가져야 ‘에서/를’ 교체가 가능한 것을 밝혔다. 서술어의 특징에서는 ‘-어 있다’의 첨가를 논의하였다. 부속 성분이 ‘에서/를’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는 시간 부사어, 장소 부사어, 그리고 [+전체성], [-방향성]을 지니는 부속 성분이 ‘에서/를’ 교체에 끼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에서/를’ 교체에 따른 문장의 의미· 화용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에게/를’ 교체를 논의하였다. 우선 ‘에게/를’ 교체가 가능한 동사가 지니는 ‘소유권 이전, 영향입음, 정확성’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그 다음에는 ‘에게/를’ 교체 구문의 선행 명사구, 주어, 서술어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선행 명사구의 특징을 보면 ‘에게/를’ 교체 구문의 선행 명사구는 <대상>과 <목표>의 이중-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외에 선행 명사구의 [추상성], [유정성]이 교체에 끼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주어의 특징을 보면 ‘에게/를’ 교체 구문의 주어는 [+유정성]을 지녀야 한다. 서술어에서는 두 가지 특징을 밝혔다. 하나는 원래 ‘에게/를’ 교체가 일어나지 못하지만 ‘-어 주다’의 삽입을 통해 교체가 일어날 수 있는 동사가 있다. 다른 하나는 서술어가 ‘NP2-주다’인 합성 동사인 경우에 ‘에게/를’ 교체가 나타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에게/를’ 교체에 따른 문장의 의미· 화용적 차이를 논의하였다. 의미적 차이에서는 ‘완전 수령 여부’의 차이를 밝혔고, 이는 ‘를’이 지니는 사건에 ‘끝점 부여’의 기능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용적 차이에서는 ‘를’을 통해 나타나는 ‘선택지정, 배타’, ‘초점 부여’, ‘화자의 의외적 감정’ 등 의미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 정리하고 본고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에, 에서, 에게’와 ‘를’의 교체에 주목하여 각 문장 성분의 특징을 살피고 격조사 교체에 따라 문장의 의미 차이에 대해서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The thesis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ey/lul’, ‘eyse/lul, eygey/lul’ alternation in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rying to examine the features of sentence constituents and the semantic difference of ‘ey/lul, eyse/lul, eygey/lul’ alternation constructions sentence. Most of the existing discussions related to case marker alternation are focus on verbs. However, the case marker alternation phenomenon is not only related to verbs, but also to the sentence constituents. In addition, little studies have explored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sentences before and after the case marker alter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eatures of the sentence constituents and the semantic difference of the sentence that appears because of case marker alternation. Chapter Ⅰ& II present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thesis, and review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then propose the research methodology. Next, I present the definition and the type of case marker alternation. And the semantic functions of ‘ey, eyse, eygey, lul’ are discussed. In Chapter Ⅲ, I have discussed the ‘ey/lul’ alternation construction. The ‘ey/lul’ alternation verb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ubject moving verb, object moving verb, attitude verb, attention-transfer verb, and situation verb. Next the features of antecedent noun phrases, subjects, predicate and other sentence constituents are discussed. When analyzing the features of antecedent noun phrases, it is explained using ‘dual-role’. The antecedent noun phrases of subject moving verb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as , or , . The antecedent noun phrases of object moving verb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of , and , . The antecedent noun phrases of attitude verb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as , or , . And the antecedent noun phrases of situation verb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as and . In addition, [abstractness], [animacy], [specificity] and other features of antecedent noun phrases reveal the effect on ‘ey/lul’ alternation. It has revealed that in the subject moving verb construction, ‘ey/lul’ alternation can occur only when the subject has [+personality]. When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 predicate, I find that the addition of auxiliary predicate ‘-eo itta, -eo naeda’ can affect the ‘ey/lul’ alternation. When analyzing the features of other sentence constituents, the effect on the insertion of time adverbials is mainly discussed. After discussing syntactic features, the semantic difference of ‘ey/lul’ alternation are also discussed according to the type of verb construction. It analyzes the semantic difference from two aspects: the semantic difference between ‘NPey’ and ‘NPlul’ within a sentence, and the emphasis meaning of case marker ‘lul’. The semant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y/lul’ alternation in the moving verb construction can be explained as a function of ‘giving telicity point’ to events of ‘lul’. And in the other verb construction, the semantic difference can be explained as a function of ‘giving boundary’ to objects of ‘ey’. In Chapter Ⅳ, I have discussed the ‘eyse/lul’ alternation construction. The ‘eyse/lul’ alternation verb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leaving verb and motion manner verb. Next the features of antecedent noun phrases, subjects, predicate and other sentence constituents are discussed. When analyzing the features of antecedent noun phrases, it is explained using ‘dual-role’. The antecedent noun phrases of leaving verb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as and . The antecedent noun phrases of motion manner verb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as and . In addition, [abstractness], [animacy], [spatiality] have revealed the effect on ‘eyse/lul’ alternation. When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 predicate, I find that the addition of auxiliary predicate ‘-eo itta’ can affect the ‘eyse/lul’ alternation. When analyzing the features of other  sentence constituents, the effect on the insertion of time adverbials , location adverbials are mainly discussed. After discussing syntactic features the semantic difference of ‘eyse/lul’ alternation are also discussed according to the type of verb construction. The semant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yse/lul’ alternation in the moving verb construction can be explained as a function of ‘giving telicity point’ to events of ‘lul’. In Chapter Ⅴ, I have discussed the ‘eygey/lul’ alternation construction. Firstly, I have examined the three meanings of ‘eygey/lul’ alternation verb: transfer of ownership, affectedness, and punctuality. Next the features of antecedent noun phrases, subjects, predicate were discussed. The antecedent noun phrases of ‘eygey/lul’ alternation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as and . In addition, [animacy], [abstractness] revealed the effect on ‘eygey/lul’ alternation. It has revealed that the ‘ey/lul’ alternation can occur only when the subject has [+animacy]. When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 predicate, I have found two features: On the one hand, there are some verbs that does not originally occur ‘eygey/lul’ alternation, but can occur through the insertion of ‘-eo juda’. On the other hand, if the predicate is a synthetic verb ‘NP2-juda’, ‘eygey/lul’ alternation will occur. After discussing syntactic features, the semantic difference of ‘eygey/lul’ alternation are also discussed. The semant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ygey/lul’ alternation can be also explained as a function of ‘giving telicity point’ to events of ‘lul’. Chapter Ⅵ is the conclusion. It summarizes the discussion and lays ou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and provides further topics to explor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