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1960년대 여성가족소설에 나타난 행복의 수행성 연구

Title
1960년대 여성가족소설에 나타난 행복의 수행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erfomativity of Happiness in Women's Domestic fiction in 1960s
Authors
박구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1960년대 여성가족소설들 속에 드러난 중산계급 지식인 여성들의 욕망 다시 읽기를 통해 여성 지식인 작가들이 젠더-교양을 내파하고 전유함으로써 재구성한 행복의 개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여성 지식인 작가들이 젠더화 되어 있는 교양과 행복의 환상을 극복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체제와 젠더 위계에 대한 순응과 저항의 이분법적 독해를 넘어서는 방법을 찾고자 한 것이다. 1960년대의 근대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스위트홈’과 ‘행복’이 이데올로기로 작동하면서 사회 구성원들을 구별 짓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교양 있는 지식인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한 여성 지식인들은 교양의 젠더화, 행복의 젠더화라는 실체적 진실에 대면하게 된다. 중산계급 가정 출신으로서 근대적인 교육의 수혜자였던 여성 지식인 작가들이 이를 어떤 방식으로 받아들이고 전유하면서 자신들만의 망탈리테를 만들어 가는가를 서술할 것이다. 이를 위해 행복 역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주어진 행복의 조건 밖의 삶을 살 자유를 가지는 자, 행복을 재구성하는 자를 1960년대의 여성 주체로 제시하였다. 여성 지식인들이 자신의 행복의 대상을 찾기 위해 자신의 욕망을 끝까지 가져간다는 점에서 이들이 진정한 의미의 자기 충족적 행복을 순간마다 만들어 냈다는 점을 포착하려는 것이다. 행복은 텅 비어 있는 것, 고정될 수 없는 것이다. 여성들은 행복의 대상을 매순간마다 새롭게 고정시키고, 해체하고, 재구성한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1960년대 여성가족소설이다. ‘스위트홈’으로 그려지는 가정은 행복의 대상으로 사회적으로 규정된 공간이지만, 여성들의 현실에서 가정 속의 삶은 행복하지만은 않은 공간이기 때문이다. 진정한 의미의 ‘스위트홈’은 각자 다른 의미로 번역되어야 하는 공간으로, 결코 동일화할 수 없는 공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온전하지 못한 여성들의 삶은 마치 절름발이처럼 되돌아온 전통과 서구적 근대화를 동시에 이루고자 하는 모순에서 비롯된 ‘불행’으로 잠식된다. ‘행복’할 것을 강요받으면서도 그녀들의 삶을 이끌어가는 것은 불행하지 않고자 하는 고군분투에서 파생된 ‘불행’이라는 감정이다. 여성 지식인들은 끊임없이 불행을 느낀다. 불행에서 벗어나고자 계몽주의적 낙관론으로 행복-테크놀로지에 복무하기도 하고, 처음부터 그러한 행복에 대한 기대를 접어버리기도 하지만, 결국에는 불행에 대해 사유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1960년대 여성가족소설들은 일종의 ‘불행 아카이브’이기도 하다. 그러나 ‘행복-테크놀로지’와 재구성되는 행복을 통해 다시 읽으면, 작가들이 남겨 놓은 균열의 지점들, 어긋남의 지점들을 찾을 수 있다. 본고는 행복의 재개념화를 통해 주변의 감정과 일치되지 않는 1960년대 여성가족소설 속 성찰적 주체, 불행한 킬조이(killjoy) 주체들과 자발적 정서 소외자(affect alien)들을 젠더 이분법을 넘어서면서 불행한 존재들까지 끌어안은 윤리적 주체로 재호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60년대 여성가족소설들이 가진 정치적이고 주체적인 양상을 강조하며 적극적으로 재의미화하기 위해 강신재, 박경리, 손장순의 1960년대 작품들을 두루 채택하였다. 강신재, 박경리, 손장순은 모두 1930년대-1940년대 엘리트 여성으로 성장하여 한국 전쟁과 4.19, 5.16을 모두 경험하면서 1950년대부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해 나갔다. 세 작가의 작품이 갖는 공통점은 무엇보다도 구체적인 삶의 공간 속에 다양한 인물 군상을 배치하면서 1960년대 문학장에서 ‘여류’로 함께 묶이면서도 이들에 대한 문단의 평가는 서로 다르며, 그만큼 다양한 작품의 결을 가지고 있는 작가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은 새로운 감각과 문체를 보여주고 있는 ‘여류’로 묶이면서도 그들이 1960년대에 발표한 작품들은 대중적이고 통속적이라는 이유로 남성중심의 문학사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많았다. 1960년대는 신문과 잡지와 같은 매체의 증가로 인해 연재소설의 발표 지면이 늘어나면서 장편소설이 대량 생산된 시기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많은 여성 작가들이 대중성을 갖춘 장편소설을 연재하게 되었다. 강신재, 박경리, 손장순은 대중연재소설뿐만 아니라, 순문학지에도 여러 작품을 발표했다. 이들의 작품 활동은 남성의 순문학, 여성의 대중 문학이라는 문단의 이분법적 체계를 오가며 단편과 장편을 모두 아우르는 유목적 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세 작가의 1960년대 장편과 단편 소설들을 ‘여성가족소설’을 중심으로 읽는다면, 작품 속에서 이미 젠더화된 시대와 가치들을 파악하고 있었음을 찾을 수 있다. 세 작가들의 소설들 속에서 젠더화된 교양과 행복은 여성들을 옭아매는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여성들이 새로운 공동체를 상상할 수 있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들이 그려내는 이상적인 근대적 도시 속의 ‘가정’ 공간은 사적 공간으로 보이지만, 이 공간들은 생존을 가능하게 해 주는 삶의 공간이자, 지식인으로서 가진 시대감각 속에서 공적 공간으로 확장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세 작가들은 1960년대 발표한 소설들을 통해서 경계를 넘나들면서 한 가지로 이야기될 수 없는 삶의 역설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 세 작가의 여성가족소설 분석을 통해 대중성과 통속성으로 인해 보수적이라고까지 평가되면서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던 1960년대 여성 소설의 유의미한 지점과 정치성을 조망할 수 있다. 각 장에서는 이데올로기적으로 구성된 가정의 행복의 환상을 실현하기 위해서 고군분투하는 여성 주체와 가정 공간을 살피면서 여성 작가들이 어떠한 삶과 행복을 재발명하는가를 고찰하였다. Ⅱ장은 로고스로서 주조된 행복을 수행함으로써 을 자기 만족을 얻는 양상을, Ⅲ장에서는 사회적 에토스로 주어진 행복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고유성을 자각하고 자기 윤리를 성취하는 양상을, Ⅳ장에서는 감정의 파토스로 수행되는 행복을 통해 자기를 포함하는 동시에 넘어서는 자기 포월의 실천 양상을 분석했다. 각 장의 A절에서는 낭만적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구성되는 감정의 공동체를 각각 수치심의 공동체, 연민의 공동체, 고통의 공동체로 나눈 뒤 논의를 진행하였다. 여성 인물들은 낭만적 가족의 환상을 가지고 질서 속에서 복무하면서 수치심의 공동체로 연대를 꿈꾸거나, 낭만적 가족의 환상을 가로지른 후에는 낭만적 가족을 거부하면서 자신과 타자에 대한 연민을 통해 가족 제도 밖의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간다. 마지막으로 여성 인물들은 낭만적 가족의 불가능성을 알면서도 고통을 토대로 타자와 함께 서로 돌보며 거주하는 새로운 삶의 공동체를 만들어 간다. B절에서는 여성에게 주어진 사적 공간이 분화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 인물들은 사적 공간에 머물기를 요구받았으나, 자신들이 머무는 공간을 유토피아적 재생산 공간과 아토피아적 공간, 자족적 디스토피아 공간으로 다양하게 만들어 낸다. 이 공간 안에서 여성들은 이분법의 부정축에 있는 취약성과 부정성, 그리고 수동성이 가진 역설을 재해석하여 삶에 대한 해답으로 내놓는다. 여성에게 부여된 부정적 특성들이 하나의 위대한 역설로 삶에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 동시에 이를 새로운 삶의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정향된 행복이 수행되면서 만들어 내는 주체의 부정적 양태와 각성의 지점, 그리고 이를 통해 역설적으로 여성들을 자유롭게 하는 가치들을 살핀다. 2항에서는 재발명된 행복이 수행되면서 탄생한 새로운 주체의 양상과 새롭게 만들어 내는 삶의 방향성을 찾아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1960년대의 여성가족소설은 여성들을 가정에 유폐시키고자 한 시대적 요청 속에서 완전한 순응도 저항도 아닌 방식으로 욕망의 잔여를 표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대화를 통해 교양을 선취한 여성 지식인 작가들은 소설 쓰기를 수행하면서 행복이란 언제나 새롭게 발명되는 것이고, 기존의 방향과 다른 삶이 있음을 확신할 때 얻을 수 있는 정서라는 점을 가장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oncept of happiness reconstructed by female intellectual writers by breaking through and appropriating gender-cultivation through rereading the desires of middle-class intellectual women revealed in women's and family novels in the 1960s. By examining the aspect of female intellectual writers overcoming the gendered fantasy of culture and happiness, they tried to find a way beyond the dichotomous reading of compliance and resistance to the system and gender hierarchy. As part of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the 1960s,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Sweet Home and Happiness work as ideologies and distinguish members of society. Female intellectuals who have secured their identity as cultured intellectuals face the real truth of genderization of culture and genderization of happiness. It will describe how female intellectual writers, who were originally from middle-class families and beneficiaries of modern education, accept and appropriate it to create their own mentalité. Recognizing that happiness is also composed, those who have freedom to live outside the conditions of given happiness and those who reconstruct happiness were presented as female subjects of the 1960s. The move is aimed at capturing the fact that female intellectuals have created true self-fulfilling happiness every moment in that they take their desires to the end to find objects of their happiness. Happiness is something that is empty, something that cannot be fixed. Women newly fix, dismantle, and reconstruct the object of happiness every moment. A good illustration of this is the 1960s women's and family novels. This is because the family depicted as "sweet home" is a socially defined space for happiness, but in the reality of women, life in the family is not a happy space. This is because "sweet home" in the true sense is a space that must be translated into different meanings, and it is also a space that can never be identified. The lives of women who are not intact are eroded by "unfortunate" arising from the contradiction of achieving both traditions that have returned like lame and Western modernization. It is the feeling of "unfortunate" derived from the struggle not to be unhappy to lead their lives while being forced to be "happy." Female intellectuals constantly feel unhappy. To escape misfortune, he serves in happiness-technology with enlightenment optimism, and sometimes abandons expectations for such happiness from the beginning, but eventually proceeds to think about misfortune. Female and family novels in the 1960s are also a kind of 'unhappy archive'. However, if you read it again through "happiness-technology" and reconstructed happiness, you can find the points of cracking left by the writers and points of deviation. Through the re-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this paper attempted to re-nominate the reflective subjects, unfortunate killjoy subjects, and voluntary emotional alienation subjects in the 1960s, which do not match the emotions around them, as ethical subjects that embraced unfortunate beings beyond gender dichotomy. This study adopted the works of Kang Shin-jae, Park Kyung-ri, and Son Jang-soon in the 1960s to emphasize the political and subjective aspects of women's and family novels in the 1960s and actively re-meaning them. Kang Shin-jae, Park Kyung-ri, and Son Jang-soon all grew up to be elite women in the 1930s-1940s and experienced both the Korean War and 4.19 and 5.16, and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works since the 1950s. What the three artists have in common is that, above all, they were grouped together as "women" in the 1960s literature while arranging various groups of characters in a specific space of life, but their literary evaluations are different, and they have a variety of works. Although they were grouped into "women" showing new senses and styles, their works published in the 1960s were often negatively evaluated or omitted from male-centered literature because they were popular and popular. The 1960s was a time when novels were mass-produced as the number of publications of serial novel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Amid these social changes, many female writers have published a series of popular novels. Kang Shin-jae, Park Kyung-ri, and Son Jang-soon published several works not only in popular serial novels but also in pure literature magazines. Their work activities can be said to be nomadic writing that encompasses both short and long stories,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dichotomy system of men's pure literature and women's popular literature. If you read the three authors' 1960s feature and short stories centered on "Women's and Family Novels," you can find that they were already grasping the gendered times and values in the work. Gendered culture and happiness in the novels of the three writers act as an ideology that binds women, but at the same time as a force that enables women to imagine a new community. The "home" space in the ideal modern city they draw seems to be a private space, but these spaces are both a space of life that enables survival and a space that expands into a public space in the sense of the times they have as intellectuals. It is interesting that the three writers reveal the paradox of life that cannot be talked about as one thing while crossing boundaries through novels published in the 1960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ree authors' women's and family novels, it is evaluated as conservative due to popularity and popularity, and the significant points and politics of women's novels in the 1960s, which were omitted between the 1950s and 1970s, can be seen. Each chapter examines the life and happiness of female writers while examining the subjects and family spaces struggling to realize the ideologically constructed illusion of family happiness. Chapter II analyzes the pattern of self-satisfaction by performing happiness cast as a logos, Chapter III analyzes the pattern of self-satisfaction beyond including oneself through happiness performed as an emotional pathos. In Section A of each chapter, the community of emotions, which is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romantic family, was divided into a community of shame, a community of compassion, and a community of pain, and then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Female characters dream of solidarity as a community of shame while serving in order with the fantasy of a romantic family, or after crossing the fantasy of a romantic family, they reject the romantic family and create a new community outside the family system through compassion for themselves and others. Finally, female characters know the impossibility of a romantic family, but reconstruct it, creating a new community of life where they take care of each other and live with others based on pain. Section B confirmed the patterns revealed in various ways as the private space given to women differentiated. In a male-centered society, female characters were asked to stay in private spaces, but they made their spaces diverse into utopian reproduction spaces, atopic spaces, and self-sufficient dystopian spaces. In this space, women reinterpret the paradoxes of vulnerability, negativity, and passivity in the negative axis of dichotomy and present them as answers to life. It is to reveal that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assigned to women are acting on life as a great paradox, while at the same time using them as a new life strategy. We look at the negative aspects and points of awakening of the subject created by the performance of oriented happiness, and the values that paradoxically free women through this. Paragraph 2 attempted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y finding the pattern of a new subject and the direction of life that is newly created as the reinvented happiness is perfo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women's and family novels of the 1960s expressed the remaining desire in a way that was neither complete compliance nor resistance in the demands of the times to ruin women in their homes. Female intellectual writers who preoccupied culture through modernization reveal in the most political and ethical way that happiness is always newly invented and is an emotion that can be obtained when convinced that there is a lif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r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