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구비설화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의 양상과 성 인식 연구

Title
구비설화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의 양상과 성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pect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nd Sexual Perception Shown in Folktales
Authors
한유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진옥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aspect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generally shown in the overall folktales targeting the tales in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also to examine the violent sexual idea inherent in narratives, and the two-faced and contradictory sexual perception of the transmission group. The issue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in folktales, was naturalized or hidden in the narrative level or epistemological level by the male-centeredness in stories, so it has not grabbed attention in the whole processes of transmission, enjoyment, and interpretation. Thu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ully bring up and discuss the issue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targeting the overall folktales. This means the folktales are still contemporary and controversial narratives today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and comprehending the issue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shown in folktales in the feminist perspective and today’s viewpoint. The contents of discussions in each chapter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Ⅰ examined the research flow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and then organized the history of researches on sexual discourse in the oral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researches pointing out the problem of sexual violence. ChapterⅡ classified the types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shown in folktales, and then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12 sub-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objectifying women’s sexuality for achieving men’s desire’, the types of sexual violence shown in folktales were classified into the ‘type of violent satisfaction of instinctive sexual desire’, ‘type of sexual domination through the superiority of gender’, ‘type of imaginary projection of men’s desire’, and ‘type of instrumental objectification for the social system’. In the ‘type of violent satisfaction’, a man raped and killed a woman to satisfy his instinctive sexual desire in narratives, and the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was concealed by men, which was led to the false accusation of another man or confusion of community. In the ‘type of sexual domination’, a man plundered a maiden’s sexuality or remarried to a widow by using the maiden’s sexual ignorance or the widow’s existence who was the weak in community, and the sexual violence was enjoyed as a pleasure of story by the transmission group. In the ‘type of imaginary projection’, the men-centered sexual desire was violently projected into women in stories, and the imaginary desire was shown as marrying to a maiden by making a scandal about the maiden or remarrying to a widow who craved for sex with a man. In the ‘type of instrumental objectification’, the men violently instrumentalized women’s sexuality to maintain their family and to give birth to children, which showed the look of justifying and hiding the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that was socio-structurally naturalized in the aspect of being enjoyed as a beautiful story by the transmission group. ChapterⅢ analyzed the nature and aspect of violent sexual idea inherent in the overall folktales. Verifying the premise of epistemological violence that would view men as a subject and women as an object in every narrative objectifying women, this study examined the violence of narratives that justified and affirmed men’s desire. In narratives, the ‘men’s sexual abuse’ that objectified women’s sexuality for satisfying men’s sexual desire was ‘recognized as a natural instinct’ or ‘rationalized as an element of social maintenance’. The men’s act of plundering women’s sexuality to satisfy their sexual desire was recognized by the idea that naturalized men’s sexual desire in narratives. Also, in case when the plunder of women’s sexuality was accepted as an element for social maintenance such as ‘marriage’ or ‘succession of paternal blood’, the sexual violence was even justified. The ‘men’s desire for being transferred to normality’ was ‘accepted as masculinity’ or ‘admitted as a desire for family composition and succession’ in the patriarchy, which was unilaterally affirmed. In other words, to overcome the obstacle to marriage because of poverty, a male character in narratives accomplished his marriage by making a sexual scandal of a maiden or making a widow as a being subordinate to sexual desire. This kind of men’s imaginary desire was accepted as masculinity in narratives, and the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was also accepted. Also, the men’s desire for achieving the marriage, child birth, and family succession in the patriarchy was accomplished through active cooperation from other men who supported, assisted, and participated in it, which showed the violence that was unilaterally affirmed in narratives. Meanwhile, the women’s sexuality that was instrumentalized for men’s desire was shown as ‘forced silence and adapted response’ and ‘extreme expression of chagrin and anger’. When the women’s response was shown as silence in narratives, it could be interpreted as ‘women’s powerless protest’ against men’s violent act, ‘something to block an ethical controversy’, or being deleted in the narrative level ‘when the women could not make their voice heard in their position’. Even in the situation when the women’s sexuality was violated by men and their independent right of body was damaged, the women just surrendered themselves to this situation or they could not make their voices heard, which fully shows the violence of narrative itself. In narratives, the women’s sexuality was revealed as an extreme image such as a victim killed by an assailant or a revengeful spirit. Showing that this violence could not be solved with an ordinary method, it fully revealed the violence inherent in narratives. ChapterⅣ analyzed the sexual perception and differences in narrator’s narration according to gender of violent sexual structure shown in those narratives, which shows the unique literary controversy of oral literature. The discussions of ChapterⅣ targeted each type of sexual violence classified in ChapterⅡ. First, the narrators’ perception of ‘men’s instinctive desire’ was examined through the ‘type of violent satisfaction’. In narratives, a male character was concluded to be corrected, which showed both male and female narrators were perceiving the male character’s act as ‘something unethical’. However, according to gender, the category of immorality of men’s act was perceived differently. The male narrators narrated a story focusing on the ‘identity of male character’ or ‘existence of male resolver’, and also perceived the bitterness of a man falsely-accused for killing as more important than the chagrin of a woman who was raped/killed.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narrators who showed the narration of problematically perceiving the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raising an objection, formed a controversial relation by revealing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from the group of male narrators. The narrators’ perception of ‘men’s sexual superiority and abuse’ was read through the ‘type of sexual domination’, and through differences in narration according to gender, the controversial point of story was clearly revealed. The part which is subject to a controversy to narrators is eventually the ‘point causing laughs’, and shows the level of different perception of men’s sexual superiority and abuse through differences in narration according to gender. The male narrators narrate that a male character’s sexual plunder awakens a sexual pleasure in a female character, which is used as a pleasure of story.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narrators narrate the ‘protection of woman by deleting the part of sexualizing the woman’ without representing the men’s sexual plunder into scenes. The woman who gets to know the sexual pleasure through a sexual intercourse performed by getting deceived without knowing the meaning of it, cannot be enjoyed by female narrators as something to enjoy. In the ‘type of imaginary projection’ showing the ‘image of women projecting men’s desire’, the male narrators showed the gaze of enjoying it as an interest and pleasure of story. A different gaze is captured in the angle of female narrators. The female narrators revealed a negative gaze on the violence of narratives by identifying themselves with the women, using a narrative strategy for defending/protecting the female characters, or criticizing the men’s unilateral and violent act through the process of recalling the existence of women deleted in narratives. The ‘type of instrumental objectification’ showing ‘woman’s sexuality as a tool for social maintenance’ does not show a single tendency of narration according to gender, which is a controversial narration more than any other types. The group of male narrators not only showed the attitude to mostly accept the violence of objectifying women’s sexuality for social maintenance, but also revealed their negative perception of it. Also, the group of female narrators not only mostly showed the narrative tendency to critically perceive the violent act against women, but also overlooked the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who were objectified as a tool for social maintenance through the image of women who actively supported men’s desire. ChapterⅤ examined how the transmission group’s perception of violence inherent in folktales was continued/changed in the flow of culture, and also examined what kind of prospect would the sexual perception shown in folktales give to the perception of sexual violence in our society of the present time. From old novels to contemporary novels, the male subjects of transmission narrated the issue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y holding on to the men-centered gaze while the female subjects of transmission showed the tendency to make voice about sexual violence in the position of women. In other words, the male subjects of transmission accepted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in the personal, sociocultural, and structural level, by changing the justification within the notion that would naturalize men’s sexual desire and ideology of each time. On the other hand, the voice that criticized this was shown in the female narrators who narrated ‘individual woman’s pain’ in priority. Like this, even today, the violence that is not recognized as violence, and hidden sexual violence are widely shown in the overall society. It would be possible to find a clue to the solution from the voice of female writers who have continuously raised the problem of men-centered violence, and the male narrators who provided different voices in folktales. ;본 연구는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는 설화를 대상으로 구비설화 전반에 보편화되어 나타나고 있는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의 양상을 유형화하고 서사에 내재된 폭력적인 성 관념과 전승집단의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성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비설화에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의 문제는 이야기 안에서의 남성 중심성으로 인해 서사적 차원에서나 인식론적 차원에서 자연화되거나 은폐됨으로써 전승, 향유, 해석의 전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주목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구비설화 전반을 대상으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전면화하는 논의를 시도하였다. 이는 구비설화에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의 문제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독해하고 오늘날의 시각에서 다시 읽기 하는 것으로 구비설화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현재적이고 논쟁적인 서사임을 보여주는 의미가 있다. 각 장별로 진행된 논의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젠더적 시각에서 이루어진 고전문학의 연구 흐름을 살피고 구비문학의 성 담론 연구사 및 성적 폭력의 문제성을 지적한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구비설화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해당하는 12개의 하위 유형의 서사 구조를 분석하였다. 구비설화에 나타난 성적 폭력의 유형은 ‘남성의 욕망 성취를 위해 여성의 성이 대상화되는 방식’에 따라 ‘본능적 성욕의 폭력적 해소형’, ‘젠더적 우위를 통한 성적 지배형’, ‘남성 욕망의 상상적 투사형’, ‘사회적 체계를 위한 도구적 대상화형’으로 분류하였다. ‘폭력적 해소형’은 서사에서 남성이 본능적 성욕을 해소하기 위해 여성을 겁탈·살해해고 이것이 은폐됨으로써 남성 질서에 혼란을 초래하는 이야기이다. ‘성적 지배형’은 남성이 처녀의 성적 무지나 공동체에서 성적 약자인 과부의 존재성을 이용하여 이들을 성적으로 지배하는 이야기로 전승집단에게 소화나 육담으로 향유된다. ‘상상적 투사형’은 허구적이고 상상적인 남성 욕망을 여성에게 폭력적으로 투사하는 유형으로 그 욕망은 처녀를 추문화된 존재로 만들어 혼인하거나 성행위를 갈구하는 과부와 재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구적 대상화형’은 남성들이 가문을 유지하고 자식을 출산하기 위해 여성의 성을 폭력적으로 도구화하는 이야기로 전승집단에게 미담으로 향유된다는 점에서 사회구조적으로 자연화된 여성에 대한 성폭력이 정당화되고 은폐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구비설화 서사 전반에 내재된 폭력적인 성 관념의 성격과 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성을 대상화한 모든 서사에는 남성을 주체로 여성을 대상으로 보는 인식론적 폭력성이 전제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남성의 욕망을 정당화하고 긍정하는 서사의 폭력성을 살펴보았다. 남성이 성욕 충족을 위해 여성의 성을 대상화하는 ‘남성의 성적 남용’은 서사 안에서 ‘자연적 본능으로 인정’되거나 ‘사회 유지 요소로 합리화’ 되었다. 남성이 성욕을 해소하기 위해 여성의 성을 침탈하는 행위는 남성의 성욕을 자연화한 관념에 의해 서사 내에서 인정되었다. 또한 여성에 대한 성적 침탈이 ‘혼인’이나 ‘부계 혈통의 계승’과 같은 사회 유지를 위한 요소로 수렴될 때에는 성적 폭력이 정당화되기까지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남성이 정상성에 편입하고자 하는 욕망’은 가부장제에서 ‘남성성으로 수용’되거나 ‘가계 구성과 계승 욕망으로 용인’되면서 일방적으로 긍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즉 서사에서 남성인물은 가난으로 인한 혼사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처녀를 성적으로 추문화된 존재로 만들거나 과부를 성욕에 종속된 존재로 만들어 혼인을 성취하는데, 이러한 남성의 상상적이고 허구적인 남성 중심적 욕망이 서사에서 남성성으로 수용된 것이다. 또한 가부장제에서 혼인, 자식 출산, 가계 계승을 이루기 위한 남성의 욕망은 이를 응원하며 협조하고 가담하는 또 다른 남성들의 적극적 공조를 통해 성취되며 서사 내에서 일방적으로 긍정되는 폭력성을 보여주었다. 한편 남성 욕망을 위해 도구화된 여성 섹슈얼리티는 ‘강제된 침묵과 순응의 반응’과 ‘원통과 분노의 극단화된 표출’로 나타났다. 서사에서 여성의 반응이 침묵으로 나타나는 것은 남성의 폭력적 행위에 대한 ‘여성의 항변이 무력’하거나 ‘윤리적 논쟁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거나 ‘여성이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위치’에 있을 때 서사적 차원에서 삭제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는 자신의 성이 남성에 의해 침해되고 몸의 주체권이 훼손되는 상황에서 목소리조차 낼 수 없는 억압적이고 그 자체로 폭력적인 서사의 성 관념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이다. 서사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가해자에 대한 살해이나 참혹한 원혼의 형상과 같이 극단화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남성의 성적 폭력이 일상적 방법으로는 해결 불가능한 것이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서사에 내재된 폭력성을 드러낸다. Ⅳ장에서는 이들 서사에 나타난 폭력적인 성적 구도에 대한 젠더에 따른 화자의 구연 차이와 성 인식을 분석하였는데, 이는 구비문학 특유의 문학적 논쟁을 보여주는 의미가 있다. Ⅳ장의 논의는 Ⅱ장에서 분류했던 성적 폭력의 각 유형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남성의 본능적인 욕망’에 대한 화자의 인식은 ‘폭력적 해소형’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서사에서 여성을 겁탈·살해한 남성이 반드시 징치된다는 점에서 남녀 화자 모두 남성인물의 행위를 ‘비윤리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젠더에 따라 남성 행위의 비윤리성의 범주를 다르게 인식하는 차원이 나타나는데 남성화자는 ‘남성인물의 신원’이나 ‘남성 해결자의 존재’에 초점을 둔 서사를 구연함으로써 여성의 원통함보다는 살해 누명을 쓴 남성의 억울함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반면 여성화자는 이에 반론을 제기하며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을 문제적으로 인식하는 구연을 보임으로써 남성화자 집단과 논쟁의 관계를 형성했다. ‘남성의 성적 우위와 남용’에 대한 화자의 인식은 ‘성적 지배형’을 통해 읽어보았는데 이 유형은 특히 남녀화자의 구연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남으로써 이야기의 논쟁적 지점을 선명히 보여주었다. 화자들에게 논쟁의 대상이 되는 부분은 궁극적으로 이야기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지점’으로 이는 남녀 화자별로 다른 인식의 차원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남성화자는 남성인물의 성적 침탈이 여성인물에게 성적 쾌감을 일깨워준 것으로 구연하며 이를 이야기적 쾌락으로 삼는다. 반면 여성화자는 남성의 성적 침탈을 장면화하지 않고 ‘여성이 성애화되는 부분을 삭제하여 여성을 보호’하는 구연을 하는데 이는 성관계의 의미도 모른 채 속아서 한 성행위에서 쾌락을 느끼는 여성 존재는 여성화자에게 유희거리로 향유할 수 없는 내용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남성의 욕망이 투사된 여성 형상’이 나타나는 ‘상상적 투사형’에서 남성화자는 이를 이야기적 쾌락과 흥미로 향유하는 시선을 보여주었다. 이와 다른 시선의 차원은 여성화자의 각편에서 포착되는데 여성화자들은 여성의 입장에 동일시하며 여성인물을 변론하고 보호하는 구연 전략을 사용하거나 서사에서 지워진 여성 존재를 소환하여 남성의 일방적이고 폭력적인 행위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제시하기도 하면서 서사의 폭력성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드러냈다. ‘사회 유지 도구로서 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을 읽어볼 수 있는 ‘도구적 대상화형’은 젠더에 따라 구연의 경향이 단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그 어떠한 유형보다도 논쟁적인 서사이다. 사회 유지를 위해 여성의 성이 대상화되는 폭력성을 대체로 용인하는 태도는 남성화자 집단에게서 보이지만 동시에 이에 대한 반론도 남성화자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여성 화자집단은 대체로 여성에 대한 폭력적 행위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구연 경향을 보이면서도 남성의 욕망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여성 형상을 통해 사회 유지 도구로서 대상화되는 여성의 성적 폭력성은 용인하는 인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Ⅴ장에서는 구비설화에 내재한 폭력성에 대한 전승집단의 인식이 문화적 흐름 속에서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했는지를 살피고, 구비설화에 담긴 성 인식이 오늘날 우리사회의 성적 폭력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전망을 줄 수 있는지를 짚어보았다. 고소설에서 현대소설에 이르기까지 남성 전승 주체들은 남성 중심적 시선으로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을 묵인하거나 조장하는 방향으로 성적 폭력의 문제를 서사화하였으며, 여성 전승 주체들은 여성의 입장에서 성적 폭력성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드러내는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즉 남성 전승 주체들은 각 시대의 이념 안에서 그 명분을 달리하며 여성의 성적 대상화를 개인적이고 사회문화적이며 구조적인 차원에서 용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는 여성 개인의 고통을 중점적으로 서사화한 여성 전승 주체들에게서 나타났다. 오늘날의 사회 현실에서도 그것이 폭력으로 인지되지 못하거나 은폐되며 여성 살해와 같이 여성의 존재성이 무시된 성적 폭력이 여전히 사회 전반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남성 중심적 폭력성에 꾸준히 문제를 제기해온 여성 전승 주체들의 목소리, 그리고 구비설화에서 다른 목소리를 들려주었던 남성화자에게서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