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자아의 시간성과 초시간성의 종합

Title
자아의 시간성과 초시간성의 종합
Other Titles
Synthesis of Temporality and Super-temporality in the “Self” : Focused on Time-consciousness in Husserl’s Phenomenology and ālayavijñāna in Yogācāra(Consciousness-Only) Buddhism
Authors
김도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자경
Abstract
본 연구는 자아의 시간성과 초시간성이 어떤 방식으로 종합될 수 있는지에 후설의 시간의식과 유식의 아뢰야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답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시간성은 ‘변화하는’, ‘생멸의’, ‘흐름을 이루는’, ‘선(線)적인’ 등을, 초시간성은 ‘토대적인’, ‘불생멸의’, ‘흐름을 넘어서 있는’, ‘점(點)적인’ 등의 규정을 통칭하는 것이다. 서양철학 내에서는 흔히 자아가 시간적이고 역사적으로 구성된다는 입장과, 초시간적이며 토대적인 극(極, Pol)이라는 입장이 맞서왔다. 그러나 이러한 두 규정이 모두 완전히 잘못된 견해가 아니라면, 양 극은 자아라는 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종합되어야 하는가가 문제가 된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시간의식과 아뢰야식에서 시간성과 초시간성은 독립된 별개의 것이 아니라, 시간성은 초시간성의 발현이며 초시간성은 근원적 시간성이라는 점을 밝힌다. 먼저 시간의식에 대한 분석에서 절대흐름은 자아의 시간성을 드러낸다. 절대흐름은 내재적, 객관적 시간대상을 구성하는 초월론적 주관에 해당된다. 시간의식으로서 절대흐름은 <파지-근원인상-예지>라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중적 지향성을 통해 대상과 또한 스스로를 구성한다. 이때, 대상구성과 자기구성은 서로를 요구하는 관계에 있다. 이러한 절대흐름의 대상 및 자기구성, 나아가 자기시간화를 통한 자기반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살아있는 현재’이며, 이것이 시간의식에서의 자아의 초시간성에 해당된다. 이때 살아있는 현재는 그 자체로는 흐름 속에 있는 것이 아니지만 절대흐름의 자기구성 및 자기시간화의 근거가 되며, 절대흐름은 살아있는 현재의 무한한 반복으로 구성된다. 아뢰야식에서는 종자의 흐름이 자아의 시간성을 드러낸다. 현행식이 종자로 훈습되고 종자가 다시 현행식을 생하는 순환적 과정이 매순간 무한히 반복됨은 아뢰야식의 역사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시간성을 가진 종자를 근거로 하여 식 자체분이 인식주관인 견분과 대상인 상분으로 이원화된다. 한편 아뢰야식에서 자증분은 이러한 종자의 흐름을 간직하고 있으면서 견분과 상분으로 이원화되기 전의 식체(識體)이다. 이는 견상분이 공통으로 의거하는 바이며, 기억작용이 가능하도록 인식주관인 견분 자체를 대상으로 반연하여 ‘스스로’의 것으로 아는 ‘자기지’를 갖는다. 이러한 자증분의 자기지는 아뢰야식의 초시간성에 해당되며, 종자의 흐름과 그 흐름을 통해 생겨난 견분과 상분 이전의 것이지만, 더불어 이러한 식소변이 의거하는 바이자 끊임없는 종자의 흐름 자체를 계속되게 하는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종자의 흐름과 자기지 혹은 ‘본각’ 사이에는 불일불이(不一不二)의 관계가 성립한다. 마지막으로, 시간의식과 아뢰야식에서의 시간성과 초시간성의 종합을 비교할 것이다. 우선 시간적 측면에서, 초월론적 구성을 수행하는 절대흐름과 종자의 흐름의 구조를 대응시켜 보면서 절대흐름의 자기구성이 대상구성과 뗄 수 없다는 것, 또한 종자의 상속은 현행된 식으로부터의 훈습을 필요로 하며 종자와 현행식은 동시에 발생한다는 것 등을 비교한다. 다음으로 초시간적 측면에서는 살아있는 현재와 자증분의 자기지를 대응시키며, 이때 결국 자아의 시간성과 초시간성의 종합은 근본적으로는 ‘현재’의 시간성과 초시간성의 종합으로 이어지며 이 문제를 종적 흐름과 횡적 흐름의 구분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논한다. 그러나 두 철학에서 이 근원자아인 ‘현재’를 그 자체로 지각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견해가 달라진다. 현상학에서는 자아 혹은 주관을 탐구하는 방식이 ‘반성’이며 반성을 통해서는 살아있는 현재를 그 자체로 인식할 수 없는 반면, 유식을 비롯한 불교에서는 근원적 자기지에 대한 직접지각이 가능함을 논하고 있음에서 그 차이를 보인다. 결론적으로 두 철학은 자아의 시간성과 초시간성이 논리적으로는 구분될지라도, 현상적으로는 서로 다르지 않은 관계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두 철학에서의 ‘시간성’과 ‘초시간성’은 서양철학의 관점 하에, 현대적 의미에서 자아가 역사적으로 구성된다는 것과, 근대적 의미에서 자아가 토대적인 극이라고 말하는 것과는 다름을 알 수 있다. 시간성과 초시간성은 서로를 배제하거나 한쪽이 다른쪽을 지배하는 관계가 아니라, 시간성이 곧 초시간성의 분출, 드러남이며, 초시간성은 시간흐름이 가진 근원적 시간성인 것이다. 나아가 두 철학에서의 근원적 자아는 반성되지 않는 자아이기에, 신체와 정신, 수동성과 능동성 등의 어느 하나로 ‘반성적인’ 방식으로는 규정지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종합은 실천적으로는 자유와 필연, 이상과 현실 등의 이분법은 삶에서 어떻게 종합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통찰을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how the temporality and super-temporality of the self can be synthesized through an Husserl’s analysis of the time consciousness and the ālayavijñāna in Yogācāra(Consciousness-Only) Buddhism. Here, temporality refers to attributes such as 'changing', 'flowing', and 'linear', whereas super-temporality refers to attributes such as 'foundational', 'unchangeable', 'beyond the flow', and so on. In Western philosophy, there has been conflicts between the position that the self is formed with time and history and the position that it is a super-temporal and fundamental point. However, if both of these are not completely wrong views, the question is how these two aspects should be synthesized in the field of the self. In response, this paper reveals that temporality and super-temporality are not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one another, but rather that temporality is the ‘appearance’ of super-temporality and super-temporality is the ‘fundamental temporality’ of time flow itself. First, in the analysis of time-consciousness, absolute flow reveals the temporality of the self. Absolute flow is the transcendental subjectivity that constitutes an immanent and objective time. As a consciousness of time, absolute flow has structure, and through dual intentionality, both objects and the flow itself are constituted. At this time, the object-constitution and the self-constitution are in a relationship that requires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t is the 'living present' that enables the object-constitution and self-constitution of the absolute flow and also self-reflection or self-temporalizing of it, which corresponds to the super-temporal aspect of the self in the time-consciousness. The living present itself is not the temporal element of the flow, but is the basis for the self-constitution and temporalization of the absolute flow, and the absolute flow consists of infinite repetition of the living present. In ālayavijñāna, the flow of seeds[種子] reveals the temporality of the self. The cyclical process in which the current experience[現行識] is imprinted as a seed and the seed is realized as the current experience is repeated infinitely every moment, revealing the historicality of the ālayavijñāna. And based on these temporal seeds, the consciousness[識] itself is divided into the subjective part[見分] and the objective part[相分]. On the other hand, self-authenticating part[自證分] is the whole part of the consciousness that retains this flow of seeds before it is dualized into the subjective part and the objective part. These two parts are commonly grounded on it, and in order to enable self-memory, it should have 'self-knowing[自己知]' that encompasses the subjective part itself. The self-knowing of this self-authenticating part corresponds to the super-temporal aspect of ālayavijñāna and is beyond the objects and phases generated through the flow of seeds, but it can also be said that it is the basis that these objects are grounded on, and makes constant flow of seeds itself become possible. In other words, a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of seeds and the self-knowing or 'original awakening[本覺]’ is neither the same nor different[不一不二]. Finally, I will compare the synthesis of temporality and super-temporality of the self in these two phiosophies. First of all, in terms of temporality, it is argued that transcendental subjectivity itself is historically constituted according to the fact that the self-constitution of the absolute flow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object-constitution, and that the inheritance of seeds also requires to be imprinted from the current experience. In terms of super-temporality, the living present of time-consciousness and self-knowing of ālayavijñāna is compared, and in the end, the problem of synthesizing temporality and super-temporality in the self, fundamentally leads to the problem of synthesizing these two in 'present', and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longitudinal flow and transverse flow. However, views between the two philosophies differ as to whether this original self or 'present' can be perceived in itself. This shows the difference in that the method of examining self or subjectivity in phenomenology is 'reflection', and the living present cannot be recognized by itself through reflection, while Buddhism, including Yogācāra, discusses that direct perception of fundamental self-knowing is possible.  In conclusion, the two philosophy reveal that although the temporality and super-time of the self are logically distinguished, they are in a relationship that is not phenomenally different. It can be seen that 'temporality' and 'super-temporality' in the two philosophies are different from temporally in a comtemporary sense and super-temporality in a modern sense respectively. These two aspects are not in a relationship that excludes each other or where one side dominates the other, but rather temporality is the revelation of super-temporality, and super-temporality is the fundamental temporality of temporal flow. Furthermore, the original self in both philosophies cannot be defined in a 'reflective' way as either ‘body and spirit’, ‘passivity and activity’ and so on. Finally, in practice, it gives insight into how dichotomy such as freedom versus necessity, or ideal versus reality should be synthesized in our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