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상호적 드럼 연주 유형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대인간 동기화 수준 비교

Title
상호적 드럼 연주 유형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대인간 동기화 수준 비교
Other Titles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Type of Dyadic Drumming Task
Authors
하은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는 상호적 드럼 연주 유형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수행력을 비교하여 실제 대인간 동기화 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는 통합학급이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만 7세에서 만 13세 사이의 ASD 아동 11명으로 1시간씩 1회, 개별 형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상호적 드럼 연주는 자발성의 유무에 따라 지시된 드럼 연주와 자발적 드럼 연주로 구성되었으며, 지시된 드럼 연주에서는 연구자의 드럼 연주에 맞춰 연주하라는 지시가 대상자에게 제시된 반면 자발적 드럼 연주에서는 드럼을 연주하라는 지시만 제공되고 연구자의 드럼 연주에 맞추라는 지시는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음악적 큐의 유무에 따라 각 드럼 연주를 수행하였고, 이때 느린 속도(60bpm), 빠른 속도(120bpm), 속도 조정(120bpm→60bpm)의 조건으로 드럼 연주의 속도가 제시되었다. 대인간 동기화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전자드럼패드와 Cubase-MIDI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드럼 연주 시 출력되는 아동의 연주 패턴을 데이터하여 기록하였고, 이에 따른 대인간 동기화 오류 및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최종 수집된 데이터는 자발성 조건 및 음악적 큐 조건에 따른 대인간 동기화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 t-검정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음악적 큐가 제공되었을 때, ASD 아동의 대인간 동기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발적 동기화 조건에서는 빠른 속도(120bpm)와 속도 조정(120bpm→60bpm)에서 대인간 동기화 오류가 줄었으며, 지시된 동기화 조건에서는 느린 속도(60bpm)에서 대인간 동기화 오류가 줄어들었다. 또한 속도 조정 조건에서의 대인간 동기화 반응시간의 경우, 음악적 큐가 제공되었을 때 대인간 동기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발성 조건과 음악적 큐 조건에 따른 대인간 동기화 수준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음악적 큐의 제공 유무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적 큐에 따라 대인간 동기화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며, 특히 속도 조정에 따른 대인간 동기화 반응시간에 차이가 나타나 대인간 동기화에 개입에 있어 리드믹 큐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발성 조건에 따른 ASD 아동의 대인간 동기화 수준을 비교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근거로 대인간 동기화 수준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level of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type of dyadic drumming task. Participants were 11 children with ASD, aged 7 to 13 years old who are enrolled in integrated or special classes, and were conducted once an hour each in individual form. The dyadic drumming task in this study consisted of spontaneous drumming task and intended drumming task. Each drum was played with or without a musical cue, and the speed of the drum was presented under the conditions of slow speed(60bpm), fast speed(120bpm), and speed adjustment(120bpm→60bpm).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the electronic drum pad and Cubase-MIDI program were connected to record the children’s drumming patterns, accordingly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errors and reaction time were measured. The fin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two-way ANOVA to compare the level of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under spontaneity and musical cue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SD children’s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level increases when providing musical cue(Under spontaneous synchronization,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errors decreased at fast speed and speed adjustment, and under intended synchronization,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errors decreased at slow speed). In addition, reaction time in speed adjustment conditions, it can be seen that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takes place quickly when musical cue is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difference in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level between musical cue,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reaction time due to speed adjustment, and the importance of rhythmic cue in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interven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comparing the level of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among ASD children,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understand the level of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Future studies would be need to confirm its difference with larger sample size and prepare objective data on the level of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of ASD children by grasp the level of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for ordinary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