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최정희 소설의 여성 섹슈얼리티 연구

Title
최정희 소설의 여성 섹슈얼리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emale Sexuality in Choi Jeong-hee's Novels
Authors
원양해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에 협력하는 작가로 비판받아왔던 최정희가 지배 담론을 모방하는 듯한 입장을 취하면서도 그것에 균열을 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때 성 의식은 최정희의 문학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모티프로, 최정희는 근대적 여성인물의 욕망에 천착하여 소설을 창작하였다. 중요한 것은 소설에 나타나는 성적 모티프가 단순히 생물학적 본질성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담론이 교차하며 구성된다는 점이다. 즉 섹슈얼리티는 단순히 성적 충동과 욕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만들어진 구성물이며, 다양한 정치적 개념들과 연계될 수 있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의 구분을 폐기하고, 섹슈얼리티 또한 자유롭게 움직이는 인공물이라고 주장한 주디스 버틀러의 입장과 같이 현대의 성 담론은 구성주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섹슈얼리티 연구는 사회문화적인 젠더 관계를 포함하고, 다양한 방법론과 결합하여 보다 넓은 시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섹슈얼리티가 개인의 사적인 욕망을 드러내는 동시에 공적인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최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는 최정희 소설의 여성 섹슈얼리티를 개인의 영역에서의 몸, 가족의 영역에서의 모성, 그리고 국가의 영역에서의 정동이라는 세 가지의 층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개인의 영역에 주목하여 개인을 세상과 연결시켜주는 가장 일차적인 존재인 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별 주체는 몸을 가지고 세상에 왔으며, 몸을 통해 자아 외부와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기 때문에 몸을 살펴보는 작업은 개인이 사적인 욕망과 공적인 질서 사이에서 어떻게 주체화 혹은 타자화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팔루스-로고스 중심주의 하에서 여성의 몸은 지배 질서의 원리가 각인되는 장이었으며, 이에 따라 여성은 독자적인 욕망을 차단당해왔다. 최정희는 몸을 통해 표출되는 병리화된 섹슈얼리티를 재현함으로써 남성의 지배에 종속되는 여성의 모습을 폭로하였다. 그러나 권력이 있는 곳에는 저항도 있듯, 최정희는 여성이 몸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고 주체성을 회복하는 모습 또한 서사화한다. 최정희의 여성들은 몸을 경유한 성찰성을 통해 기존의 체제로부터 탈주하거나 스스로의 독자적인 욕망을 발견하고 실천한다. 따라서 성찰적 섹슈얼리티는 여성으로 하여금 몸에 대한 주체성을 되찾고 역전과 탈주를 수행하는 능동적 주체로 거듭나도록 한다. Ⅲ장에서는 가족의 영역에 집중하여 여성이 부여받은 가장 중요한 역할인 모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사에서 최정희 문학의 여성성은 주로 모성으로 환원되어 왔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최정희 소설의 성 의식을 간과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고는 어머니로서의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성적 모티프에 주목하여 ‘여성’과 ‘모성’이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가부장제의 모성신화에 따라 여성은 자율적인 섹슈얼리티를 무화하고 오직 가정에만 헌신하는 정숙한 어머니가 되어야만 했다. 최정희는 가족 이데올로기가 창출한 모성 개념에 순응하는 듯한 포즈를 취함으로써 남성 중심의 문단에서 인정받는 작가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최정희가 모성으로 귀결되는 듯한 서사의 이면에 여성의 성적 욕망을 배치함으로써 지배 담론과 불화하는 서사를 구현했다는 점이다. 모성은 가족 이데올로기가 창출한 구성적 개념이며, 최정희는 제도화된 모성이 아닌 여성이 스스로 경험하는 여성 중심의 모성을 포착하였다. 여성 중심의 모성은 여성으로 하여금 박탈되었던 욕망을 회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최정희는 위반적 섹슈얼리티를 체현하는 어머니를 묘사함으로써 모성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여겨졌던 ‘여성’을 재전유하고 모성신화를 해체한다. Ⅳ장에서는 국가의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수직적인 국가 권력의 포섭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인 정동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일제로 인해 수입된 파시즘적 사회 시스템은 해방 이후 청산되지 않고 오히려 강화되어 한국 사회를 작동시키는 만성화된 매커니즘으로 자리 잡았다. 파시즘은 성노예화와 비국민화를 주요한 통치 기제로 삼았으며, 이에 따라 여성은 민족 남성 중심의 국가를 만들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포착한 최정희는 상품화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재현하여 여성이 구성적 외부(constitutive outside)로서 국가에 포섭되는 현실을 폭로하였다. 그러나 최정희의 여성들은 위계적인 국민국가로부터 벗어나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나가고자 하는데, 이때 정동은 기존의 관념을 가로질러 끊임없는 변화와 이행을 유발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힘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여성들은 횡단적 섹슈얼리티를 체현함으로써 대문자 여성의 이미지로부터 탈피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다스려질 수 없는 주체(ungovernable)’이자 복수적인 차이를 긍정하는 ‘유목적 주체’로 재의미화된다. 이는 여성으로 하여금 정동적인 연대로 나아가도록 하여 주류적인 세계 안에서 기존의 것과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세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최정희 소설의 여성 섹슈얼리티를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하는 작업은 개별 주체의 자아 정체성과 욕망, 그리고 사회적인 규범이 각축하고 연결되는 현장을 살필수 있도록 한다. 최정희는 여성이 섹슈얼리티를 통해 남성 중심적 질서에 타자로서 포섭된다는 점을 고발하고, 그러한 억압을 극복하여 자아 정체성과 주체적인 욕망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즉 최정희는 여성 섹슈얼리티가 지닌 양가성을 다각적으로 조명함으로써 기존 체제의 현실을 폭로하면서도 그에 대한 전복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지닌 전복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은 여성으로 하여금 동일자의 타자가 아닌 여성으로서의 타자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여성과 사회의 관계를 고찰하도록 하는 정치적인 개념으로서의 섹슈얼리티를 다각적으로 조명하고자 한 본고의 작업은 그동안 지배 담론에 순응하는 여성작가로 평가받아왔던 최정희의 문학을 재사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최정희가 구현한 여성 주체의 복합적인 측면을 재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Choi Jeong-hee, a female writer who has been criticized for advocating male-centered ideology, actually tried to breach it while taking a position that seemed to imitate the dominant discourse. This study points out that sexual awareness is a key theme that penetrates Choi's literature. Choi creates her work based on the desire of a modern female charact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exual motives appearing in the novel are not simply based on biological essence, but are constructed by intersecting social and historical discourses. In other words, sexuality does not simply refer to sexual impulses and desires, but is a sociocultural component and a complex conception that can also be linked to various political concepts. Contemporary sex discourse takes a constructivist position, as Judith Butler who discarded the distinction between sex, gender, and sexuality argued that sexuality is also a freely moving artifact. Therefore, research on sexuality should include sociocultural gender relationships and be conducted from a broader perspective in combination with various methodologi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emale sexuality appearing in Choi Jeong-hee's novels from various perspectives, focusing on the fact that sexuality is a concept that reveals personal desires and is influenced by social ideology.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sexuality of Choi's work in three layers: the body in the individual domain, the motherhood in the family domain, and the affect in the national domain. Chapter II which focuses on the individual domain, analyzes each individual in terms of their body, the most primary being that connects individuals to the world. Since individuals inevitably come to the world with their bodies and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m, examining the body gives insight into how individuals are subjectified or otherized between personal desires and public rules. However, under the Phallus-Logos centrality, female body was a subject on which the principle of the dominant rule is imprinted, and accordingly, women were deprived of their rights to pursue their own desires. Choi exposed how women were being subordinated to male domination by showing the pathologized sexuality expressed through the body. However, just as there is resistance where there is power, Choi also sheds light on women who form self-identity through their bodies and restore their subjectivity. Choi's women break free from the existing system or discover and practice their own desires through reflexivity realized via their bodies. Thus, reflexive sexuality allows women to regain their subjectivity of the body and to be reborn as active subjects who perform reversal and escape. Chapter III focuses on the family domain and the analysis centers around motherhood, the most important role assigned to women in patriarchal society. In previous researches, the femininity of Choi's literature has been mainly reduced to motherhood, and this tendency has led researchers to overlook the sexual awareness in Choi 's novels. So this paper focuses on sexual motives that appear in women as mothers and reveals that “women” and “motherhood” are not conflicting concepts. Due to the maternal myth prevalent in the patriarchal society, women were forced to become virtuous mothers who neutralized sexuality and entirely devoted themselves to their families. Choi has become a recognized writer in a male-centered literary circles by posing as if she conforms to such maternal myth.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Choi carefully places women’s sexual desires beneath the narrative that seems to conclude to motherhood to successfully embody a narrative that disagrees with the dominant discourse. Motherhood is a constructive concept created by family ideology, and Choi captures the female-centered rather than institutionalized motherhood experienced by women themselves. Female-centered motherhood allows women to recover their deprived desires, and accordingly, Choi re-appropriates the concept of “women,” which has previously been considered contrary to motherhood, and dismantles motherhood myths by showing mothers who embody transgressional sexuality. Chapter IV focuses on the national domain and analyzes Choi’s work focusing on affect, a force that allows individuals to be freed from the hierarchical state power. The fascist social system imported under Japanese imperialism has not been liquidated after liberation, but rather strengthened, establishing itself as a chronic mechanism that operates Korean society. Sexual enslavement and de-nationalization were the main mechanisms of fascism and women were used as a tool to create a male-centered nation. Choi wrote about the sexuality of commercialized women to expose the reality where women were being included in the state as a “constitutive outside.” However, Choi's women try to escape from the hierarchical national state and find their own identity, where affect acts as a force to induce constant changes across existing ideas and also to bring out new possibilities. As a result, by embodying transversal sexuality, women can break away from the image of capital women and be reborn as an “ungovernable subject” and a “nomadic subject” that affirms differences. This allows women to move toward affective solidarity so that they can build a new world in another way within the mainstream world. In all, analyzing the female sexuality of Choi's novels in various areas allows the examination of the self-identity and desires that individual subjects possess, and the scene where social norms compete and coincide with one another. Choi reveals that women experience othering in the male-centered society through sexuality, and also shows that they can overcome such oppression to restore self-identity and subjective desires. In other words, Choi reveals the reality of the society by shedding light on the ambivalence of female sexuality in various ways and at the same tim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In particular, the subversive and practical aspect of female sexuality allows women to stand on their own feet as “the Other woman” rather than as “the Other identity.” Therefore, this paper, which aims to analyze sexuality as a political concept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the society, will allow reconsideration of Choi Jeong-hee's literature and also the dynamics that exists within her embodiment of the female subj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