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5 Download: 0

전봉건 시의 환유 시학 연구

Title
전봉건 시의 환유 시학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tonymy poetics of Jeon bong-gun’s poetry
Authors
김선빈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끝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봉건의 시를 환유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시적 주체의 분열적인 양상과 비약적인 시의 서사를 재의미화 하고, 더불어 새로운 시적 현실을 구축하고자 했던 전봉건 시의 작동 원리를 밝히는 데 있다.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에서 전봉건의 전기 시의 시적 주체는 불완전하며 극복되어야 할 표상으로 인식되어 왔다. 후기 시의 시적 주체가 완전하고 치유된 양상을 보인다는 판단 아래 전기 시는 후기 시로 이르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만 그 가치가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전봉건의 시가 전반에 걸쳐 불완전하고 분열적인 양상을 보인다고 보고, 그러한 양상이 전위적이고 현대적인 전봉건의 시 세계를 집약하는 표상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을 밝혀보았다. 인접성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환유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통일성을 해체하고, 새로운 경험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특성을 보인다. 환유는 세계를 불확실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해하려는 근본적인 의도를 가진 인식론이기 때문이다. 환유를 통해 전봉건의 시를 살펴보는 작업은 지금껏 파편화된 방식으로 언급되는 것에서 그쳤던 전봉건의 시의 다양한 특성들을 엮어 의미화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Ⅱ장에서는 은유적 총체성을 부정하고 주체의 분열적인 양상을 드러내는 연쇄(連鎖)의 환유를 중심으로 전봉건의 시를 독해해보았다. 기표의 변주를 통해 이어지는 연쇄의 환유는 전봉건 시의 시적 주체의 언술 구조를 입체적으로 형성한다는 점을 살폈다. 또한, 전봉건의 시적 주체가 반복적인 증언으로 ‘의식’을 행하듯 전쟁 체험을 진술한다는 점을 통해 시적 주체가 분열적인 양상을 보이며 현실을 인식하고자 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Ⅲ장에서는 시적 문맥을 재맥락화 하고 비약적인 서사를 구성하는 이접(異接)의 환유를 중심으로 전봉건 시의 시적 주체가 현실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표와 기표 간 인접성의 폭이 넓고, 심지어는 상반되는 의미의 연결까지를 포괄하는 이접의 환유는 시의 서사를 비논리적으로 구성하고 재맥락화 한다. 전봉건이 이접의 환유를 통해 ‘장난’으로 대표되는 유희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전쟁의 상처를 회복하는 것을 넘어 초월하고자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봉건의 시에 드러나는 전위적인 면모를 발견해보았다. Ⅳ장에서는 시적 현실을 재구축하고 서정을 현대화할 수 있게 하는 연접(連接)의 환유를 통해 전봉건이 시적 현실을 구축하는 양상을 살폈다. ‘되풀이’를 통한 연속적인 이미지의 나열로부터 발생하는 창조적인 면모가 새로운 현실을 상상하게 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모더니즘적 면모와 서정성을 겸비하였다는 단순한 평가에 머물렀던 전봉건 시의 서정성을 새로이 의미화해보았다. 결과적으로 환유 시학을 중심으로 전봉건의 시를 살펴보면서 그가 전쟁 이후 현실 속에서 현대시의 위치와 입장을 치열하게 고민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고민을 시로 형상화하며 서정적 모더니티를 탄생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폐허가 된 현실을 인식하고, 그것에 대응하며, 새로운 현실을 구축하고자 했던 전봉건의 시세계를 세 가지 유형의 환유를 통해 각각 살피고 그 의의를 밝혀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redefine the fragmented aspects and rapid poetic narrative of the poetic figure by looking at his works through metonymy but also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his poems that had tried to construct a new reality. So far, most studies have recognized the figures in his pre poetry as a representation that needs to be overcome. This is because his early poems have been considered a process to reach his late poetry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poetic figure of his late poetry shows complete and restoring aspects.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verall poems of Jeon Bong-gun generally demonstrate incomplete and fragmented aspects throughout his all works. It is fairly clear that these aspects have to be considered not a state to be overcome but an important representation that can integrate his radical and modernistic poetic world. Metonymy powered by adjacency has a feature that it disrupts unity in between the original idea and supplementary thoughts, and a construct new experience world rather than integrating it as a united system. This suggests that metonymy is epistemology inclined to not only consider and but also try to interpret the world as something incomplete. This study will identify a mechanism that integrates his various features in his poetry that has been remarked in a fragmented manner. Chapter Ⅱ denies metaphoric unity and covers the poet's works based on the metonymic chain that shows fragmentation aspects. First of all, it is assumed in the study that the metonymic chain that proceeds through variation of signifiers can make poetry structure of poetic subject in three dimensions. Also, it is noteworthy that the poetic subject of the poems tries to recognize the reality with the subject showing fragmented aspect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ubject states its war experiences as if it performs rituals through repetitive statements. Chapter Ⅲ looks at the way that the poetic subject responds to reality based on disjunctive metonymy that re-conceptualizes poetic context and makes up a rapid narrative. Disjunctive metonymy that has broad adjacency between one signifier to another signifier and even includes connection of conflicting words builds up the poetic narrative illogically and re-conceptualizes it. The paper suggests that the way the poet responds to devastating reality can translate to a playful manner represented as 'play', making efforts to transcend wounds from war beyond recovering from it. In addition to this, the paper looks into radical aspects that can be seen in the works. Chapter Ⅳ examines the aspect that the poet builds up the poetic reality by tapping into connecting metonymy that makes it possible to reconstruct poetic reality and modernize lyricism. It is worth taking a look at the fact that creative aspects caused by listing consecutive images through 'reiteration' make it possible to imagine a new reality. This aims for his works to carry new meaning about the lyricism of the poet's works that have been assessed that his works are only lyrical in terms of modernistic aspects. Therefore, studying the poet's works based on metonymic poetics allows knowing the fact that he had made efforts not only to understand and embody positions and stances of modern poetry during devastating reality caused by wars but to create lyrical modernity. In addition, metonymy in his works allows identifying the fact that the poet recognized the reality as ruins and had made an effort to respond to it by creating a new reality throughout his work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worth taking a look at poetic mechanism found in his po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