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다문화협동조합의 상호문화적 교류와 사회통합적 시사점 연구

Title
다문화협동조합의 상호문화적 교류와 사회통합적 시사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cultural Exchange and Social Integration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Cooperatives
Authors
김서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presents social integration implications by describing the phenomenon that migrants and natives practice intercultural exchange through multicultural cooperatives. Multicultural cooperatives, which can be seen as miniature version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re organizations in which members of various ethnic and cultural backgrounds interact dynamically, and become a place where migrants and natives routinely contact and exchange. Multicultural cooperatives where intercultural exchanges take place become community models that overcome separate and parallel lives between migrants and natives people, and can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based on intercultur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the micro-unit of multicultural cooperatives to derive implications at the social macro level, and to clarify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tegration between migrants and natives at the life-world. In today's Korean society, where diversity has increased, interculturalism and social economy, which focus on communication, solidarity, cooperation, and reciprocity, are attracting attention. The Multicultural Cooperative, a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where intercultural exchanges are realized, is worth studying because it suggests directions and alternatives to Korean society jointly achieved by migrants and na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specifically reveal the intercultural exchanges occurring within the multicultural cooperative organization. Second, it examines the intercultural exchanges between multicultural cooperatives and their local communities. Third, it is to provide social integration implications based on intercultural exchanges occurring inside and outside multicultural cooperatives. To this end, first of all, it wen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process, and it was organized by combining interculturalism and social economy, two approaches seeking social integr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migration, culture, society, and economy. After that,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migrants who worked as executives for more than 5 years in multicultural cooperatives.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selected X and Y social cooperatives were derived from qualitativ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as well as literature data, which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cultural exchanges taking place within the two multicultural cooperatives were organized into six keywords. That is, intercultural exchanges took place th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democracy, reciprocity, a sense of solidarity and community, and breaking down barriers. Although the level of intercultural exchanges within the organiz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timing and members, migrants and natives communicated, solidified, and united democratically while achieving a common purpose. Conflicts arose due to differences, but cooperation between migrants and natives was beneficial to both sides. Despite the difficulty in operating both multicultural cooperatives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the X cooperative, which was closely linked to natives and migrants, showed psychological stability, unlike the Y social cooperative, which did not. These differences showed that the role and companionship of the natives are important for the complete integration of migra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ther the principles of democracy and reciprocity were properly observed, whether distinction was not operated, and whether intercultural dialogue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were practiced had an effect on intercultural exchange. Second, the inter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multicultural cooperatives and the outside natives society can be summarized into four keywords: communication, social capital, identity recognition, reciprocity and social contribution took place. The two multicultural cooperatives in the case were attempting to communicate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natives’ society, and were creating social values by exchanging profits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social capital of migrants served as the basis and effect of the existence of multicultural cooperatives, and both social capital centered on ethnic communities and social capital formed with natives residents were balanced. Migrants expressed their unique identity by utilizing their cultural resources for multicultural cooperatives' business, and demanded that the mainstream society centered on natives people accept them as equal members of society and citizens. Through multicultural cooperatives, migrants contributed and fulfilled their responsibilities as global citizens beyond the local community. Third, the social integr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derived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two studies are as follows. Migrants operated multicultural cooperatives as a principle of self-help and independence and cooperated with natives. In the process, migrants' participation in economy,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increased and direct exchanges with native residents increased as well. This showed that it wa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and unilateral social integration approach and shift to the direction of social integration based on intercultural exchange and interests. Since cooperatives are economic communities consistent with interculturalism, they should promote integration by encouraging cooperative-style migrant start-ups and employment. Multicultural cooperatives have shown that migrants are community models that can grow with a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as citizens equal to nativ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ore carefully consider the conditions of migrants in supporting start-ups, and to strive for post-qualitative management rather than support for quantitative increase. Solidarity, reciprocity, and co-prosperity should be encouraged for both natives and migrants, and intercultural exchanges should be activated throughout society. Based on this, it should aim for an integrated society, that is, a intercultural society. This study contributed theoretically in an academic aspect by attempting an interdisciplinary combination of interculturalism and social economy, and is meaningful in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integration by exploring the world of life in the social aspect.;본 연구는 다문화협동조합을 통해 이주민과 선주민이 상호문화적 교류를 실천하는 현상을 기술하여 사회통합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한국 다문화사회의 축소판으로 볼 수 있는 다문화협동조합은 다양한 민족적·문화적 배경의 구성원들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조직으로, 이주민과 선주민이 일상적으로 접촉하고 교류하는 장이 된다. 상호문화적 교류가 일어나는 다문화협동조합은 이주민과 선주민 간의 분리되고 평행한 삶을 극복하는 공동체 모델이 되며,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다문화협동조합이라는 미시적 단위의 사례를 분석하여 사회 거시적 차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며, 생활세계 차원에서 이주민과 선주민이 통합을 이루는 과정과 결과를 밝히고자 한다. 다양성이 증대된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서 소통과 연대, 협력, 호혜 등을 핵심으로 하는 상호문화주의와 사회적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상호문화적 교류가 실현되는 사회적경제 조직인 다문화협동조합은 이주민과 선주민이 공동으로 이룰 한국 사회에 대한 방향과 대안을 시사하기에 연구할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다문화협동조합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문화적 교류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둘째, 다문화협동조합과 소속된 지역사회와의 상호문화적 교류를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다문화협동조합 내외에서 일어나는 상호문화적 교류를 토대로 사회통합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이주·문화·사회·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통합을 모색하는 두 접근법인 상호문화주의와 사회적경제를 접목하여 정리하였다. 이후 이주민과 선주민이 함께 일하는 협동조합 중 이주민이 임원으로 재직하고 5년 이상 운영된 다문화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선정된 X 협동조합과 Y 사회적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을 진행하여 얻은 질적 자료와 여러 문헌 자료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다문화협동조합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문화적 교류는 6가지 키워드로 정리되었다. 곧, 소통과 연대성, 민주성, 호혜성, 결속감 및 공동체의식, 장벽제거의 특징을 보이는 상호문화적 교류가 일어났다. 시기와 구성원에 따라 조직 내 상호문화적 교류의 수준은 상이했지만,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가운데 이주민과 선주민이 민주적으로 소통하고 연대하며, 결속되었다. 차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이주민과 선주민이 협력하는 것은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으로 인해 두 다문화협동조합의 운영 상황이 모두 어려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선주민과 이주민이 긴밀히 연대한 X 협동조합은 그렇지 않은 Y 사회적협동조합과 달리 내부자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이주민의 온전한 통합을 위해서는 선주민의 역할과 동행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민주성과 호혜성의 원칙이 제대로 지켜졌는지, 구별 짓기가 작동되지는 않았는지, 상호문화대화와 상호문화적 역량이 발휘되었는지도 상호문화적 교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다문화협동조합과 외부 선주민 사회와의 상호문화적 교류는 4가지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다. 즉, 소통과 사회자본, 정체성 인정, 호혜 및 사회 기여로 설명되는 상호문화적 교류가 일어났다. 사례의 두 다문화협동조합은 선주민 사회와 직·간접적으로 소통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지역사회와 이익을 주고받으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었다. 이주민들의 사회자본은 다문화협동조합 존립의 기반이면서 동시에 효과로 작용했으며, 동족 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자본과 선주민과 형성한 사회자본 모두가 균형적으로 형성되었다. 이주민들은 다문화협동조합의 사업에 자신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며 고유의 정체성을 표출하였고, 선주민 중심의 주류사회를 향해 동등한 사회 구성원이자 시민으로 인정하기를 요구하였다. 다문화협동조합을 통해 이주민들은 지역사회를 넘어 세계시민으로서 기여하고 책임을 다하기도 했다. 셋째, 두 연구 결과를 종합해 도출한 사회통합적 시사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이주민들은 자조와 자립의 원칙으로 다문화협동조합을 운영하였고, 선주민과 협력하였다. 그 과정에서 이주민의 경제·정치·문화·사회 참여가 확대되었으며, 선주민과의 직접적인 교류가 증대되었다. 이는 시혜적이고 일방적인 기존의 사회통합 접근 방식에서 탈피하여 상호 교류와 이익에 기반한 사회통합의 방향성으로 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협동조합은 상호문화주의에 부합하는 경제공동체이므로 협동조합 방식의 이주민 창업 및 취업을 장려하여 통합을 도모해야 한다. 다문화협동조합은 이주민이 선주민과 동등한 시민으로서 소속감과 책임을 갖고 성장할 수 있는 공동체 모델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창업 지원에 있어서 이주민들의 여건을 보다 세심히 고려해야 하며, 양적 증가를 위한 지원보다는 사후 질적 관리에 힘쓸 필요가 있다. 선주민과 이주민 모두에게 연대와 호혜, 상생을 독려하고 사회 전반에 상호문화적 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통합된 사회, 즉 상호문화사회를 지향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술적인 측면에서 상호문화주의와 사회적경제 분야의 학제적 결합을 시도하여 이론적으로 기여하였으며,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생활세계 현장을 탐구함으로써 사회통합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 데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