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한국 결혼이주여성과 치과의료진 간의 상호문화적 갈등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결혼이주여성과 치과의료진 간의 상호문화적 갈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Major in Multicutural & Intercultural Studies
Authors
김효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한업
Abstract
In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foreign immigrants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since the 1990s, and the demand for foreign labor has soared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s due to severe gender imbalance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s of this,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from a single na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various cultures coexist. In particular, the number of immigrant families form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foreign women mainly from Southeast Asia and Korean men is increasing rapidly, and its share in overall national health is also increasing. However, due to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and races, health inequalities and other phenomena are intensifying. As the propor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among foreign immigrants is high,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oper health behavior for migrant women and to pay attention and research on social systems and policy fields. Recently,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more and more for the public health improvement.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conducted on immigrant families who are vulnerable to oral health-related education and medical service benefits are oral health status and actual condition surveys. From a factor analysis and intercultural perspective on the inequality of oral health caused by weak economic conditions of immigrant families, lack of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care, and lack of proper medical services, a study both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nd dental staff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isunderstandings and intercultural conflict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with medical staff when foreign women immigrated to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use dental medical services.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to collect basic data from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dental staff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with experience in treating and curing foreign patients, the final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zed data and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in-depth interview was analyzed systematically and in-depth by the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found to feel more difficulties in the financial burden of treatment costs than in communicating with medical staff.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medical staff felt the biggest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married migrant women also thought communication was the biggest difficul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edical staff prefer to solve communication difficulties caused by language barriers with the help of acquainta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On the other hand, it was investigated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emselves rather than seeking help from family or acquaintances in relation to dental treatment, or followed the judgment of the medical staff without making any effort to resolve conflicts due to communication. Third, married immigrant women pass by even if they do not understand the medical terminology used by medical staff.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medical staff judged the married immigrant woman understood and proceeded with treatment, because the medical staff tried to explain in an easy and detailed method. Fourth, married immigrant women accept and adapt to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as a matter of course.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medical staff were initially awar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tried to resolve conflicts, but were more interested in the treatment consent and medical responsibility of married immigrant women. Fifth, it was showed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perceive the high level of Korean medical service and trust the medical staff and prefer treatment recommended by medical staff, but prefer low-cost treatment for economic reasons. The medical staff believes that the treatment they recommend is important, but they respect the patient's choice and proceed with the treatment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ant. Sixth, it was found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want a friendly attitude without prejudice or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rather than smooth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but medical staff did not feel the need for special consideration for foreign patients because they thought they should treat them the same as Korean patients except for efforts to communicat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in-depth the general and special difficulties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fac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when using dental medical services, and aimed to seek intercultural solutions to solve these problem. In order to eliminat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reflect on their actions and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culture, intercultural education for medical staff is necessary. Medical staff should provide treatment based on intercultural competence to recognize the cultural norms of foreign patients and to understand their unique perspectives by cultivating 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cultural differences beyond simple communication for the treatment of foreign patients.;한국 사회는 1990년대 이후 세계화, 개방화로 인해 외국인 이민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심각한 성비 불균형으로 인한 국제결혼과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외국인 노동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일민족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위주의 외국인 여성과 한국인 남성의 국제결혼을 통해 이루어진 이주배경가정이 급증하고 있으며, 전체 국민 건강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간, 인종간 사회·문화적 차이로 인해 건강불평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외국인 이민자 중 결혼이주여성의 비중이 높은 만큼 이주여성들을 위한 올바른 건강 행태 제고와 사회제도 및 정책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구강건강 관련 교육과 의료서비스 혜택에 취약한 이주배경가정을 대상으로 진행된 기존의 연구는 구강건강상태와 실태조사가 대부분이다. 이주배경가정의 경제적 여건이 취약하고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부족하고 제대로 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여 발생하는 구강건강의 불균형에 대한 요인 분석과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과 치과 의료진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외국인 여성이 치과 의료서비스 이용 시 의료진과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해와 상호문화적 갈등에 대해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이주배경가정의 과반수 이상이 거주하는 수도권 지역의 결혼이주여성과 외국인 환자의 진료와 치료 경력이 있는 수도권 지역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최종 대상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심층면담은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은 의료진과 의사소통보다는 치료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에 더 큰 어려움을 느낀다. 반면에 의료진은 의사소통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결혼이주여성도 의사소통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 생각한다. 둘째, 의료진은 언어장벽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결혼이주여성의 지인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것을 선호한다. 이와 달리, 결혼이주여성은 치과 치료 관련하여 가족이나 지인의 도움을 받는 것보다는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거나 의사소통으로 인한 갈등의 해소를 위한 별다른 노력없이 의료진의 판단에 따른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은 의료진이 사용하는 의학전문용어를 이해하지 못해도 그냥 넘어간다. 반면에 의료진은 쉽고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에 결혼이주여성이 이해했다고 판단하고 치료를 진행한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은 문화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해와 갈등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순응한다. 한편, 의료진은 초기에는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고 갈등 해소를 위해 노력하지만 결혼이주여성의 치료 동의와 의료 책임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는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의료서비스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고 의료진을 신뢰하여 의료진이 권하는 치료를 선호하지만 경제적 이유로 비용이 낮은 치료를 선호한다. 의료진은 자신이 권하는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환자의 선택을 존중하고 결혼이주여성이 원하는 치료를 진행한다. 여섯째, 결혼이주여성은 의료진과 원활한 의사소통보다 의료진의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 없는 친절한 태도를 원하지만, 의료진은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을 제외하고는 내국인 환자와 동일하게 대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외국인 환자에 대한 특별한 배려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치과 의료서비스 이용 시 문화적 차이로 인해 겪게 되는 일반적이고 특수한 어려움을 심층 분석하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호문화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문화적 배경이 다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고 상대 문화의 관점에서 자신의 행위와 사고를 성찰할 수 있도록 의료진을 위한 상호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의료진은 외국인 환자의 진료를 위한 단순한 의사소통을 넘어 서로의 문화적 차이의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 소통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외국인 환자의 문화적 규범을 인지하고 고유한 관점을 이해하는 상호문화역량에 기반한 치료를 제공해야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