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국내·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음악중재 연구 고찰

Title
국내·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음악중재 연구 고찰
Other Titles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 2000-2020
Authors
김인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view Korean-written and English-written studies on music intervention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patients published between 2000-2020. Based on guidelines proposed in this research, 3 Korean-written and 9 English-written studies were selected. Among them, 11 studies were related to adult PTSD patients.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cause of trauma was occupational. Vocations with such trauma included veterans, military personnel and firefighters. 7 studies were conducted by therapists with professional qualifications in music therapy, and studies conducted by non-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often did not suggest music intervention or music selection. 5 studies contained music intervention with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therapeutic approaches combined. Most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nduction of emotional stability during the stabilization phase of music interventions to treat PTSD symptoms. The data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come basis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patients with PTSD symptoms.;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음악중재 연구를 고찰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완화를 위한 전문적인 음악중재 방법과 치료적 음악사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연구 선정 절차에 따라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연구 3편, 국외 연구 9편, 총 12편의 음악중재 연구를 선별하였으며, 연구 대상자 특성, 치료사의 전문자격, 음악중재 구성, 수용적•표현적 치료 접근에 따른 중재유형 및 외상치료단계 별 치료적 기능, 중재 내 활용된 음악유형 및 선곡기준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 대상 연구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중재를 진행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참전용사, 군인, 소방관 등 직업적 외상 요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치료 전문자격이 있는 치료사가 중재를 진행한 연구는 7편이었으며, 비전문 음악치료사가 중재를 진행한 연구는 5편이었다. 음악중재 참여 형태의 경우 집단으로 진행된 연구가 총 9편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수용적•표현적 치료접근이 혼합된 형태의 중재가 5편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외상 치료 단계에 따른 음악중재 절차 중 안정화 단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수용적•표현적 음악경험 내 안정화 단계에서는 동질성의 원리를 활용한 정서적 안정, 안전한 음악환경 제공 등 음악의 다양한 치료적 기능을 통해 내담자의 안정감 경험에 치료적 초점을 맞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대상 연구에서는 대중가요, 클래식, 뉴에이지 등 기존음악이 활용된 경우가 많았으며, 음악선곡기준을 제시한 연구는 4편이었다. 비전문 음악치료사가 진행한 음악중재의 경우 중재 및 선곡 내용 부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음악중재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