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6 Download: 0

12가사 남창과 여창의 시김새 비교 연구

Title
12가사 남창과 여창의 시김새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gimsae of 12 Gasas between Male’s Singing and Female’s Singing : Focusing on and
Authors
임상숙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가사는 가곡, 시조와 함께 우리나라 전통성악곡인 정가의 한 종류이다. 가사는 여창과 남창으로 나누어진 가곡과는 달리 가사는 12곡 모두 동일한 선율을 남자와 여자가 함께 부르는데, 이는 가사만이 가진 특징이다. 그러나 같은 선율의 곡이라도 남녀에게 모두에게 전승되다 보니 남창과 여창 모두 자신만의 시김새와 창법으로 표현하여 부르게 된다. 따라서 동일곡에서도 기교나 창법에서 남녀창의 차이가 조금씩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남녀창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12가사 중 <춘면곡>과 <백구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두 곡을 중심으로 같은 계보에 있는 남창 이양교와 여창 이준아의 가창 비교를 통해 동일한 곡을 남창과 여창이 불렀을 때 어떤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지 시김새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선율, 요성 및 추성과 퇴성을 중점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에서는 <춘면곡>의 경우, 동일선율 78.19%, 상이선율 13.58%, 유사선율 8.23% 의 비율로 동일선율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춘면곡>은 여창에서 더 많은 꾸밈음과 선율이 나타나는데 남창은 정해진 위치에서 꾸밈을 하거나 선율이 비교적 적게 추가 됐다면 여창은 다양한 범위에서 꾸밈이 추가되고 선율도 조금씩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백구사>의 경우, 동일선율 76.60%, 상이선율 19.15%, 유사선율 4.25% 의 비율로 <백구사> 또한 동일선율의 비율이 가장 높다. <백구사>는 전반적인 곡조가 평시조형에 가까워서 반복되는 선율이 많았고, 그 안에서 남녀창 모두 시김새를 첨가하거나 꾸밈음을 추가하여 불렀다. 하지만 <춘면곡>과는 다르게 백구사에서는 남창이 좀 더 음을 추가하고 시김새를 표현하려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요성에서는 <춘면곡>의 경우 동일요성 66.39%, 상이요성 30.33%, 유사요성 3.28%로 동일요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남창은 평요성과 조름목요성을 주로 사용하였다면, 여창은 상요성과 조름목요성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남창이 여창보다 요성의 횟수가 많았고 요성을 구사할 때도 남창은 명확하고 격렬하게 떠는 반면 여창은 좀 더 부드럽고 여유롭게 요성을 했다. <백구사>의 요성은 동일요성 88.66%, 상이요성 9.28%, 유사요성 2.06%로 백구사는 동일요성의 비율이 현저히 높게 타나났다. 요성의 종류는 남녀창 모두 평요성과 퇴요성을 주로 사용하였다. 남창은 요성을 넣음으로써 노래를 좀 더 풍성하게 채웠고 일정한 요성의 반복으로 남창만의 꿋꿋함과 묵직함을 보여줬다. 여창은 높은 음정이나 속소리로 음을 뻗는 부분에서 요성을 생략함으로서 묵직한 분위기 속에서 여창만의 분위기로 <백구사>를 표현했다. 셋째, <춘면곡>의 추성과 퇴성에서는 동일 시김새가 46.51%, 상이 시김새 32.56%, 유사 시김새 20.93%로 추성은 남녀창 모두 비슷한 횟수로 사용했지만 퇴성의 경우 여창에서 빈도수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추성의 경우 남창과 여창 모두 e♭에서 많이 나타났다. 남창에게서 퇴성은 f에서 3회 하였고 겹퇴성은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 여창은 겹퇴성을 주로 사용하였고 f-e♭겹퇴성이 많이 보였다. <백구사>의 추성과 퇴성에서는 동일 시김새가 42.10%, 상이 시김새 31.58%, 유사 시김새 26.32%로 춘면곡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백구사>에서는 남창이 추성을 좀 더 많이 사용하였고 여창은 퇴성을 좀 더 많이 사용하였다. 남창은 a♭, e♭에서 추성이 많이 보였고 퇴성의 경우는 b♭-a♭, f-e♭겹퇴성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정석대로 쓰기보다 변형하여 쓰는 형태로 많이 보였다. 여창의 경우는 추성은 많이 사용하지 않았고 <춘면곡>에서 처럼 b♭-a♭, f-e♭에서 겹퇴성을 많이 사용하였다. <춘면곡>과 <백구사>는 동일한 선율의 곡일지라도 성별과 각자의 개성에 따라 각자 곡을 해석하는 것이 다르고 선율 및 시김새도 조금씩 다르다. 따라서 가창자가 음악을 계승·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해석이 들어가기 때문에 동일곡이라 하더라도 조금씩 창법이나 시김새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이를 통해, 가사는 정해진 틀에 박힌 음악이 아니라, 이를 부르고 가창하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유동적으로 변하는 음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좁게는 남녀에 따른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고, 같은 성별에 가창자라 하더라도 음악을 느끼고 이해하는 방식에 따라 동일곡이라도 가사는 얼마든지 다르게 불릴 수 있다. 즉, 가사라는 본질은 동일하지만,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부르느냐에 따라 가사는 다르게 변화하는 것이다.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가사가 불리고 향유되길 기대해본다. ;Gasa, along with gagok and sijo, is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jeongga. Different from gagok which is divided into female’s singing and male’s singing, the same melody of gasa’s all the 12 songs is sung by men and women together, and it is a gasa’s unique characteristic. However, even if a song has the same melody, it can be passed down to both men and women alike, so both male and female singers have their own sigimsaes and singing styles. Therefore, even in the same song,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male and female singing in the technique and method of singing.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singing, this study looked into and , among 12 gasas. Focusing on these two songs,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d the singing of male singer Lee Yang-gyo and female singer Lee Jun-a whose genealogy is the same, and then looked into the difference of singing technique and sigimsae between male’s singing and female’s singing. For this,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d melodies, yoseong, chuseong and toeseong.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melodies, consists of the same melody 78.19%, different melody 13.58%, and similar melody 8.23%, and therefore the ratio of the same melody is the highest. In female’s singing, has more ornaments and melodies. Male’s singing uses ornaments at fixed locations or adds relatively little melodies, but female’s singing adds ornaments in various places and uses more melodies little by little. On the other hand, consists of the same melody 76.60%, different melody 19.15%, and similar melody 4.25%, and therefore the ratio of the same melody is the highest as well. has a lot of repeated melodies because the overall tune is close to the type of pyeong-sijo, and therefore within this frame both male’s singing and female’s singing perform the song by adding sigimsaes or ornaments. However, different from , in male’s singing adds more ornaments and sigimsaes. Second, regarding yoseong, consists of the same yoseong 66.39%, different yoseong 30.33%, and similar yoseong 3.28%, and therefore the ratio of the same yoseong is the highest. In the case of male’s singing, pyeong-yoseong and joreummok-yoseong are mainly used, while in the case of female’s singing, sang-yoseong and joreummok-yoseong are mainly used. In general, male’s singing uses more yoseongs than female’s singing does, and male’s singing performs it in a clear and intensely vibrating manner, whereas female’s singing in a more smooth and relaxed manner. consists of the same yoseong 88.66%, different yoseong 9.28%, and similar yoseong 2.06%, and therefore the ratio of the same yoseong is remarkably higher. Regarding the kinds of yoseong, both male’s singing and female’s singing mainly use pyeong-yoseong and toe-yoseong alike. In the case of male’s singing, yoseong makes the song more luxuriant and the repetition of a certain yoseong presents the unique firmness and heaviness of male’s singing. On the other hand, by omitting yoseongs in the part where voices are stretching out with high notes or whisperings, female’s singing performs in a heavy and uniquely feminine atmosphere. Third, regarding chuseong and toeseong, consists of the same sigimsae 46.51%, different sigimsae 32.56%, and similar sigimsae 20.93%. In the case of chuseong, both male’s singing and female’s singing use it in a similar frequency, whereas in the case of toeseong, female’s singing uses it more frequently. Both male’s singing and female’s singing frequently use chuseong at e♭. Male’s singing uses toeseong at f three times, but does not frequently use gyeop-toeseong. However, female’s singing mainly uses gyeop-toeseong and frequently presents f-e♭ gyeop-toeseong. On the other hand, consists of the same sigimsae 42.10%, different sigimsae 31.58%, and similar sigimsae 26.32%. The use frequency is not much different from , but in male’s singing uses chuseong more frequently, whereas female’s singing uses toeseong more frequently. Male’s singing frequently uses chuseong at a♭ and e♭. In the case of toeseong, male’s singing frequently uses gyeop-toeseong b♭-a♭ and f-e♭, thus frequently presenting not a standard form but a modified form. On the other hand, female’s singing does not use chuseong frequently, and as in "Chunmyeongok", gyeop-toeseong is used a lot at b♭-a♭ and f-e♭. Even if "Chunmyeongok" and "Baekgusa" have the same melody. its interpretation is different by the gender and individual personality of performers, and their melodies and sigimsaes are also a little different by performers. Since the singer's own interpretation is included in the process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a song, the singing method and sigimsae of the same song are naturally different little by little. In this vein, the gasa seems to be such a music as not having a fixed frame, but being a little different by its singers naturally. In a narrow sense, it is different by genders, and even in the same gender it can be much different by the singer’s method of feeling and interpreting of the music. In other words, the gasa is the same in its substantial nature, but it can be different by its performer’s method of interpretation and technique of singing. The author hopes the gasa will be diversely performed by many performers and enjoyed by a lot of peo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